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의 시간, 영원한 현재 - 김봉렬의 건축 인문학
김봉렬 지음 / 플레져미디어 / 2021년 9월
평점 :
절판


무능한 정권의 계속된 삽질로 인한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인해 이제 많은 사람들의 내 집 마련의 꿈은 

그야말로 헛된 꿈인 세상이 되고 말았지만 그래도 건축에 대한 관심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을 것 같다. 

TV에서 집 관련한 프로그램을 즐겨 보면서 다양한 건물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얼마 전에 노들섬에서

열린 2021 서울건축문화제와 서울대박물관에서 기획 전시 중인 '우리가 그려온 미래, 한국 현대건축

100년'을 통해 최근 건축 트렌드는 물론 우리 현대건축의 역사도 간략하게 살펴볼 수 있었는데 이 책은

우리 역사 속 모든 건축물 중 대표적인 건축물들을 선정하여 소개하고 있어 과연 어떤 건축물들이 어떤

이유에서 선정되었을지 궁금했다.


무려 고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고인돌을 최초의 건축물이자 감동이 담긴 최초의 기념물로 

평가했다. 국사시간에 다양한 형태의 고인돌과 그 의미에 대해 배운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전 세계 

잔존 고인돌 5만여기 중 2만 9,500여기가 우리나라에 있어 세계문화유산에도 등재된 세계적인 고인돌

보유 국가인지는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그리고 보통 고인돌이 족장 무덤이라 알려져 있는데 

한반도 고인돌은 당시 중산층의 지역적 공동묘지로 추정되고 있어 사뭇 의미가 남달랐다. 다음으로 

등장하는 국내성 장군총은 국내에 있지 않아 가볼 수 없어 안타까운데 중국과 북한은 태왕릉은 광개토

대왕릉, 장군총은 장수왕릉이라는 견해인 반면 장군총이 광개토대왕릉이고 태왕릉은 고국양왕릉이라는 

견해도 있다. 익산 백제 유적은 서동요로 유명한 무왕과 관련한 유적인데 익산이 백제 수도가 될 뻔

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신라에선 정교일체의 랜드마크였단 경주 황룡사지와 통일 이후 

대통합의 화엄도량 구례 화엄사를 소개한다. 


안동 봉정사, 영주 부석사, 공주 마곡사가 선정된 고려시대까지는 불교가 대세여서 주로 절들이 등장

했다면 조선시대부터는 사뭇 달라진다. 조선은 전기, 중기, 후기로 구분했는데 전기에는 춘향전의 

무대로 유명한 남원 광한루원 등이, 중기는 성리학을 대표하는 도산서원 등과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산물인 울산 서생포왜성, 광주 남한산성이, 후기엔 한옥으로 만든 독특한 성공회 강화성당 등이 선정

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공공시설 중 가장 우수한 건축물로 평가되어 살아남은(?) 구 서울역사와 

일제시대 치욕의 역사의 현장인 제주 알뜨르비행장을 거쳐 대한민국 시대엔 개발시대의 빛과 그림자를

모두 간직한 서울 세운상가와 평가가 상반되고 있는, 자하 하디드가 설계한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등이 등장했다. 친숙한 건축물들도 적지 않았지만 고려 국왕이 머무른 왕립호텔이라는 파주 혜음원지나 

독립운동가 석주 이상룡의 생가인 안동 임청각, 구례 운조루 등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된 곳들도 

상당했는데 지금은 흔적만 남아 있는 곳들도 포함되었다. 좀 아쉬운 점은 설명을 모두 한 후 사진을

뒤에 한꺼번에 수록하다 보니 앞쪽 글을 다시 확인하면서 사진을 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는 점이다. 

그래도 드론을 이용한 것 같은 공중에서 촬영한 사진 등 건물을 여러 각도에서 입체적으로 보여주면서 

그 의미를 인문학적으로 접근해 건축물에 담긴 그 시대 사람들의 삶과 생각을 잘 전달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