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화된 신
레자 아슬란 지음, 강주헌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9년 2월
평점 :
절판


신이 존재하는지 여부는 사람들마다 생각이 천차만별이겠지만 신과 종교가 인간의 역사에서 상당한

역할을 해온 것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과거에 비하면 신과 종교가 인간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줄었지만 여전히 광신도들이 끔찍한 테러를 저지르고 있고 상당수의 사람들이 신과 종교를 믿으며

살고 있어 과연 신과 종교의 실체는 무엇이기에 인간을 이토록 좌지우지하는지는 항상 해결되지 않는

의문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책에 왠지 답이 있지 않을까 싶은 기대가 되었다. 

 

이 주제는 나름 관심이 있는 문제라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이나 '거대한 신, 우리는 무엇을

믿는가' 등을 통해 어느 정도의 지식은 얻었지만 이 책은 인간이 신이란 존재를 인간화시켰다는 약간은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먼저 신을 인간화하려는 충동이 우리 뇌에 생득적으로 설계되어 있어

세상에 알려진 거의 모든 종교적 전통의 주된 특징이 되었고, 신이라는 개념이 인간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생겨나 우리가 의식적이든 의식적이지 않든 간에 신을 우리의 형상대로 만들었다고 얘기한다. 사실

어느 종교나 신화에서도 신적 존재를 인간의 형상을 한 초인적 존재로 생각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지의

사실인데 이 책의 저자는 신의 존재 여부는 입증할 만한 객관적인 증거 자체가 없기 때문에 이 책의

논의 대상이 아니고 신을 어떻게 인간화해왔는지에 관한 역사를 살펴보면서 신에 대한 범신론적 견해를

발전시키고자 한다. 이란 출신이면서 이란 혁명때 미국으로 이민 갔던 저자는 기독교를 믿다가

가족의 종교인 이슬람교로 개종한 이력도 흥미로웠는데, 먼저 아담과 하와 시절(물론 고고학적으론

훨씬 더 이전) 동굴에서 발견된 벽화들이 흔히 알려진 일종의 '사냥 주술'이 아닌 영적인 존재의

표현(동물들의 신)으로 보고 있다. 이런 종교적 감정은 대답하기 어려운 의문의 답을 구하고,

위협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세계를 관리하는 데 도움을 얻으려는 인류의 진화과정에서 생겨난 것이라

볼 수 있다. 종교가 일종의 사회적 결속 수단으로 생겨났다는 뒤르켐의 이론이 현재도 종교적 충동의

기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폭넓게 인정받고 있다지만 문제는 종교가 통합하는 힘과 분열시키는 힘을 

동시에 갖고 있다는 점이다. 암튼 영혼의 존재에 대한 인류의 믿음이 신에 대한 믿음으로 발전했다고

보는데, 이 책에선 종교적 충동이 뇌의 복잡한 작용이 우연히 빚어낸 결과물이 아닌 육체화한

영혼이라는 순전히 경험에 근거한 직관적, 생득적 믿음의 산물이라고 얘기한다. 성경 속 에덴동산의

얘기도 특별한 세계관을 전달하려는 신화로 읽혀야 마땅하며 최초의 종교적 신전이라 할 수 있는

쾨베클리 테페도 신적인 존재를 인간화하려는 무의식적 욕구의 발현으로 보고 있다. 여기서 신적인

존재를 인간화하려는 충동이 빚어낸 중대한 결과 중 하나로 농업이 탄생했다고 주장하는데, 기존에

제러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 등에서 농업을 하기 시작하면서 정착생활을 하게 되었다는

이론과는 정반대로 정착생활을 시작하면서 농업이 생겨났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 되었다고 얘기해

혼란스러웠다. 그 선후는 잘 모르겠지만 암튼 신적인 존재에 대한 믿음이 종교로 승화하면서

정착생활을 이끌어냈고 신화를 기록하기 위해 문자가 발명되었다는 기존에 알고 있던 내용과는

사뭇 다른, 내가 생각하기엔 신과 종교의 영향에 대한 다소 과대평가된 부분들도 적지 않았다.

초기 종교들은 대부분 다신교였고 일신교가 쉽게 뿌리내리지 못한 이유가 유일신이라는 개념이

신적인 존재를 인간화하려는 인간의 보편적 충동과 충돌했기 때문이라는 거나 지상 정치가 전제

왕권화되면서 일신론화 되었다는 점, 이스라엘도 다신교에서 일신교로 변화했다는 점 등 이 책에선

그동안 내가 알지 못했거나 다르게 알고 있던 부분들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주었다. 저자는

궁극적으로 신이 우리를 자신의 형상대로 만들지 않았고 우리도 신을 우리 형상대로 짓지 않은,

우리는 세상에 존재하는 신의 형상, 즉 형태나 외향에서 닮은 형상이 아니라 본질에서 닮은 형상이며

당신이 곧 신이라는 범신론적 관점으로 자신의 주장을 마무리한다. 사실 녹록하지 않은 책이었지만

그동안 생각해보지 못했던 여러 가지 새로운 시선들을 제공해줘서 신이나 종교라는 어려운 문제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계기를 마련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