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들은 어떻게 세상의 중심이 되었는가 - 김대식의 로마 제국 특강
김대식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서양을 대표하는 제국이었던 로마는 고대 그리스와 더불어 서양 문명의 핵심 축으로 자리를 잡아
로마에 대한 관심은 수많은 세월이 흐른 지금도 현재진행형인 것 같다. 로마를 다룬 책으로는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가 한때 큰 인기를 끌어 나도 '또 하나의 로마인 이야기'란 그녀의 책을 통해
개략적인 로마사를 만나봤었지만 뭔가 부족함을 느꼈었는데, 이번에는 뇌과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인문학적 얘기를 담아내었던 '인간을 읽어내는 과학'의 저자인 김대식 교수의 이 책의 제목이 로마
제국의 실체를 제대로 알려줄 거라 기대가 되었다.
이 책에서 저자는 '기원', '멸망', '복원', '유산'의 4부에 걸쳐 어떻게 로마가 세상을 정복하고, 어떻게
무너졌으며, 무엇이 로마의 역사를 이어지게 해서, 누가 로마 다음의 역사를 쓸 것인지에 대해 저자
특유의 흥미로운 얘기를 들려준다. 먼저 로마의 기원에선 단순히 로마의 기원을 찾는 게 아닌 인류의
기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기존의 교과서에서 인류 문명의 발달을 '사냥, 채집' - '농사' - '정착' -
'도시' - '종교' - '예술, 문명'의 순으로 전개된다고 본 반면, 이 책에선 전에 읽었던 '인간화된 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괴베클리 테페 등의 존재를 근거로 '예술' - '종교' - '도시' - '농사'의 순서로
발전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한편 '0차 세계대전'이란 새로운 개념도 접하게 되었는데, 기원전
1200~900년경 300여년 동안 당시 세계화된 문명의 '슈퍼 파워'였던 아시리아, 히타이트, 이집트
모두가 싸운 전쟁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렇게 로마가 패권을 잡기 이전의 인류의 역사를 압축적으로
소개한 후 로마가 카르타고 등을 제압하고 세상의 중심이 된 비결이 시스템, 무기, 전술이라 얘기한다.
이렇게 세상을 호령하던 로마 제국이 무너지게 된 것은 무늬만 공화정인 상태에서 사실상 황제가
지배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는데, 그동안 아우구스투스부터는 당연히 제정시대로 알고
있었던 부분을 약간은 다르게 설명했다. 아우구스투스가 사실상 황제지만 형식상으로는 왕이
아니어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왕조와는 사뭇 다르다는 점인데 보통 아들에게 물려주는 세습제도가
아닌 능력 있는 사람을 양자로 삼아 자리를 물려줬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왕조와는 차이점이 있었다.
이런 로마가 3세기에 이르러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한 근본적인 세 가지 문제로 후계자 선정 규정이
없었다는 점, 황제 자리의 권위가 실추되었다는 점, 직업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했다는 점을
들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이 점차 걷잡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러 극심한 빈부 차이를 야기하고
사회 시스템이 붕괴하자 결국 동서 분열 후 서로마는 멸망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이렇게 로마가
멸망하면서 유럽은 암흑기라 할 수 있는 중세로 접어드는데 그리스 로마 지식의 이식을 통한
지식의 급격한 증가,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을 통한 새로운 시장의 창출, 인쇄 기술을 통한 지식
전파 기술의 발명이라는 세 가지 행운이 한꺼번에 찾아오면서 다시 유럽이 세상의 중심으로 우뚝
서게 된다. 이렇게 이 책에서는 인류의 역사 전반을 로마를 중심으로 훑고 있는데 어떻게 보면
꼭 로마에 대한 역사책이 아니라 서양의 통사라고 볼 수도 있었다. 저자는 결국 온 세상을 지배하며
영원할 것만 같았던 로마 제국이 무너진 역사에서 교훈을 얻어야 로마와 같은 전철을 밟지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끝으로 방대한 역사 여행을 마무리한다. 한 권의 책에 담기에는 많은 내용이
담겨져 있어 서양사의 큰 그림을 대략이나마 그릴 수 있게 해준 책이었는데 로마를 중심으로
역사를 바라보는 안목을 한 단계 키워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