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26. 시골에서 시골로
시골에서는 이 마을에서 저 마을로 건너가는 길이 멀다. 그저 멀다. 오늘날 눈길로 보면 대수롭잖을 테지만, 두다리로 걸어다니던 지난날에는 그냥 먼길이다. 마을끼리 만나거나 어울리는 길은 마냥 멀었고, 이 삶은 고스란하다. 이러다 보니 ‘울마을’과 ‘놈마을’은 남남이자 위아래이기도 하다.
조금이라도 마을이 크면 조금이라도 마을이 작은 데를 ‘시골놈(촌놈)’으로 친다. 서울에서 보면 인천과 부산은 시골것(촌것)이다. 인천과 부산에서 보면 부천과 창원은 시골것이다. 또한 부천과 창원에서 보면 …… 끝이 없다.
모든 사람은 그저 사람이다. 높낮이가 없다. 모든 사랑은 그저 사랑이다. 모든 사랑은 그대로 사랑이다. 모든 책은 그저 책이요, 모든 글은 그대로 글이다. 모든 별은 그저 별이고 모든 들숲메는 그대로 들숲메이다.
무엇을 보는 어떤 눈인가. 어디에 서는 어떤 몸인가. 누구하고 이웃하는 어떤 마음인가.
쓰고 읽는다. 읽고 쓴다. 함께놀기 함께살림 함께누리 함께사랑 함께마을 함께마음 함께하늘 …… 문득 하나하나 그려 본다. 함께걷기를 하기에 발맞추면서 노래가 흐른다. 이쪽 시골에서 저쪽 시골로 가서 이웃 시골아이를 만나고서, 저쪽 시골에서 이쪽 시골로 돌아오려고 읍내를 거쳐서 먼먼 길을 한참 돌고돌았다. 사람마을과 사람마을 사이는 멀다지만, 구름까지 솟구치며 노래하는 새는 두 마을과 두 고을과 두 나라쯤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듯이 오가면서 싱그럽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