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의 숲에서 고전을 만나다>를 리뷰해주세요.
지혜의 숲에서 고전을 만나다
모리야 히로시 지음, 지세현 옮김 / 시아출판사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고전을 읽는 이유는 고전에 담긴 삶의 지혜를 배우기 위해서다.

특히 동양 고전들에 나오는 수많은 인간군상들의 희노애락을 보면서

우리가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여러 상황에 대한 적절한 대처방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이 책은 중국고전의 전문가인 저자가 여러 고전에 나오는 주옥같은 문장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필요한 지혜를 정리하고 있는 책이다.

고전에서 추출해 낸 지혜들을 인간관계의 지혜, 사람을 쓰는 지혜, 소박한 일상의 지혜,  

상황에 대처하는 지혜, 인생을 위한 지혜, 세상을 현명하게 사는 지혜로 크게 6가지로 분류하고 있는데

역시 고전답게 요즘에도 충분히 의미 있는 처세술을 정리하고 있다.

 

특히 이 책은 신영복 교수의 '강의'와 비교되는데 '강의'가 시경, 서경, 주역, 논어, 맹자, 노자, 장자,  

묵자, 순자, 한비자 등의 고전들이 갖는 전체적인 의미와 대표적인 문장들을 통해 '관계론'의 관점에서

재해석하는데 반해 이 책은 고전 속에 담긴 좋은 문장들을 발췌하여 그 문장에 담긴 의미에만 국한하여  

좀 지엽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강의'가 인간관계를 좀 더 깊이 있게 분석하고 있다면

이 책은 요즘 범람하고 있는 자기계발서의 가벼움 속에 고전의 깊이가 묻혀버린 느낌이 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우리가 가까이하지 않는 고전들을 맛보기라도 하는 기회를 제공해주면서  

단편적이나마 고전들에 담긴 삶의 지혜를 음미해볼 수 있었다.  

진정 지혜의 숲에서 고전을 만나려면 여러 고전에서 문장 몇 개를 발췌하는 방식보다는  

제대로 고전을 읽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물론 고전을 온전히 읽는 것은 결코 만만한 일이 아니다.  

그렇다면 최소한 신영복 교수의 '강의' 정도의 깊이는 갖추어야 고전을 만나봤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편리함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취향에는 적합한 고전 발체본이라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거기서 지혜를 배우기에는 너무 안일하게 접근하는 게 아닌가 싶어 좀 아쉬움이 드는 책이었다.  

- 서평 도서의 좋은(추천할 만한) 점 

동양 고전 속에 있는 주옥같은 문장들을 발췌해서 현대에 맞게 잘 정리했다. 


- 서평 도서와 맥락을 같이 하는 '한핏줄 도서' (옵션) 

신영복 교수의 '강의' - 물론 강의가 몇 수 위다. 


- 서평 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고전을 읽고 싶은데 부담스러워 맛보기라도 하고 싶은 사람들 


-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인간관계를 원활하게 유지하는 핵심은 '자신에게는 엄격하고 타인에게는 관용을 베푸는 것'이라 하겠다. – 10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