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의 기원>을 독서 모임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을 올 해가 가기 전에 꼭 읽고 싶었기 때문이다. 덕분에 읽기 힘든 순간에도 꾸역꾸역 읽을 수 있었다. 분명 읽기 힘들긴 하지만 좋은 부분도 많고 새롭게 알게 된 사실, 통찰들도 있었다. 진화론에 대한 이해가 더 깊어진다. 다윈의 진화론에 빠져들게 된다. 현대의 진화론 책들을 많이 보고 싶다.
최재천 교수님의 책은 거의 본 적이 없다. 예전에 한 권 보고 실망해서 그 이후로 보지 않았었다. 그래도 우리나라 다윈학파?(내멋대로 지었다)의 거두이니 그의 책을 읽어보고 싶다. <21세기 다윈혁명>은 다윈의 진화론이 철학, 과학, 경제학, 법학, 종교, 문학 등 각 분야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는 교양서 인 거 같아서 읽어보고 싶다.
현재 <다윈의 사도>들을 읽고 있다. 1장 읽어봤는데 볼만하다.
만일 어떤 개체들에게 유용한 변이들이 실제로 발생한다면, 그로 인해 그 개체들은 생존 투쟁에서 살아남을 좋은 기회를 가질 것이 분명하다. 또한 대물림의 강력한 원리를 통해 그것들은 유사한 특징을 가진 자손들을 생산할 것이다. 나는 이런 보존의 원리를 간략히 자연 선택이라고 불렀다. -18p
(중략)
1. 모든 생명체는 실제로 살아남을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수의 자손을 낳는다.
2. 같은 종에 속하는 개체들이라도 저마다 다른 형질을 가진다.
3. 특정 형질을 가진 개체가 다른 개체들에 비해 환경에 더 적합하다.
4. 그 형질 중 적어도 일부는 자손에게 전달된다. -p19
다윈의 자연 선택 이론은 과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이론 중 하나지만 간결한 문장과 논리구조로 설명가능하다. 이 얼마나 아름답고 우아하고 단순한 이론인가.
종이란 단지 그 특징이 뚜렷하고 명확한 변종일 뿐이다. -p108
물론 변종과 종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하나 존재한다. 그것은 변종들 사이의 차이점은 서로 또는 부모 종과 비교했을 때, 동일한 속에 속한 종들 사이의 차이점보다 훨씬 적다는 것이다. -p111
변이->발단종(변종)->아종->종->속, 이런 식으로 이해하면 되겠다. 이는 인간의 인위적 구분일 뿐이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종은 교배가 불가능하거나 교배하더라도 그 자식은 불임인 경우를 말하는 거 같다. 호랑이와 사자는 다른 종이다. 교배가 가능하지만 자식은 불임이다. 말과 당나귀도 교배가 가능하지만 노새는 불임이다. 노새같은 경우를 잡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과거의 종들 중 극소수만이 계속해서 자손을 남기고 있다는 관점, 그리고 동일한 종의 자손들 모두가 하나의 강을 형성한다는 관점을 통해, 동식물계를 크게 분류할 때 어째서 그렇게 소수의 강밖에 존재하지 않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대다수의 예전 종들 중 극소수만이 현재도 살아 있는 변이된 자손을 가지고 있지만, 지질학적으로 매우 먼 과거의 시대에서도 지구는 지금처럼 많은 속, 과, 목, 강에 속한 수많은 종들로 가득 차 있었을 것이다. -p198
지구상에서 99%의 종들은 멸종되었다고 한다. 지금 살아남은 것은 1%의 종들에 불과하다. 어째서 종은 많고 과, 속, 강, 문, 계 처럼 위로 올라갈 수록 분류가 적은지는 이렇게 설명가능하다. 지금의 종들 대부분 먼 미래에는 멸종할 것이다. 살아 남은 몇몇 종들만 자손을 남기고 그 자손들의 형질의 분기될 것이다. 그렇게 새로운 종들이 생겨날 것이다. 예를 들면 몇 천만년 혹은 몇 억년 후에 지금의 호모 사피엔스는 종의 지위에서 속의 지위로 올라가고 수많은 종들을 거느린 호모 사피엔스 속이라 불리게 될 것이다. 지금의 강으로 분류되는 것들은 과거의 살았던 다양한 종들 중 현재까지 살아남아 자손을 번식시킨 종들일 뿐이다.
소개하고 싶은 내용들이 더 있지만 앞 뒤 맥락까지 다 소개해야되기 때문에 이것으로 마친다. 현재 반을 읽었다. 나머지 반도 읽고 페이퍼를 쓸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