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읽는 논어 - 삶의 기쁨과 희망을 주는 그림 속 논어 이야기
김정숙 지음 / 토트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동양을 대표하는 고전이 많지만 그중에서 단 한 권만 꼽으라면 아마도 공자의 '논어'가 선택받을 것 

같다. 오래전에 김원중의 논어 완역본을 읽은 적이 있고 여러 책들에서 논어 속 내용들을 언급해서

논어가 그리 낯설지는 않지만 조선시대 그림들을 토대로 논어를 다시 읽어보는 설정의 이 책에선 과연

어떤 그림과 논어 속 어떤 문장을 연결시켰을지 궁금했다. 사실 작년 11월에 '조선의 그림으로 시작하는

하루 논어'라는 책을 본 적이 있어 그 책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도 비교해보는 재미가 있을 것 같았다.


'배움의 즐거움', '사람에 대한 사랑', '군자의 덕목', '임금과 선비의 도', '성찰과 꺠달음'의 총 5장에

걸쳐 논어 속 주요 문장들과 이를 잘 대변해주는 조선시대 그림들을 소개하는데 논어에서 제일 먼저

등장하는 '배우고 때로 익히면 기쁘지 아니한가'라는 문장과 이에 어울리는 이명기의 '송하독서도'로

포문을 연다. 아무래도 조선시대가 성리학이 지배하던 세상이다 보니 그림들 속에 성리학적 사상이

자연스레 녹아있겠지만 논어 속 문장들과 그림을 매칭시키는 건 결코 쉽지 않을 것 같은데 저자가 고미술

전문가라 그런지 적절한 그림들을 잘 찾아내었다. 그동안 국립중앙박물관을 비롯해 나름 고미술 전시를

찾아보고 관련한 책들도 종종 보고 있어서 내가 아는 화가와 그림들이 많이 나오지 않을까 은근히

기대를 했는데 그나마 화가들 이름은 친숙한 사람들이 많았지만 작품들은 처음 보는 것들이 적지 않았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봤던 김홍도의 풍속도첩 중 '서화감상', '행상', '점괘'나 김정희의 '세한도' 등

유명 작품들이 총출동했는데 역시나 김홍도나 정선 등 대가들의 작품들이 많았다.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문인인 김정희의 경우 리움에서 본 허련이 그린 초상화 속 모습이 친숙한데 이 책에선 과지초당에서

살던 말년의 자화상으로 촌부의 모습을 여실하게 보여준다. 논어 속 '군자는 자기에게서 구하고 소인은

남에게서 구한다'는 문장에 연결하여 남의 평가를 의식하지 않는 고졸한 자존감을 유감없이 보여준

작품이라 할 수 있었다. 이렇게 이 책을 통해 그동안 잊고 지냈던 논어 속 문장들이 주는 삶의 지혜와

함께 조선시대 그림들을 감상하는 즐거움을 함께 누릴 수 있었는데 시간이 되면 논어 완역본을 다시

읽어보면서 혼탁한 세상에서 바르게 살고자 했던 공자의 가르침을 되새기는 기회를 마련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