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똑똑한 사람들이 왜 이상한 것을 믿을까 - 대체의학의 진실
사이먼 싱 외 지음, 한상연 옮김 / 윤출판 / 2015년 8월
평점 :
채사장은 이렇게 말한다. "자신을 불편하게 하는 책을 읽어라."
이 책은 도서관에서 우연히 마주친 책이었다. 침, 약초, 사혈, 카이로프랙틱, 동종요법 등 대체의학에 대해 다룬 책이라서 책을 펼쳐봤다. 시간이 없어서 침에 관련된 부분만 펼쳐봤다. 현재 침은 어떤 연구가 이루어져있으며 어떤 평가가 내려진 상태인지 궁금했다. 책 내용은 실망스러웠다. 침이 특정한 유형의 통증과 구역질에는 효과가 있지만 그 외에는 플라세보 효과와 큰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였다. 특정한 유형의 통증이 무엇인지는 잘 설명되어 있지 않지만, 한의학에서 침이 치료하는 광범위한 통증과 질환과는 큰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침 부분만 읽어본 후 시간이 없어서 책은 두고 나왔다. 언젠가 읽어봐야지 생각하다 빌려서 읽게 되었다. 사실 이 책이 나를 그렇게 불편하게 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좀 더 합리적이고 회의적으로 침치료를 바라보게 해주었다. 나는 한의사이고 경락과 경혈, 그리고 침치료의 효능을 믿고있다. 믿는다. 그렇다. 분명히 경락이론을 활용해서 침치료를 하면 원하는 효과가 난다. 임상을 하면서 침치료의 효능을 믿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효과가 있는 것과 믿는 것과 과학적으로 입증을 하는 것은 모두 다른 문제이다.
다시 이 책의 이야기로 돌아가자. 저자부터 살펴보자. 신뢰할만한 저자인지. 사이먼 싱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입자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베스트셀러 저자이며 과학적 사고관으로 무장한 분임은 분명하다. 그리고 에트차르트 에른스트는 세계 최초의 대체의학 교수이며 다양한 대체의학을 수련했으며, 대체의학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48권의 저서와 1000여 편의 논문을 집필한 대체의학의 전문가임이 분명하다.
과학자와 의학의 만남. 모두 합리적으로 대체의학에 대해 역사적,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판단한다. 그리고 검증한다. 검증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임상적으로 정말 효과가 있는가?' 이것을 실험을 통해서 검증한다. 이론을 검증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 검증하는 것은 간단하다. 과학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뉘어진 통제된 실험. '이중맹검법' 실험으로 다양한 대체의학들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이중맹검법' 이란 간단히 설명하자면 치료자와 치료받는사람이 모두 자신이 진짜 치료를 받는지(하는지) 가짜 치료를 받는지(하는지) 모르게 실험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이중맹검법은 플라세보효과를 차단하기 위한 방법이다. 플라세보효과는 정말 굉장하다. 우리의 뇌는 믿고 싶은 것을 믿는다. 그리고 뇌가 믿는 것은 신체의 반응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면 '환상통' 이라던가 '상상임신' 을 들 수 있다. 자신이 임신했다고 믿게되면 임신하지 않았더라도 임신증상이 그대로 나타난다. 그리고 환상통은 사지가 절단되었지만 마치 자신의 사지가 그대로 있는 것처럼 그 부위에서 통증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오른손 엄지가 절단된 환자가 오른손 엄지의 통증을 느끼는 것이다. 아무튼 이런 강력한 플라세보효과를 방지하기 위해서 환자와 의사는 모두 자신이 받는(하는) 치료가 진짜인지 가짜인지 모르게 한다. 그것이 바로 '이중맹검법' 이다.
다른 대체의학들은 이중맹검법으로 검증하기에 간단하다. 하지만 침치료는 조금 어렵다. 여기에서 약간의 맹점이 존재하는 것 같다. 실험자들은 침을 깊게 찌르는 것은 진짜 침, 얕게 찌르는 것은 가짜 침이라고 정한 후 실험을 하거나, 경혈에 놓는 침은 진짜 침, 경혈이 아닌 곳에 놓는 침은 가짜침으로 놓고 실험을 했다. 그리고 침을 놓는 시술자가 자신이 진짜 치료를 하는지 가짜 치료를 하는지 모르게 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임상적으로 침을 깊게 찌르나 얕게 찌르나 효과는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 같다. 침을 얕게 찌르는 것을 가짜치료로 보기 어렵다. 얕게 찔러도 효과가 난다. 경혈에 놓지 않더라도 침은 효과를 낸다. 아시혈(특정 경혈이 아닌 아픈 곳에 놓는 침)이나 MPS(근육학적인 관점에서 하는 침치료)는 경혈에 놓지 않는 침치료이다. 경혈에 놓지 않아도 침은 효과를 낸다. 아무튼 한의사가 보기에 완벽한 실험은 아니었다. 아무튼 그 실험결과들은 침치료가 가짜침이든 진짜침이든 효과를 보인다는 것이었다. 침치료가 플라세보효과와 큰 차이가 없다는 결과였다.
아무튼 직접 논문을 검토해 보지 않고는 판단하기 어렵다. 어떤 치료사가 치료를 했는지, 가짜침 놓는 부위는 어떻게 선정했는지 등 좀 더 검토해봐야 판단 가능할 듯 싶다. 나도 궁금하다. 경락이론이 정말 유의성이 있고, 침치료가 플라세보 이상의 무언가가 있는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 직접 경험해보면 플라세보 효과뿐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플라세보라면 아무대나 놓아도 효과가 나야한다. 하지만 그렇게 치료가 쉬운 것은 아니다. 정확한 경락의 경혈에 자침이 되어야 효과가 난다. 예를들면 나는 보통 60개의 조합을 활용한 침법을 사용한다. 치료를 할 때 60개 중에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예를들면 대략 5개 정도를 선정했다고 하자. 보통은 1,2 번에서 효과를 보지만 간혹 5순위까지도 효과가 나지 않을때가 있다.(침을 놓은 후 즉시 호전도를 환자에게 물어서 확인한다.) 효과가 없을 땐 책을 다시 찾아보고 와서 올바른 침처방을 정해서 다시 가서 놓아서 효과를 본 적이 있다. 아무대나 놓는다고 효과가 나지 않는다. 올바른 침치료가 이루어져야 효과가 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생각한다. 물론 통제된 실험이 아닌 임상에서는 플라세보 효과들을 배제하기 어렵다. 하지만 오히려 플라세보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의사가 임상에서는 더 좋은 의사이다.
침치료 뿐만아니라, 사혈요법, 약초요법, 카이로프랙틱, 동종요법 등 다양한 대체의학의 허와 실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대체의학의 역사를 통해 의학의 역사도 조금 엿볼 수 있고, 합리적인 사고방식과 의학의 발전과정도 알 수 있었던 굉장히 좋은 책이었다. 대체의학에 관심이 많으신 분이라면 일독을 권해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