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몬한에서 목숨을 잃은 일본군 평사는 2만 명 정도였지만, 태평양 전쟁에서는 실로 2백만 명이 넘는 병사들이 전사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노몬한에서도 뉴기니아에서도 대부분의 병사들이 거의 의미 없는 죽음을 당했다는 것이다. 그들은 일본이라는 밀폐된 조직 속에서 이름도 없는 소모품으로서 아주 운 나쁘게 비합리적으로 죽어 갔던 것이다. 그리고 이 '비합리적인 죽음'. '운 나쁜' 혹은 '비합리성'을 우리는 '아시아성'이라고 부를 수 있을지도 모른다. -p129
굳이 '아시아성' 이라고 이름붙인 이유에 대해서는 의아하다. 태평양 전쟁에서 2백만 명이 넘는 병사들이 전사했다니. 2차 대전 때 소련은 1800만에서 2천6백만 명이 전사했으니 아찔한 숫자이다. 소련 인구의 10%~14%에 해당하는 인구이다.
그러나 나로서는 잘 표현할 수가 없지만, 아무리 멀리까지 갔더라도, 아니 멀리 가면 갈수록 우리가 거기서 발견하는 것은 단지 우리 자신외에 아무것도 아니라는 느낌이 든다. 늑대도, 포탄도, 정전되어 희미한 암흑 속의 전쟁 박물관도 결국은 모두 나 자신의 일부에 지나지 않았던 것은 아닐까? 그것들은 그곳에서 나에게 발견되기를 꾹 참고 기다리고 있었던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그러나 적어도 나는 그것들이 그곳에 있다는 사실을 결코 잊어버리지 않을 것이다. '잊지 않는 것' 말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어쩌면 아무것도 없을 테니까. -p175
공감이 가는 글이다. 인생을 산다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을 경험하는 것이다 라는 말이 있다.
헤밍웨이의 <해는 또 다시 떠오른다> 를 하루키는 성인이 되서 다시 읽었을 때 완전히 넋을 빼앗겼다고 한다. 궁금하다. 읽어보고 싶다. 영화도 있다.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진정한 여행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어느 지역을 '둘러보는' 데 그쳐서는 안 되며 그것을 자신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단순히 어떤 공간을 경과하는 것이 아니라 그 움직임 속에서 새로운 세계를 발견하고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려는 격렬한 의지를 이끌어 내는 것이라야 여행다운 여행이 될 수 있다는 것이지요. 그러니 외부의 풍경에만 눈길을 줄 뿐 자신의 '내면의 풍경' 을 조망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서는, 또한 외부의 온갖 소리에만 열중할 뿐 자신의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려는 노력을 하지 않고서는, 그 여행은 여행의 참다운 의미를 제대로 살린 것이 되기 어렵습니다. 기껏해야 남에게나 거기 가 보았노라고 자랑삼아 늘어놓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게 됩니다. 그것은 껍데기뿐인 여행이 아닐 수 없습니다. -p228
옮긴이 김진욱님의 말씀이다.
즐겁게 읽은 에세이다. 하루키 에세이는 항상 옳다. 적어도 내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