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심리학자인 캐럴 홀든 박사는 18년 동안 살인자들을 인터뷰한 뒤 "우리와 살인자들을 구분하는 선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라고 말했다. 아마도 유일한 차이점은, 손익 계산을 통해 그들은 치명적인 해결책에 도달했다는 사실뿐일 것이다. -p34


 예전에 나는 살인자들은 우리와 완전히 다른 사람이라 생각했다. 사이코패스 연쇄살인마는 분명 우리와 다르다. 뇌 MRI 사진을 찍어보면 사이코패스를 판별할 수 있다. 사이코패스라고 해서 모두가 연쇄살인마인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사이코패스는 우리와 다르지만 나머지는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보통 사람들이다. 차이는 살아온 환경과 그가 겪게 되는 상황들이 다를 뿐이다. 연쇄살인범에 의한 살인은 전체 살인의 1-2퍼센트 정도 밖에 안된다. 살인자의 96퍼센트는 어떤 정신 질환도 없는 제정신인 사람들이다. 


 데이비드 버스는 진화심리학자이다. <진화심리학>이란 책은 읽다 말았는데 다시 꺼내 읽어봐야겠다. <욕망의 진화>도 읽고 싶은 책이다.  




 













 과학과 진화론은 역시나 뛰어난 도구다. 데이비드 버스는 진화심리학을 통해 살인의 심리를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왜 인간이 살인을 저지르는지, 어떠한 상황에 살인 충동을 느끼는지 진화적으로 설득력있게 이야기해준다. 나는 충분히 설득당했고 그의 이론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비록 남성들이 육체적으로 매력적이 되기 위해 여성들처럼 격렬하게 경쟁하지는 않지만, 남성의 매력은 여성의 매력보다 복장이나 다른 외부 장신구의 품격에 훨씬 더 많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인류학자인 존 마셜 타운센드는 동일한 남성에게 옷을 다르게 입힌 후 여성들에게 누가 더 매력적인지 평가하게 했다. 그 남성은 한번은 버거킹 유니폼에 야구 모자를 쓰고, 다른 한번은 롤렉스 시계를 차고 유명 디자이너가 만든 셔츠를 입은 채 사진을 찍었다. 사진을 본 여성들은 맵시 있게 차려 입은 남성을 훨씬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녀들은 지위가 낮아 보이는 옷을 입은 남성과는 데이트를 하거나 성관계를 갖거나 결혼을 하고 싶지 않다고 대답했다. 이러한 결과는 직관적으로 명확해 보인다. 그러나 남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동일한 실험에서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왔다. 남성들은 입고 있는 옷에 관계없이 여성의 매력을 거의 동일하게 평가했다. -p96   


 상당히 흥미롭다. 남자들이 옷을 잘 입고 좋은 차, 좋은 시계를 차는 이유는 당연히 여자들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그런 행동은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나도 좀 반성하고 노력해야겠다ㅠ 재밌는 점은 남성은 여성의 옷이나 장신구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역시나 직관적으로 굉장히 이해가 된다. 



 남성은 자신의 육체적 능력을 과시하기 위해 위험한 경쟁 활동에 참가한다. 그 결과가 축적되어 남성은 여성보다 평균적으로 7년 먼저 사망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사실은 왜 남성이 번식 경쟁을 수반하는 특정한 상황에서 살인 같은 극단적인 폭력을 행사하도록 진화했는지 설명해 준다. 아주 많은 살인들이 번식 경쟁의 결과 진화된 심리로 설명될 수 있다. 이는 남성에서의 높은 폭력 발생률을 설명하기 위해 지금껏 제시되었던 어떤 이론들보다도 훨씬 더 타당하다. -p98  


 인터넷을 찾아보니 아직 남성의 수명이 여성보다 짧은 이유에 대한 과학적인 해답은 없는 듯 하다. 여러 가설들이 있지만. 데이비드 버스의 위의 주장이 설득력 있게 들린다. 과학적으로 얼마나 근거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남성들이 확실히 더 위험한 활동을 하고 자동차도 더 많이 탈 거 같다. 질병이 아닌 사망 확률 1위는 교통사고로 알고 있다. 남녀 간의 교통사고 사망률, 사망자수를 비교해보면 좋을 거 같다. 그리고 폭력에 의한 사망률, 사망자 수도 여성보다 남성이 높을 거 같다. 아무튼 질병이 아닌 사고사, 살해, 상해치사 등의 사망자수와 사망률을 비교해보면 어느 정도 답이 나올 거 같다. 개인적으로 데이비드 버스의 주장에 손을 들어주고 싶다. 단적인 증거지만 인터넷을 찾아보니 역시 교통사고로 인한 치사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낮다. 



 1974년까지 텍사스에서는 자신의 아내와 침대에 함께 있다 발각된 남성을 살해하는 것이 완전히 합법적인 행위였다. 남편은 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았다. "아내와 간통을 저지른 남성을 살해할 때는 간통 현장에서 사람들이 흩어지기 전에 살인을 저질러라." 만약 남편이 부정 현장을 발견한 후 밖으로 걸어 나가 그 일애 대해 생각한 후 다시 돌아와 살인을 저지르면, 그것은 말 그대로 살인죄로 처벌받게 된다. 그러나 현장에서 그대로 살인을 저지르면 그 경우는 "이성적인 인간"의 기준에 합치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즉 이성적인 인간은 다른 남성이 자신의 아내와 벌거벗고 누워 있는 모습을 보고 살인을 저지를 정도로 심신이 착란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는 것이다. 적어도 1974년까지 텍사스에 존재했던 이 법률은 살인 회로가 인간 본성의 일부분이라는 것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비단 텍사스에만 국한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p233


 프랑스 인들은 질투라는 위험한 감정에 사로잡힌 순간에 저지를 살인은 특별히 감형해 준다. 비슷한 법이 이탈리아, 벨기에, 루마니아, 스페인, 폴란드, 불가리아, 덴마크, 그린란드, 우루과이, 스위스, 유고슬라비아, 브라질에서도 성문화되어 있다. -p233

   

 원시 문화 뿐 아니라 현대 서구 문화에서도 간통 현장에서의 살인은 정상 참작이 된다. 1974년까지 텍사스에서는 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았다니 놀랍다. 조금만 상상해봐도 이해가 된다. 간통현장을 들킨 이는 본능적으로 살인에 대한 공포와 위협을 느낀다. 간통현장을 발견한 이 역시 충분히 살인 충동을 느낄 수 있다. 재판관과 배심원도 사람인지라 이런 정황을 고려해서 정상 참작을 해준다. 


 

 인간이 살인 충동을 느끼는 번식과 생존에 밀접한 것들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이유는 치정 살인이다. 집에서 남편이나 아내가 살해당하면 가장 의심받는 1순위는 배우자이다. 배우자의 치정이나 재산에 얽힌 살해동기를 가장 먼저 찾는다. 



 양이 많아서 2부로 나워야겠다. 재밌게 읽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