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힝야 소년, 수피가 사는 집 라임 청소년 문학 32
자나 프라일론 지음, 홍은혜 옮김 / 라임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푸른책과 함께 살기 136


수용소에서 태어난 로힝야 아이는 ‘DAR-1’
― 로힝야 소년, 수피가 사는 집
 자나 프라일론 글/홍은혜 옮김
 라임, 2018.4.5.


“수피, 그래도 오늘은 운이 좋네! 오늘 점심은 유통 기한이 12일밖에 안 지났어.” (12쪽)

엄마는 NAP-24이고, 퀴니 누나는 NAP-23이다. 나는 여기서 태어났기 때문에 번호가 달랐다. DAR-1이 내 번호인데, 이곳에서 태어난 첫 번째 아기라서 1번이 붙었다. (19쪽)


  푸른문학 《로힝야 소년, 수피가 사는 집》(자나 프라일론/홍은혜 옮김, 라임, 2018)을 읽으며 ‘로힝야’가 어떤 이름인지,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은 어떤 삶인지 아리송합니다. 몇 쪽을 읽다가 ‘로힝야’라는 이름을 누리그물에서 찾아볼까 싶었으나, 책에서 실마리를 풀자는 생각으로 그대로 읽어 봅니다.

  유통 기한이 한참 지난 먹을거리를 받아서 먹는다는 대목, 어머니 누나를 비롯해 아이한테 이름 아닌 ‘번호’가 붙는다는 대목, 학교를 다니지 않고 아무것도 배울 길이 없다는 대목, 한식구가 함께 지낼 수 없도록 뿔뿔이 흩어 놓기도 한다는 대목을 읽으며, 아무래도 만만하지 않은 이야기라고 느낍니다.


누아는 퀴니 누나의 진짜 이름인데, 그렇게 부르는 사람은 엄마밖에 없었다. 엄마는 즐겁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많이 들려주었다. 미얀마에서 키우던 강아지나 당나귀 이야기, 바다에서 헤엄치던 이야기, 하늘에서 떨어지는 별똥별 이야기 같은 거였다. 그리고 옛날 옛적부터 엄마들이 아이들에게 들려주었던 로힝야족 이야기도 들었다. (43쪽)

아무도 수용소 바로 앞에 있는 바깥세상의 이야기는 해 주지 않았다. 그곳이 어떤지 아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었다. (107쪽)


  《로힝야 소년, 수피가 사는 집》을 어느 만큼 읽으며 ‘수용소살이’를 하는 사람들 이야기라고 깨닫습니다. 그런데 오늘날에도 수용소살이라니? 지구별 어느 곳에서 수용소살이를 하는 아이들이 있나 하고 헤아려 봅니다. 오늘날 한국은 아직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총부리를 겨누는 군인이 잔뜩 있고, 다른 나라에도 다툼이 끊이지 않습니다. 휴전으로 흐르는 나라가 있고, 내전이나 전쟁이나 분쟁으로 흐르는 나라가 있으며, 난민이나 피난으로 힘겨운 나라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로힝야하고 수용소는 어떤 사이일까요? 책을 끝까지 읽고서 이 수수께끼를 풀어 볼 즈음 《식민지의 사계》라는 책을 함께 읽었습니다. 《식민지의 사계》는 조지 오웰 님이 ‘버마’에서 겪은 일을 바탕으로 ‘영국하고 제국주의 총부리에 눌린 식민지’는 어떤 사이인가를 덤덤하면서 씁쓸하게 풀어냅니다.

  영국은 퍽 오랫동안 인도이며 버마이며 뭇나라를 제국주의 식민지로 삼았습니다. 이러면서 영국사람 스스로 이 식민지를 다스리지 않았지요. 어느 한 나라를 식민지로 삼을 적마다 ‘이웃한 작은 부족·나라’를 끌어들여 이들이 다스리도록 이끌었습니다. 이른바 ‘식민지 사람이 다른 식민지 사람을 다스리는 꼴’인 얼거리입니다.


총 여섯 명이 바닥에 드러누웠는데, 모두 입술을 꿰매고 있었다. 아무것도 먹지 않겠다는 뜻이었다. 그 모습을 지켜보고 있자니, 다리가 후들거리면서 온몸이 마구 떨렸다. (158쪽)

우리가 씨앗을 심어도 경비원들이 아무 말을 안 할까? 채소를 두세 가지만 심어도 좋을 텐데. (166쪽)


  버마에서 미얀마로 이름을 바꾼 나라에서 ‘로힝야 겨레’를 마구 죽이거나 괴롭히거나 내모는 뿌리를 살피면 ‘제국주의 영국이 로힝야 겨레를 내세워 버마를 식민지로 다스린 탓’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버마·미얀마는 영국한테 억눌린 아픔하고 슬픔을 영국한테 풀지 않고 로힝야 겨레한테 푸는 셈이지요. 영국은 버마에서 단물을 잔뜩 빼 가면서도 뒷일은 로힝야 겨레한테 떠넘기고 뒷짐을 지는 셈입니다.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는 버마·미얀마한테 ‘인종청소·인종학살’을 멈추라고, ‘로힝야 수용소’에까지 폭력 살인 강간을 저지르는 짓을 그만두라고 밝힌다지만, 버마·미얀마는 이를 멈추지 않고 그칠 생각이 없다고 해요.

  처음에는 제국주의 영국이 보금자리를 빼앗아 버마로 삶터를 옮겨야 한 로힝야 사람들은 제국주의 시대가 저문 뒤에 버마 사람들한테서 손가락질을 받으며 맞아죽거나 떠밀리면서 다시 삶터를 옮겨야 했는데, 어디로도 갈 곳이 없다고 합니다. 이제 수용소에 갇힌 삶인데, 수용소에서 사람된 권리가 하나도 없이 시달린다고 해요.

  제국주의 시대가 저문 뒤에 태어난 아이들은, 이 아이들이 어른이 되어 낳은 아이들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제국주의 유럽이 저지른 식민지 부스러기는 앞으로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얼마나 더 고름이 터지면서 아픈 일로 이어가야 할까요?


모든 소리가 사라진 것처럼 조용해지자 누나가 아빠의 시를 읽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로힝야 말로, 그다음에는 영어로. 덕분에 나도 무슨 뜻인지 또렷이 알 수 있었다. “떨어지는 별들이 드리운 그림자가 진실을 속삭일 때 / 텅 빈 마음이 하늘에 올라가 닿을 때 / 너는 그곳에 있을 거란다. / 바다가 불러 준 노래와 세상의 마음을 바람이 어루만져. / 그늘 속에 흐트러뜨린 채 숨겨 놓아도 / 나는 너를 볼 수 있단다. / 우리는 날개를 펼치고 영원한 집으로 날아갈 거야. / 다 함께 날아갈 거야.” (228쪽)


  《로힝야 소년, 수피가 사는 집》은 어느 누구 탓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이 오늘 하루를 어떻게 맞이하면서 살아가는가를 찬찬히 들려줍니다. 수용소 바깥살이는 한 번도 보거나 겪은 적이 없는 아이가 앞으로 어떤 길을 걸어야 할는지를, 또 수용소 곁에 있는 가난하고 작은 마을 사람들은 수용소를 어떻게 바라보는가를, 수용소 감시원으로 있으면서 수용소 사람들을 늘 괴롭히는 이들은 스스로 어떤 삶인가를 아울러 짚습니다.

  그나저나 영국은 왜 로힝야 이야기에 온몸을 다 뺀 채 아무 말이 없을까요? 영국을 비롯해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를 제국주의 식민지로 억눌렀던 이들은 오늘 어떤 삶을 누리는가요? 그리고 일제강점기라는 아픈 날을 보냈던 한겨레는, 앞으로 남북 평화로 나아가야 할 이 나라는, 전쟁·식민지·제국주의를 어떻게 씻거나 털면서 이웃을 어떤 눈으로 바라볼 때에 아름다운 살림이 될까요? 2018.5.16.물.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청소년문학/푸른문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