말 좀 생각합시다 55
연성 기사
우리가 쓰는 말을 살필 적에는 우리가 걸어온 길을 돌아보아야 합니다. 모든 말은 우리 삶에서 태어나거든요. 우리가 사는 모습 그대로 말을 합니다. 좋든 궂든 우리 모습을 고스란히 담는 말입니다.
조선이라는 봉건 틀이 있던 무렵에는 99:1로 갈린 삶터였어요. 99에 이르는 사람들은 손수 살림을 짓고 시골에서 숲을 돌보면서 스스로 말을 지었습니다. 1에 이르는 사람들은 중국바라기나 임금바라기를 하는 자리에서 중국 한자말을 달달 외우며 따랐습니다.
이러다가 개화기하고 일제강점기를 맞이했고, 이때부터 새로운 삶이나 살림을 나타낼 말을 거의 모두 일본 지식인이 지은 한자말로 받아들였습니다. 이 흐름은 오늘날까지 이어져요. 지난날에는 어쩔 수 없이 일본 한자말이 들어왔다면, 오늘날에는 깊이 살피지 않으며 일본 한자말을 그냥 따라서 씁니다.
신문·방송 쪽에서는 “시의성(時宜性)을 살펴 연성(軟性) 기사·경성(硬性) 기사”를 가른다고 말합니다. ‘시의성·연성·경성’은 모두 일본 한자말입니다. 다만 이 낱말이 일본 한자말이라서 안 써야 한다는 소리가 아닙니다. 이 낱말이 태어난 바탕을 헤아려야 한다는 소리입니다.
말뜻부터 살펴봅니다. ‘시의성’은 “때에 맞음”이요, ‘연성’은 “부드러움”이며, ‘경성’은 “단단함”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말뜻에 맞게 이 낱말을 쓴다고 할 만할까요?
더 헤아린다면 “때에 맞음”을 ‘때맞춤·때맞추다’처럼 새말을 지어서 쓸 만합니다. 부드럽거나 단단하다는 뜻을 살리려면 ‘부드럼글·단단글’이나 ‘말랑글·딱딱글’ 같은 새말을 지을 수 있어요. 또는 ‘삶글·삶터글’처럼 써 볼 만합니다. ‘삶글’은 말 그대로 삶에서 우러나오는 글이니 부드럽습니다. ‘삶터글’은 삶을 이루는 터전에서 태어나는 글이니 단단하지요. 때로는 삶을 살펴 부드러이 글을 나눕니다. 때로는 삶터를 짚으며 단단히 글을 여미어 나눕니다. 2018.4.29.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