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멍투성이 과학 - 지금 이 순간 과학자들의 일상을 채우고 있는 진짜 과학 이야기
스튜어트 파이어스타인 지음, 김아림 옮김 / 리얼부커스 / 2018년 9월
평점 :
유시민의 <문과남자의 과학공부>를 읽었다. 책 속에 재밌어 보이는 과학책들이 여럿 있었다. 과학책 열권을 한꺼번에 구매했다. <구멍투성이 과학>은 그 중 처음으로 완독한 책이다.
<구멍투성이 과학>은 과학의 본질, 과학의 진짜 모습에 대해 이야기한다. 무지와, 실수, 실패를 과학을 통해 고찰하는 책이다.
저자는 생물학과 교수이다. 그는 먼저 교과서에 수록된 과학에 대해 비판한다. 가설을 세우고 관찰이나 실험으로 검증하고 이론을 만드는 과학,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우고 외우고 시험 본 과학의 모습이다. 저자는 과학은 결코 저런 식으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일견 저런 과정과 저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지만 실상은 완전 뒤죽박죽이고 실수와 시행착오의 연속이다.
저 모델은 여러 과학철학자나 칼 포퍼가 비판한 적이 있다. 가설은 하늘에서 뚝 하고 떨어지지 않는다. 가설을 세우기 전에 여러 단계가 있을 것이고 가설을 세우는 다양한 경로가 있을 것이다. 가설을 세우고 실험으로 검증하는 과정도 결코 만만하지 않다. 실험 결과를 검토하고 수정하고 다시 실험하고 다른 과학자들에 의해 검증받고 등등. 실험이 실패하면 다행이지만 제대로 실패조차 하지 않을 수 있다! 실험하는 도중에 다시 가설을 수정할 수도 있고 아무튼 저렇게 단순화 시켜서 과학을 이해하게 되면 과학은 잘 짜여지고 계획되고 성공을 향해 나아간다는 잘못된 인상을 줄 수 있다. 실제로 과학은 무수한 실패와 시행착오의 연속이다. 그리고 그 실패들은 결코 무의미하지 않다. 과학자는 실패와 실수를 통해 배운다. 실패와 성공을 통해 지식을 축적해나간다. 이것이 과학의 진짜 모습이고 과학이 아름답고 합리적인 이유이다. 과학은 결코 완전하지 않다. 종종 확신을 하긴 하지만 얼마든지 새로운 증거에 의해 반박되고 수정되고 개선될 수 있다.
과학의 모습이 우리 삶의 모습과 흡사하다 생각했다. 우리의 삶도 무수한 실패와 시행착오의 연속이 아니던가? 실패의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었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 실패를 통해 배우는 것. 끊임없이 사고하고 실행하는 것. 그것이 과학과 삶에서 필요한 자세가 아닐까 싶다.
다양한 재밌는 실패 사례들이 자세하게 소개될 줄 알았는데 그 부분은 부족해서 아쉬웠다. 실패 사례들을 간략하게 이야기하고 넘어가고 실패에 대해 성찰하는 내용이 더 많아서 아쉬웠다. 물론 실패에 대한 성찰도 의미가 있지만 나는 이미 저자의 주장과 논조에 동의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부분들이 조금 지루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재미난 실패 사례들을 기대했는데 이 부분이 부족해서 아쉬웠다.
과학의 본 모습, 그리고 실패의 의미에 대해 고찰할 수 있었던 좋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