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애의 역사 - 침묵과 고립에 맞서 빼앗긴 몸을 되찾는 투쟁의 연대기
킴 닐슨 지음, 김승섭 옮김 / 동아시아 / 2020년 11월
평점 :
의사, 보건과학대학 교수, 사회역학자인 김승섭씨의 에세이 <아픔이 길이 되려면>을 인상깊게 읽었다. 우리 사회에 이런 훌륭한 분이 계시다는 사실에 안도와 감사를 느꼈다.
김승섭씨가 번역한 <장애의 역사>를 반쯤 읽었다. 이 책은 장애의 관점에서 미국의 역사를 바라본 책이다. 미국의 역사는 다들 대략적으로 알 것이다. 아메리카 대륙에 원주민이 살고 있었고, 콜롬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했다. 현재의 미국 땅에 영국 청교도인 등이 이주하여 원주민인 인디언을 학살했다. 미국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고 그리고 현재의 초강대국 미국이 됐다.
이 책은 인디언 시대부터의 장애의 역사를 다룬다. 과거의 장애에 대한 인식과 지금의 장애에 대한 인식이 얼마나 달랐고 어떻게 달라져왔는지 보여준다. 인디언 사회에서 신체적, 정신적 장애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장애는 지금보다 훨씬 흔했다. 장애인들은 사회에서 각자의 몫을 다했다. 그들은 사회 구성원으로 받아들여졌다. 듣거나 말하지 못하는 장애도 인디언 부족 사회에서 통용되는 수화가 있었기 때문에 의사소통에 큰 문제가 없었다.
초창기 미국사회도 인디언 사회와 비슷했다. 장애는 배제의 대상이 아닌 보살핌의 대상이었다. 가족이 혹은 사회가 장애를 돌봤다. 하지만 노예에게 장애는 곧 죽음이었다. 노예에게 노동 외의 가치는 없었고 장애로 인한 작업 능률처하는 곧 상품가치의 저하를 의미했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일화가 있다. 노예를 바다를 통해 운송하는 도중 노예가 병이 걸려 눈이 멀거나 장애가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장애가 생긴 노예는 제값에 못 팔바에 보험금을 타기 위해 돌을 매달아 바다에 던져버렸다.
이는 오늘날 우리 사회의 모습에 대한 은유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장애로 인한 능력, 능률의 저하는 곧 사람의 상품가치 하락을 의미한다. 장애인은 불필요한 비용을 증가시킨다. 때문에 비장애인이 선호되고 장애인은 배제된다. 사회의 변화가 장애,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정상인과 비정상인의 구별, 차별은 심해졌다.
아직 책을 반밖에 읽지 않았다. 더 읽고 장애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해봐야겠다. 몇 가지 확실한 사실이 있다. 첫번째, 인간의 가치는 상품가치 이상이라는 것이다. 두번째, 우리, 혹은 우리의 가족은 언제 장애인이 될지 모른다. 이 책의 저자도 이 책을 쓰는 와중에 딸이 급작스러운 질병으로 하반신 마비의 장애인이 됐다. 그 일은 그녀의 장애에 대한 인식을 더욱 풍부하게 했다. 우리는 우리가 장애인이 되었을 때 살고 싶은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