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둠을 뚫고 시가 내게로 왔다 - 소외된 영혼을 위한 해방의 노래, 라틴아메리카 문학 ㅣ 서가명강 시리즈 7
김현균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라틴아메리카는 우리와는 거리도 멀고 문화적으로 멀어 여전히 낯선 미지의 대륙이라고 할 수 있다.
라틴아메리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축구일 정도로 그들에 대해 잘 모르고 관심도 적은
게 사실인데 그나마 최근에 대중적으로 알려진 작가로는 '연금술사' 등의 파울로 코엘료를 들 수
있을 것 같다. 그동안 내가 읽은 작품들을 꼽으라 하면 마술적 사실주의라 불리는 보르헤스의
'픽션들'과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백년 동안의 고독' 정도를 라틴아메리카 문학의 대표작으로 들 수
있겠는데 이 책에선 라틴아메리카 문학을 대표하는 네 명의 시인을 중심으로 라틴아메리카 문학을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 그들만의 특유의 정서를 소개하고 있다.
이 책에 등장하는 루벤 다리오, 파블로 네루다, 세사르 바예호, 니카노르 파라 중 그나마 파블로
네루다는 이름만은 친숙한데 예전에 봤던 영화 '일 포스티노'가 그의 망명생활의 모습을 그리고
있어 조금은 낯설음을 덜해 주었다. 사실 소설에 비해 시는 잘 와닿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그리
친하게 지내지 않다 보니 서양의 시인들은 이름만 알 뿐 작품을 아는 경우가 드문데 당연히 그들보다도
더 소외된 라틴아메리카 시인들의 존재나 작품을 안다는 건 기대하기가 쉽지 않은 일이다. 이 책에서
다루는 네 명의 시인은 라틴아메리카 문단에서 모두 앞 세대와 의미 있는 단절을 가져옴으로써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어서 저자가 선정한 것 같은데 모데르니스모에서 출발해
포스모데르니스모, 아방가르드, 포스아방가르드로 이어지는 역사는 결국 끝없는 부정의 역사로 저자는 '존속 살해의 역사'라고 표현한다. 이러한 구분을 쉽게 이해할 순 없지만 말 그대로 당대의
주류와는 새로운 스타일을 시도함으로써 정체되지 않은 발전적 모습을 지속적으로 보여왔다는
게 라틴아메리카 문학의 끈질길 생명력이 아닌가 싶다. 시와 산문의 차이에 대해 청나라 문인
오차오는 밥 짓기와 술 빚기에 비유했는데, 쌀로 밥을 지으면 쌀의 형태가 그대로 남지만 술을 빚으면
쌀은 형체도 없이 사라지고 새로운 맛과 향기가 생겨나니 절묘한 비유라 할 수 있었다. 이 책에
등장하는 니카노르 파라는 '움직이는 모든 것은 시고, 변하지 않는 모든 것은 산문'이라고 했는데
같은 취지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첫 테이프를 끊는 루벤 다리오는 스페인어권 문학의 황태자이자 근대시의 선구자, 스페인어의
혁명가라는 화려한 수식어로 등장하는데 니카라과 출신의 그는 오히려 칠레에서 그의 탄생 100주년
기념우표를 발행할 정도로 라틴아메리카를 넘어서 스페인어권 전체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 모데
르니스모의 대표 시인이라 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등장하는 파블로 네루다는 상대적으로 친숙한 작가일 뿐만 아니라 노벨상 수상 등 훨씬 대중적 명성을 가진 인물인 데다 칠레의 정치인이기도
해서 더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잘 나가는 예술가 특유의 여성편력까지 대다수의 가난한
예술가들과는 사뭇 다른 화려한 삶을 살았는데 '스무 편의 사랑의 시와 한 편의 절망의 노래'라는
그의 시집 제목도 들어본 듯해 친숙하지만 스탈린을 지지하는 입장이어서 여러 논란의 중심도 된
것 같다. 다음 주자인 세사르 바예호는 페루 출신의 시인으로 네루다와는 비교되는 불운한 삶을
살았는데 이 책의 저자는 우리나라 시인 중에는 기형도와 비교한다. 대미를 장식하는 니카노르
파라는 '반시'를 주창한 파격적인 인물로 '시인이라면 자신만의 사전을 지녀야 한다'라고 말할 정도로
기존의 시와는 전혀 다른 독창적인 세계를 선보였다. 이 책에서 소개한 네 명의 시인만으로 감히
라틴아메리카 시문학을 이해할 수 있다고는 말할 수 없겠지만 생소하고 낯선 그들의 시가 어떻게
변천해왔는지를 어렴풋하게나마 알 수 있었다. 서구 중심의 세계에서 우리와 마찬가지로 소외되었고
현재도 마찬가지지만 그들의 문학만은 어디와 견주어도 뒤질 게 없음을 잘 알려준 책이었는데
라틴아메리카의 매혹적인 시세계에 입문하기에 적절한 안내서라 할 수 있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