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보자기 파랑새 사과문고 91
윤소희 지음, 홍선주 그림 / 파랑새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어린이책

맑은책시렁 229


《붉은 보자기》

 윤소희 글

 홍선주 그림

 파랑새

 2019.9.27.



김부흥도 미처 생각지 못했던 자신의 기록에 대해 짐짓 놀랐으나 이득원처럼 흥분하지는 않았다. 이득원은 함께 하대업을 찾아가 사초 수정을 청탁하자고 김부흥을 설득했다. (46쪽)


“사초를 쓴 것이 네놈이냐?” 그제야 하대업은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알 수 있었다. “황송하오나, 전하께서는 어찌 열람이 금지된 사초를 보신 것이옵니까?” (56쪽)


‘사초를 내가 다 읽어 두었더라면, 이 머릿속이 이야기책들로만 꽉 차 있을 게 아니라 아버지의 사초 내용으로 꽉 찼더라면, 그깟 종이 뭉치 좀 없어진들 뭐가 걱정이겠는가. 잃어버리면 다시 쓰고, 빼앗아 가도 다시 쓰고, 불타 버려도 다시 쓰면 그만인 것을.’ (147쪽)


궁에서 벌어지는 암투와 잔혹한 사건들에 대해서도 아버지는 함부로 비난하지 않았고, 애잔함과 비통함을 금치 못하며 써 내려갔다. 나쁜 짓을 일삼는 탐관오리들에 대해서도 그 탁하고 탐욕적인 마음의 가난함을 먼저 헤아렸다. 인덕이는 어째서 아버지가 그토록 목숨처럼 사초를 지켜야만 했는지 비로소 그 참된 이유를 알 수 있었다. (159쪽)


‘책쾌 아재, 아재가 얼마나 멋있는 사람인지 알게 될 거예요. 동휘야, 너희 아버지는 나쁜 탐관오리가 아니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이었다는 걸 알게 될 거야.’ (165쪽)



  국민학교를 다니며 일기 숙제를 늘 해야 했는데, 그무렵 제가 쓴 일기에서 어머니나 아버지 이야기는 없다시피 합니다. 학교에서는 일기에 이 글을 쓴 사람 하루만 쓰라 했으니 고분고분 따른 셈인데요, 어머니나 아버지나 집안이나 마을 이야기도 바로 ‘글쓴이인 내’가 살아가는 이야기인 줄 스스로 미처 헤아리지 못한 탓이기도 하겠지요.


  날마다 신문이 나오고, 방송이며 유튜브에 온갖 이야기가 흐릅니다. 나라에는 국가기록원이 있어요. 으레 정치·사회·스포츠·문화예술 이야기를 다루는데, 이 가운데 여느 자리 수수한 사람들 이야기는 얼마나 될까요. 국가기록원은 1955년 어느 날 작은고장 어린이 일기를 건사한 적 있을까요. 1975년 어느 날 시골 어린이 일기를 건사하자는 생각을 한 적 있을까요.


  어린이문학 《붉은 보자기》(윤소희, 파랑새, 2019)는 ‘조선왕조실록’을 엮는 바탕이 되는 ‘사초’를 쓴 사람을 둘러싼 줄거리를 다룹니다. 사초를 쓰는 사람은 임금을 비롯해서 임금집이며 나라에서 흐르는 온갖 이야기를 곰곰이 보면서 고스란히 담아내는 몫을 한다지요. 감추고 싶거나 부끄러운 이야기라 하더라도 ‘사초를 쓰는 사람’은 이를 지우거나 감추거나 덜거나 손질하지 않으려고 애썼다지요.


  어린이문학 《붉은 보자기》는 ‘사초에 적힌 벼슬아치나 임금 자취’를 슬쩍 들여다본 벼슬아치하고 임금이 ‘사초를 쓴 사람’을 나무라거나 죽일 뿐 아니라 두멧시골로 내보내는 줄거리도 다룹니다. 스스로 했던 일을 감추고, 뭔가 잘못하거나 뒷자리에서 벌인 꿍꿍이는 모조리 지우도록 했다는 줄거리를 함께 다루는데요, 벼슬아치나 임금으로서 이들은 무엇이 부끄러웠을까요? 뭔가 잘못했던 일이나 꿍꿍셈이 부끄러울까요, 아니면 그무렵 이 나라를 이룬 수수한 사람들 살림살이를 제대로 모르면서 정치를 한 모습이 부끄러울까요?


  ‘어떻게 나라지기나 벼슬아치가 시시콜콜한 대목까지 다 알아야 하느냐?’고 물을 수도 있어요. 그러나 나라지기나 벼슬아치가 시시콜콜한 여느 사람들 수수한 삶을 모른다면 무슨 정책을 어떻게 펼까요? 셈틀이나 손전화가 없는 가난한 어린이나 푸름이도 제법 있는데, 다짜고짜 누리맞이를 하면 가난한 아이들은 어리둥절하겠지요. ‘저소득계층·차상위계층’이란 이름이 아닌 ‘이웃에 사는 가난한 사람’이 어떤 살림살이인가를 나라지기나 벼슬아치가 스스로 챙겨서 살피지 않는다면, 제대로 나라살림을 알차게 가꾸는 길을 안 가거나 못 가겠지요.


  대통령뿐 아니라 시장·군수이며 읍면동사무소 공무원이라면 누구나 큰기업 꼭두머리도 만날 수 있겠지만, 작고 낮은 자리에서 수수하게 하루를 짓는 사람도 언제나 만날 노릇이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붓’이라면 정치·사회·스포츠·문화예술이라는 갈래만 다룰 노릇이 아닌, 신문사나 방송사 곁에 있는 작고 낮은 사람들 살림살이를 나란히 지켜보고 어깨동무하면서 담아낼 줄 알아야지 싶습니다.


  어린이문학 《붉은 보자기》에 나오는 ‘사초를 쓴 어른’은 임금하고 벼슬아치를 둘러싼 이야기를 아로새겼다면, 이 집안 딸아이는 어떤 이야기를 새로 쓸 만할까요. 구태여 임금이나 벼슬아치 이야기를 더 써야 할까요, 아니면 두멧시골이며 이 나라 골골샅샅에서 수수하게 삶을 짓고 사랑을 꽃피우는 이웃들 이야기를 처음으로 제대로 쓰는 붓길로 들어설 수 있을까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겁 없는 허수아비의 모험 비룡소 걸작선 52
필립 풀먼 지음, 피터 베일리 지음, 양원경 옮김 / 비룡소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숲노래 어린이책

맑은책시렁 201


《겁없는 허수아비의 모험》

 필립 풀먼 글

 피터 베일리 그림

 양원경 옮김

 비룡소

 2009.2.10.



안으로 들어간 잭은 고무래, 괭이, 빗자루, 삽, 갈퀴 등에 둘러싸인 채 짚단 위에 앉아 있는 허수아비를 발견했다. 잭이 보기에 그것들은 모두 벽에 기대어 서서 허수아비의 말을 경청하고 있었다. 적어도 잭에게는 그렇게 보였다. 그리고 잭이 헛간에 있다는 걸 농기구들이 알아챘다고 여겨진 순간, 그 물건들은 다시 평범한 고무래와 괭이 등의 농기구로 보였다. (83쪽)


“늘 이런 식으로 식료품을 구하나요? 농부들에게서 그냥 가져오냐고요.” 요리사가 설명했다. “군대를 유지하라고 농부들이 기증하는 거야. 봐라, 우리가 여기서 농부들을 지켜 주지 않으면 브룬즈윅 공작이 와서 몽땅 가져가 버릴걸.” “그러니까 군인들이 농부들의 식료품을 가져가지 않으면 공작이 그럴 거라고요?” (141쪽)


“말도 안 돼요. 죽어 가는 사람들이 그런 슬픈 노래를 듣고 퍽이나 고마워하겠네요. 어쨌거나 허수아비들은 달라요. 노래와 춤, 농담, 옛날이야기 같은 것들이 필요해요. 안 해 주실 거면 다들 집으로 돌아가세요.” (266쪽)



  우리가 먹는 밥알이 모두 목숨이요, 우리랑 똑같이 말하는 줄 안다면, 우리는 밥상맡에서 어떻게 보낼까요? ‘말하는 밥알’이라니 끔찍하거나 무서워서 그만 밥을 못 먹을까요, 아니면 밥알하고 늘 조잘조잘 이야기를 하다가 “반가워! 아름답게 내 몸이 되렴!” 하고 외치면서 먹을까요?


  우리가 손에 쥔 연필한테 마음이 있어, 우리가 연필을 써서 닳고 닳을 적마다 연필이 “아, 이제 내 몸이 거의 사라지네.” 하고 말한다면, 우리는 깜짝 놀라서 연필을 집어던질까요, 아니면 연필한테 “응, 여태 온갖 이야기를 적도록 몸을 내주어 고마워. 몽당연필이 되더라도 널 잊지 않아.” 하고 속삭일까요?


  허수아비가 먼먼 마실길을 나서면서 겪는 이야기를 다룬 《겁없는 허수아비의 모험》(필립 풀먼/양원경 옮김, 비룡소, 2009)입니다. 허수아비한테는 두렵거나 꺼리는 마음이 없다고 합니다. 모든 하루가 새롭고, 새로운 하루에 맞닥뜨리는 모든 일이 즐거우며, 언제나 둘레 모든 이웃이며 동무하고 재잘재잘 이야기를 한다지요.


  시골자락 들판에 서던 허수아비는 시골집 테두리만 보고 듣고 알았습니다. 바야흐로 시골마을을 떠나 큰고장을 이리저리 돌면서, 또 숲을 가로지르면서, 날마다 마주하는 모든 살림이며 숨결이 재미나고 놀랍습니다. 그리고 어리석은 짓을 일삼는 사람들이 아리송하면서 궁금하다지요. 이 아름다운 터전에서 이 아름다운 나날을 왜 어리석은 짓을 하면서 보내는지 알 길이 없다지요.


  허수아비는 길을 가며 노래합니다. 허수아비는 길고긴 나들이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며 웃습니다. 허수아비는 앞으로 맞이할 새로운 삶길을 싱그럽게 꿈꿉니다.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마음을 가꾸며 스스로 오늘을 이야기합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내기 주권자를 위한 투표의 지혜 - 첫 선거 설렘이 민주주의 성숙으로 철수와 영희를 위한 사회 읽기 시리즈 6
손석춘 지음 / 철수와영희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푸른책

푸른책시렁 155


《새내기 주권자를 위한 투표의 지혜》

 손석춘

 철수와영희

 2020.3.1.



완강한 반대론자들은 18살이면 투표하기에 아직 어리고 학교가 정치로 난장판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찬찬히 짚어 보죠. 과연 나이가 많다고 정치적 판단이 성숙하는 걸까요? (5쪽)


적잖은 사회학 개념이 그렇듯이 일본이 ‘대통령’으로 옮긴 번역어가 그대로 한국에 들어왔습니다 … 일본에선 ‘통령’이란 말이 고대부터 통용되어 익숙한 말입니다. 사무라이 전통이 강한 일본에서 통령은 ‘무사들을 통솔하는 우두머리’를 뜻했습니다. 지금도 통령이란 말은 일본의 신사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77쪽)


분명한 사실은 박정희와 전두환, 노태우 모두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에 대형금고를 설치해두고 애용했다는 점입니다. 전두환이 자신을 따르는 군부의 장성들과 장차관들은 물론, 청와대 출입기자들에게도 일반인이 상상할 수 없는 크기의 돈 봉투를 선심 쓰듯 나눠 주었다는 증언들은 그 대형금고가 30여 년 지속된 군부독재 시대에 어떤 구실을 했는지 짐작케 합니다. (155쪽)


언론이 호남 독자가 아닌 영남 독자를 확보하려고 ‘신경’ 쓰는 까닭을 알고 나면 너무 단순하여 믿어지지 않을 텐데요, 영남 지역 인구가 호남 지역 인구를 압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74쪽)


남쪽의 부익부빈익빈 체제나 북쪽의 ‘수령경제 체제’ 모두 겨레의 미래일 수 없습니다. 남쪽 사회는 자살률, 출산율, 노동시간, 사회복지를 비롯한 삶의 여러 지표에서 ‘경제 선진국’을 자부하기 어렵습니다. 북쪽은 과도한 명령경제 체제가 이어지면서 ‘대량 아사’까지 겪었습니다. (211쪽)



  열여덟 살 푸른나이에 비로소 투표권을 누릴 수 있습니다. 앞으로 투표권은 더 넓게 펴야지 싶습니다. 열다섯 살 푸름이도 이 나라에서 꿈을 키우며 살아가기에, 푸름이 앞길을 헤아리는 일꾼을 가리자면 푸름이가 스스로 목소리를 낼 자리가 있어야 해요. 어린이도 매한가지입니다. 어린이가 이 땅에서 어린이다우면서 즐겁고 아름답게 살아가도록 마음을 펴는 길은, 바로 어린이 눈높이에서 바라보지 않고서야 나라길로 삼지 못합니다. 열 살 어린이부터 누구나 투표권을 누릴 노릇이라고 생각해요.


  이와 맞물려 푸름이하고 어린이는 모둠살이라고 하는 길을 생각해야겠지요. 어른을 흉내내어 저지르든, 어른보다 모질게 저지르든, 어른하고 똑같이 저지르든, 학교나 마을에서 어린이·푸름이가 일으키는 따돌림이나 괴롭힘을 놓고 달게 값을 치를 노릇이지 싶습니다. 이 대목을 함께 밝히면서 투표권에 다가서야지 싶어요.


  2020년 4월에 치르는 선거부터 열여덟 살 푸름이가 함께한다고 합니다. 새로운 길을 내다보는 푸름이한테 선거하고 투표권이란 무엇인가를 짚어 주는 《새내기 주권자를 위한 투표의 지혜》(손석춘, 철수와영희, 2020)를 읽습니다. 글쓴님은 이 책으로 여러 가지를 다루려 합니다. 열여덟 살 나이라고 해서 ‘삶을 읽는 눈’이 얕은가 하고 물어요. 어떨까요? 스물여덟 살이나 여든여덟 살이기에 ‘삶을 읽는 눈’이 깊을까요? 열일곱이나 열여섯이나 열다섯은 어떨까요?


  흔히 ‘어린이한테서 배운다’고 말합니다. 줄세우기나 돈힘이나 이름값에 하나도 매이지 않는 어린이 마음이기에 어느 일이든 더 또렷하면서 환하고 맑으면서 정갈하게 밝힌다고 하지요. 티가 없는 마음으로 참하면서 착하게 말한다고 합니다.


  모둠살이에 찌들거나 얽매여 참소리를 내지 않거나 못하는 어른이 많다면, 외려 ‘나이 많은 사람’은 투표권을 못 쓰도록 할 일은 아닐까요? 이를테면 잘못을 숱하게 일으킨 사람한테는 투표권을 없애듯이 말이지요.


  뒷돈을 주고받은 어른 모두, 헐뜯기를 일삼는 어른 모두, 누리판에서 몰래 남을 괴롭히거나 흉보는 어른 모두, 교통법규를 툭하면 어기는 어른 모두, …… 투표권을 없애고 세금을 더 내도록 나라틀을 세울 노릇이리라 생각합니다.


  그나저나 2020년 4월에 치르는 선거를 놓고서 전남 고흥이란 고장에서 국회의원에 나서려는 이들이 내놓은 정책을 보니, 하나같이 삽질입니다. 이런 찻길을 더 놓고, 저런 다리를 더 놓으며, 그런 산업을 꾀하도록 끝없이 파헤치고 시멘트집을 세우는 정책이 가득합니다. 사람들이 삽질을 더 바라기에 삽질 정책만 가득 선보일까요? 삽질 정책을 펴야 이곳저곳에서 떡고물이 많이 떨어지니 이러한 모습을 자꾸 되풀이할까요?


  투표권하고 비례대표도 찬찬히 볼 노릇입니다만, 선거 후보자로 나서는 이가 ‘삽질 정책’만 쏟아내지 않도록 ‘돈을 들여서 펼 정책’하고 ‘돈을 안 들이고도 틀을 고치거나 바로잡으면서 알차게 일할 정책’을 나란히 밝혀서 지키도록 다스리기도 해야지 싶습니다. ‘돈을 들여서 펼 정책’은 ‘어느 부피를 넘지 못하도록’ 막고, 이를 어기면 후보자 등록을 취소하는 틀도 있어야지 싶고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표 영어 구구단 + 파닉스 2단 : 일반동사 - 알파벳 없이 입으로 익히는 어린이 영어 아빠표 영어 2
Mike Hwang 지음 / 마이클리시(Miklish)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책으로 삶읽기 590


《아빠표 영어구구단+파닉스 2단 동사》

 마이크 황

 miklish

 2018.5.5.



한국말하고 영어는 다르고, 한국말하고 일본말은 다르며, 한국말하고 중국말은 다르다. 모든 말은 다른데, 한국말뿐 아니라 모든 나라 모든 말은 고장마다 다르다. 말을 배운다고 할 적에는 언제나 이 다른 결을 느끼면서 헤아려야 한다. 한국말을 처음 배우는 아기도 사람들이 내는 소릿결이 다르구나 하고 알아차리기에 혀랑 입술이랑 입이랑 모두 다르게 가누면서 소리를 터뜨리고, 귀를 열며, 생각을 움직인다. 《아빠표 영어구구단+파닉스 2단 동사》는 ‘움직씨’를 짚는다. 왜 움직씨일까? 움직이는 삶을 담아내니까. ‘움직씨’ 가운데 몇 낱말, ‘like’하고 ‘give’하고 ‘have’를 다루는데, 한꺼번에 이렇게 많은 낱말을 다뤄도 될까 궁금하다. 고작 세 낱말이 뭐가 많냐고 할 테지만, 한국말하고 영어는 결이 다르기 때문에 ‘like’이든 ‘give’이든 ‘have’이든 한 가지로만 풀어낼 수 없다. 더욱이 영어를 가르치는 분들은 ‘have’를 ‘가지다’ 하나로만 풀어내면서 끝내기 일쑤인데, 그러면 안 된다. 왜냐하면 한국말에서 ‘가지다’는 잘 안 쓰니까. 제법 쓰는 말인 ‘가지다’이지만, ‘가다’에 대면 ‘가지다’는 안 쓴다고 할 만하고, ‘있다’를 헤아리면 ‘가지다’는 쓰임새가 아예 없다고까지 할 만하다. “I have ice”는 “나는 얼음을 가진다”일 수 없다. “나는 얼음이 있다”나 “나한테 얼음이 있다”여야 맞다. 《아빠표 영어구구단+파닉스 2단 동사》에 나온 사진으로 보자면, 손바닥에 얼음을 얹었으니 “내 손에 얼음을 놓았다”나 “난 얼음을 쥔다”처럼 풀어도 되겠지. 다시 말하자면, 영어 낱말 하나를 놓고 한국말로 얼마나 다르게 풀어내는가를 보여주고, 한국말 한 마디를 놓고 영어로 또 얼마나 다르게 풀어내는가를 먼저 보여주고서 여러 낱말을 두루 짚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표 영어 구구단 + 파닉스 1단 : 명사 - 알파벳 없이 입으로 익히는 어린이 영어 아빠표 영어 1
Mike Hwang 지음 / 마이클리시(Miklish)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책으로 삶읽기 589


《아빠표 영어구구단+파닉스 1단 명사》

 마이크 황

 miklish

 2018.5.5.



영어를 배우는 길은 여럿이다. 학교를 다니며 배울 수 있고, 집에서 배울 수 있으며, 마을에서 배울 수 있다. 어느 쪽이든 다 좋다. 영어를 쓰는 나라에 가서 영어를 배워도 좋으며, 한국에 살며 영어를 배워도 좋다. 교과서를 쓰든 교재를 쓰든 대수롭지 않다. 《아빠표 영어구구단+파닉스 1단 명사》는 영어를 배울 어린이한테 맞추려는, 아무래도 초등학교나 교과서나 여러 교재가 아쉽다고 여긴 대목을 글쓴님 나름대로 이녁 아이하고 배우는 길에 깨달은 바를 풀어낸 책이라고 할 만하다.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를 본 분이라면 ‘아빠표 영어구구단’이 얼마나 단출하면서 쉽게 짚어 주는가를 알리라 본다. 왜 초등학교 교과서는 이처럼 엮거나 풀어내지 않을까? 왜 초등학교라는 자리에서는 더욱 가벼우면서 부드러이 짚는 길을 가지 않을까? 참으로 마땅하지만, 초등학교에는 시험이 있고, 점수를 매긴다. 게다가 줄을 세운다. 초등학교를 마친 다음에 중·고등학교로 가면 이윽고 대학시험을 쳐다봐야 하고, 대학교에 들어간 다음에도 자꾸자꾸 ‘영어시험’에 휘둘려야 한다. 이러다 보니 이 나라에서는 영어 배우기를 놀이처럼 즐기지 못하고 머리에 외우는 틀로 갇히기 쉽다. 《아빠표 영어구구단+파닉스》 꾸러미는 이 대목에서 좋다. 무겁게 배워야 할 까닭이 없고, 우리 둘레에서 늘 마주하는 삶을 하나씩 들여다보면서 ‘소릿결’을 느끼면 된다. 한 가지를 덧붙인다면, ‘이름씨’를 다루는 영어를 아버지인 내가 우리 아이들한테 들려주려 할 적에, ‘숲’이 무엇인지 ‘나무’가 무엇인지 ‘바람’이 무엇인지 ‘물’이랑 ‘비’랑 ‘해’랑 ‘별’이랑 ‘꽃’이랑 ‘풀’이랑 ‘노래’랑 ‘눈’을 먼저 짚겠지. 눈도 바라보는 눈하고 내리는 눈하고 푸나무에 트는 눈이 있으니, 이러한 이야기를 이름씨로 먼저 다루고 싶다. 아쉽다기보다 한국에 있는 모든 영어 교과서나 교재는 숲도 들도 바람도 너무 멀리한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