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amara7님의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에 대한 의문점들 "

도시 문명이 시골살이를 누르면서 이루어지는 오늘날 모습입니다. 우리 사회에서 '한국말'은 '한자말(중국 한자말 + 일본 한자말)'과 '서양말(영어를 비롯한 유럽말)'에 짓눌려서 '죽었다'고 할 만합니다. 그러니, 이렇게 짓눌려 앓는 말을 '살리려'고 이러한 글을 썼어요. '숲에서 살려낸'이란 시골(자연)에서 삶을 살리듯이 말을 살려야 한다는 뜻입니다.

잘못을 지적한다면 저로서도 즐겁게 받아들이면서 고맙게 여깁니다. 그런데, 책을 쓴 듯을 살피지 않고 왜곡한다면 굳이 사과를 해야 할 까닭이 없어요.

오늘날 사람들은 '시시콜콜한 평범한 말'을 제대로 살피지 않습니다. 가장 밑바탕(기본)이 될 낱말을 제대로 살펴서 쓰지 못해요. 그렇기 때문에, 가장 밑바탕이 될 말부터 제대로 깨닫고 살피면서, 이러한 말에서 삶과 넋과 이야기를 살리는 한국말로 나아가야 한다고 느껴요. 이를 이루지 못한다면, 한국말이 살아날 길이 없겠지요.

"무더위에 갑작스레 찾아드는 소나기는 목이 마른 나무 한 그루를 싱그럽게 적신다"에서 '한 그루'가 어찌 숫자로 '하나'만 가리키겠습니까? 그러면 백만 그루나 천만 그루처럼 적어야 할까요? 나무를 더 가까이에서 들여다보자는 뜻에서 이와 같이 이야기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글을 굳이 꼬집으려고 들면, 독자가 내놓는 비판이 얼마나 비판다운지 잘 모르겠습니다.

"목이 마른 나무 두 그루"라고도 말할 수 있어요. 그리고, 이 문장은 일부러 이렇게 쓰기도 했어요. 왜냐하면, 요즘 사람들은 "한 그루의 나무"처럼 번역투를 함부로 쓰기 때문입니다. 이 책에 쓴 글(문장)은, 요즘 사람들이 잘못 쓰는 문장을 '애써 비판할 까닭 없이' 예부터 바르게 쓰던 말투를 살려서 넣으려고 하기도 했습니다.

하늘빛은 언제나 '파랗다'가 기본입니다. 바다빛도 언제나 '파랗다'가 기본입니다. 바다에서 바닷말이 많이 불어날 적에는 '푸른 빛깔' 바다가 되기도 합니다. 바다에서는 '녹조'와 '적조'가 있어요. 이때에는 바다빛이 다르지요.

그러면, 여느 때와 다른 바다빛은 그때마다 그 모습에 걸맞게 가리켜야 올바릅니다. 기본이 되는 빛을 무시하면서 아무렇게나 써도 되지 않습니다. 하늘빛도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기본이 되는 빛을 제대로 말하면서, 다른 때에는 다른 빛이 나기도 한다고 말해야 올바릅니다.

그리고, '녹색'과 '초록'이란 '푸르다'를 가리키는 한자말입니다. '녹색'은 일본 한자말이고, '초록'은 중국 한자말입니다. '푸른하늘'은 하늘빛을 '녹색이나 초록'으로 가리키는 꼴이기에, 이런 말투가 알맞지 않다는 이야기입니다.

다만, '보리가 파랗게 올라온다'라는 말을 시골에서 쓰기도 합니다. '푸른' 싹인데 '파랗다'라고 쓸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싱그럽다'는 뜻에서 '푸르다'를 쓰기도 합니다. 이러한 말투에서 '파랗다'와 '푸르다'를 잘못 섞어서 쓰는 일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푸르다'는 "풀 빛깔"을 가리키는 밑말이니, 하늘빛에서는 '파란하늘'을 기본으로 올바르게 쓰면서, '푸르게 물드는 하늘'이라든지 '푸르게 눈부신 하늘'처럼 쓰면 '푸르다'도 어느 모로 쓸 수도 있으리라 봅니다.

'바지저고리'가 '시골뜨기'나 '얼뜨기'를 담는다는 말은 참으로 잘못된 편견입니다. 이런 편견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군국주의자가 한겨레를 짓밟으면서 함부로 쓰던 말입니다. 이 말뿌리가 번져서, 도시공업사회에서 시골사람은 얕보는 말투로 더 퍼졌는데, 이런 잘못 퍼진 말과 문화를 바로잡는 일이 '한국을 살리는 길'이기도 합니다.

먼먼 옛날부터 사람들은 바지저고리와 치마저고리로 '한복'을 가리켰어요. '한복'은 문화학자가 지은 한자말입니다. 한겨레가 쓰던 말이 아닙니다. '한식'와 '한옥' 또한 한자가 지은 말입니다. 아이들한테 이런 말을 가르쳐 줄 수 있기도 하지만, 이런 말을 가르치면서, 한겨레가 예부터 쓰던 말을 안 가르치거나 못 보여준다면, 아이들은 한국말을 배울 수 없어요. 게다가, 잘못 쓰는 말은 바로잡아야지요. 더욱이 '시골사람'을 얕잡듯이 쓰는 말투는 오늘날에서는 거의 뜻이 없을 뿐 아니라, 이런 차별부터 바로잡을 노릇입니다.

"오늘과 오늘이 얼크러져 모레와 글피가 된다"란 '하루(오늘)와 하루(하루)가 모여서 이틀(모레)이 되고 사흘(글피)이 된다는 말입니다. 조금만 헤아리면 잘 알 수 있습니다.

+

'푸성귀'와 '남새'와 '나물'을 여러모로 섞어서 쓰려고 했습니다. 이런 말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여러모로 섞어서 쓴다고 하더라도, 헷갈리거나 뒤죽박죽으로 썼다면 죄송합니다. 알맞게 가다듬겠습니다.

여러 가지로 지적해 주시는 말씀은 언제나 고맙습니다.

궁금하거나 더 지적해야 할 이야기가 있으면 제 알라딘서재에 물어 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분이 쓴 글에 댓글을 달면 제가 답변을 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제 책에 어느 분이 서평을 쓰셨기에 인사말을 남기고 갈 수 있는데 두루뭉술하게 넘어간다느니 하고 말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차근차근 읽으면 헤아릴 수 있는 대목이니, 굳이 붙임말을 적어야 한다고 느끼지 않았을 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