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는 평생 공부해야겠다. 벤저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는 꾸준히 보아야할 훌륭한 고전이다. 




 그레이엄은 33% 하락을 50% 상승과 동일한 것으로 정의한다. -p256


 50% 하락은 100% 상승과 동일하다. 



 우리가 투자자의 포트폴리오에서 주식과 채권의 비율을 조정하는 데 기계적인 방법을 선호하는 것도 단순히 투자상의 이익이나 손실을 편리하게 계산하기 위함이 아니라 위에서 말한 인간의 본성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기계적인 공식은 투자자에게 상황에 따라 '해야 할 일'을 알려 준다는 점에서 도움이 된다. 즉, 투자자는 시장이 상승하면 보유한 주식을 팔아서 채권으로 전환하고, 하락하면 반대로 채권을 팔아 주식으로 전환 할 수 있다. 이처럼 구체적인 행동을 통해 투자자는 심리적으로 억눌린 '에너지'를 건전하게 분출할 수 있다. 올바른 투자자라면 그가 욕망에 휩쓸려 행동하는 다른 사람들과 정반대로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에서 더 큰 만족감을 얻을 것이다. -p258


 요즘 그런 만족감을 느끼고 있다. 



 순자산가치, 장부가치, 대차대조표상의 가치, 유형 자산가치 등의 용어는 모두 순가치와 동의어다. 순가치란 기업의 현물 및 현금자산의 총가치에서 총부채를 차감한 것을 말한다. -p259 


 순가치를 총 발행된 보통주식의 수로 나누면 주당장부가치, 즉 BPS 이다.



 따라서 시세가 확고한 가치 기준에 근거하여 정당화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수준으로 형성되는 때가 아니라면,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여유 자금이 있을 때마다 적당한 주식을 매수하는 편이 더 좋을 수도 있다. -p268

 

 싸게 사려다 좋은 기회를 놓친 적이 있다. 적당한 가격이라 생각되면 앞으로 다소 하락할 거 같다라도 사야한다. 분할매수, 분할매도 항상 원칙을 지키자. 


 














 

 벤저민 그레이엄의 <증권분석>이다. 944p 다. 사놓고 읽으려고 했는데 워낙 두꺼워서 쉽지 않다. 그래도 올해 한 번 도전해봐야겠다.



 여기에서 가치평가란 보통 향후 수년간의 평균수익을 추정하고, 이 추정된 수익에 '자본화 계수'를 곱하여 구하는 수치를 말한다. -p365 

 

 자본화 계수가 뭔지 모르겠다. 찾아보고 공부가 필요하다.



 회사의 '해자'를 강화할 요인으로는 강력한 브랜드 파워, 독점적인 시장 지위, 규모의 경제, 대량의 재화 및 용역을 경제적인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능력, 고유한 무형자산의 소유, 쉽게 대체할 수 없는 고유성 등이 있다. -p383  


 '해자' 에 대해 더 알고 싶으면 고전 <경쟁전략>을 보라고 한다. 알라딘 평이 상당히 좋은 책이다. 



 













 일반적으로 장기부채는 총자본의 50%이하여야 한다. -p389

















 <회계 속임수>와 <분식회계>는 재무제표를 공부할 때 좋은 책이다.



 재무제표, 증권분석을 공부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