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이 좋은 걸 이제 알았다니 구픽 콤팩트 에세이 1
이경희 지음 / 구픽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SF를 좋아하는 나로써는 즐거운 책이었다. 유쾌하고 읽기 편했다. 덕질을 하는 사람은 반짝반짝 빛이 난다. 진실로 무언가를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는 것은 기분좋은 일이다. SF를 사랑하는 작가 이경희씨를 만났다.


 우리나라도 꽤나 SF를 사랑한다. 특히 영화가 인기가 많다. 헐리웃 SF 영화들이 높은 관객수와 흥행순위를 자랑한다. 특히 <인터스텔라>는 우리나라에서 유독 사랑받은 영화였다. 마블 시리즈도 우리나라에서 더 많이 사랑받는 거 같다. 그 외에도 <아바타>, <터미네이터>, <에일리언>, <로보캅> 등등 말하자면 끝이 없다. 작가도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유독 한국에서 더 사랑받는다. 우리나라는 SF를 좋아하는 거 같다. 


 하지만 한국인은 자신들이 좋아하는 장르가 SF라는 사실에 크게 관심이 없다. 어쩌면 이게 SF의 본질이 아닐까? 미국에서는 이미 장르문학과 순문학의 경계가 사라졌다고 한다. 사실 장르문학이라는 것 자체도 하나의 분류일 뿐이다. 장르는 독자와의 하나의 약속이라고 이경희씨는 말한다. 일상생활에서 광선검, 광선총이 등장하면 우리는 어안이 벙벙하겠지만 SF라면 우리는 별무리 없이 수용한다. 차원이동, 공간이동도 크게 딴지를 걸지 않는다. 어차피 SF에서 다루는 이야기도 사람들의 이야기다. 사랑, 우정, 가족 등의 인간사를 다룬다. <인터스텔라>도 부성애가 큰 축을 차지하고 감동을 주지 않는다. <그래비티>는 아예 대놓고 모성애, 우울증, 고독, 상실 등을 다룬다. SF는 그것을 효과적으로 부각시키는 도구, 환경이다.


 저자는 SF가 과학이 아니라 말한다. 사실 과학적으로 엄밀한 하드SF가 존재하긴 하지만 SF 장르에 등장하는 대부분은 과학적이지 않다. 타임머신, 워프, 광선검 등은 과학이 아니다. 과학적 상상이다. 앞서 말한바와 같이 결국 SF는 과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인간의 이야기를 다룬다. 


 SF에 대한 이런저런 사유와 이야기를 바탕으로 다양한 작품을 소개하고 이야기한다. 장점이자 단점은 너무 많은 작품을 간략하게 이야기하고 넘어가서 머가 재밌는지 뭐부터 볼지 모르겠다는 점이다. "이런 꼭 봐야돼!, 이건 강추야!" 저자가 이렇게 이야기해줬으면 하는 푸념이다. 


 나는 SF를 좋아한다. SF는 이미 우리 삶에 너무 익숙히 들어와있다. 게임, 만화, 소설, 영화 등등. SF는 상상력을 자랑한다. 새로운 세계를 창조한다. 새로운 문제, 새로운 이야기를 창조한다. 사실 우리가 알고 있는 고전 중에도 SF가 많다. <프랑켄슈타인>, <멋진 신세계> 등은 지금이라면 SF 딱지가 붙어졌을 것이다. 저자의 표현대로 장르는 바구니가 아니라 해시태그다. 한 작품은 한 장르에 담기지 않는다. 한 작품은 여러 장르의 해시태크가 붙는다. 한 작품의 장르에 SF, 판타지, 공포, 미스터리, 스릴러, 가족, 모험, 성장이 모두 들어갈 수도 있다. 


 저자의 SF에 대한 사랑이 느껴져서 더욱 즐겁게 읽을 수 있었다. 이 책에 소개된 좋은 작품들도 만나보고 싶다. 


 p.s 이경희란 이름 때문에 저자가 줄곧 여자 분인지 알고 있었다. 방금 저자의 얼굴을 확인하고 남자 분이라는 걸 알게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