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진 돈은 몽땅 써라 - 먹고 놀고 마시는 데 목숨 걸어라, 다시 살 수 없는 것들에 투자하라
호리에 다카후미 지음, 윤지나 옮김 / 쌤앤파커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 호리에 다카후미씨는 일본의 일론 머스크라 불리는 분이다. 책 제목이 자극적이다. 일반인들이 가지고 있는 저축신앙, 안전신앙을 강하게 비판하는 분이다. 레버리지를 적극 활용하고 인생을 즐기는 분이다.


 하고 싶은 일은 열정적으로 하고 하기 싫은 일은 하지 않는다. 하기 싫지만 해야 하는 일은 일임하거나 최대한 효율적으로 한다. 재밌고 심플한 삶을 지향한다. 그의 가치관에서 배울 점이 많았다.


 나는 푼돈을 아끼려다 기회와 시간을 낭비한 경험이 많다. 이제는 점차 그런 부분을 의식해서 생활하고 있다. 저자는 강력하게 말한다. 돈보다 중요한 것은 경험과 시간이라고. 자신이 지금껏 아낀 돈은 그만큼의 경험과 시간을 낭비한 것이라고. 아낌없이 경험에 투자하고 시간은 돈을 주고 사라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의 사고방식을 좀 배우고 싶다. 어차피 죽으면 통장에 남아있는 돈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물론 그렇다고 내일이 없이 살면 안되지만 적절한 균형은 필요하다. 너무 아끼다가 소중한 기회와 시간을 낭비하는 일은 결코 없어야 한다.


 슬픈 이야기가 있다. 나의 이모는 식당을 하신다. 어머니도 오랜 세월 이모의 식당일을 도왔다. 식당에서 오래 일한 직원 분이 있었다. 짠돌이로 유명한 분이었다. 어느 날 그 분이 말도 없이 출근하지 않았다. 걱정이 되어 다른 직원이 집에 찾아갔다. 식탁에서 고개를 숙인 채로 숨져 있었다고 한다. 사인은 심장마비나 머 그런 것이었던 거 같다. 가슴 아픈 이야기다. 그 분의 인생에 대해서 알지도 못하는데 뭐라 평가하는 것은 안될 일이다. 하지만 좀 더 건강과 휴식, 즐거움에 투자했으면 좋지 않았을까하는 안타까움이 남는다. 


 나는 저번 달 말에 처음으로 가사도우미를 썼다. 3시간에 4만8천원. 가사도우미를 쓰는 동안 나는 씻고 아침 먹고 책도 읽고 낮잠도 잤다. 이루 말할 수 없이 행복했다. 나는 집안일을 싫어한다. 집안일은 생산적이지 않다. 하지만 하지 않으면 안된다. 한두 달에 한 번 정도는 충분히 투자할만하다. 


 저자의 모든 이야기가 정답은 아니다. 개인차도 분명 존재한다. 하지만 돈, 저축보다 중요한 것은 경험, 시간, 사람이라는 것, 자기 자신에게 투자하는 것이 최고의 재테크라는 것은 잊지 말고 명심해야겠다. 투자의 대가 워런 버핏도 최고의 투자는 자기 자신에게 하는 투자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 중 최고는 독서라고 했다. 

 

 워런 버핏은 돈을 쫓지 않았다. 어렸을 때부터 장사, 주식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실천했지만 돈이 목적이 아니었다. 재미가 목적이었다. 그는 여전히 탭탠스를 추면서 출근하고 일한다. 다행히 그에겐 하루 종일 읽고 계산, 분석하고 답을 찾는 게 가장 즐거운 일이다. 의외로 워런 버핏은 공부를 많이 했다. 초창기에 자신에게 투자를 많이 했다. 당연하다. 그에게 돈은 중요치 않았다. 돈은 그저 자신의 판단이 옳다는 것에 대한 증거였다. 버핏은 대학교 졸업 후 벤저민 그레이엄에게서 배우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해서 석사 학위까지 받았다. 벤저민 그레이엄이 학교에서 나가면서 버핏에게 자신과 함께 일하자고 하자 급여는 생각하지도 않고 그를 따라 나섰다. 버핏은 무급이어도 즐겁게 일했을 거라고 훗날 말했다. 그는 이미 어렸을 때 주식에 관한 책은 모조리 다 읽었다. 벤저민 그레이엄은 버핏을 제자 중 최고였다고 평가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대기업의 CEO들, 크게 성공한 사람 중에 돈을 목표로 사업을 하거나 인생을 산 사람은 아무도 없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고 자신의 열정에 따르는 것, 그것을 계속 반복하는 것, 그것이 성공의 비결이다. 돈은 따라가는 것이 아닌 따라오는 것이다. 


 다시 강조하지만 자신에게 하는 투자가 가장 가치있는 투자이다. (그래서 넌 잘하고 있니? 반성하게 된다. 그래도 요즘 정신 차리고 공부와 독서 시간을 많이 늘리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