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은 어떻게 미술이 되었을까? - 그림으로 읽는 한 점의 인문학 사고뭉치 12
공주형 지음 / 탐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가 문명을 시작한 이래 미술은 늘 인류와 함께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뭔가를 표현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이 자연스레 미술로 승화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미술은 당대 사회의 시각과 인식을 반영하는 산물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 책은 선사시대부터 후기 인상주의까지 시대별로 대표적인 미술 양식을 소개하면서

그 시대와 미술이 어떠한 상호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먼저 인류 최초의 미술작품이라 할 수 있는 알타미라나 라스코의 동굴 벽화들은

인간의 우월한 지위를 확인하고 맹수에 대한 공포심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본다. 결핍과 불안의 시대를 살면서 생존조차 보장받지 못하던 당시 인류에겐

미술이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수단이라 할 수 있었다.

고대 4대 문명의 발생지 중 하나인 이집트에선 사후 세계에 관심을 두고 영혼불멸의 세계를 

미술에 담아내려 했는데 '사자의 서'나 '투탕카멘의 황금 가면' 등이 대표적인 유물이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로 오면서 좀 더 인간을 둘러싼 사물들과 우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는데,

조화와 균형을 통해 외부 세계를 이상적으로 모방하고자 하는 미술작품들이 등장했다. 

좀 더 사실적이고도 실용적인 이 시대의 미술 사조는 이후 인본주의와 합리성을 바탕으로 하는

서구 미술의 근간을 확립하게 되었다. 종교가 모든 것을 지배하던 중세 시대에는 미술도 성경의

주요 사건을 시각화하고 교회를 장식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중세 미술은 비잔틴, 로마네스크, 고딕의 세 시기로 나뉘는데, 비잔틴 미술이 서양의 규모와 동양의

신비로움이 어우러진 모자이크로 대표된다면 로마네스크 미술은 프레스코화로,

고딕 미술은 스테인드글라스로 대표된다. 표현 양식은 각기 달랐지만 이 시대에는 신을 중심으로 한

세계관을 표현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신은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이기에

인간이 주연이었던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를 동경하는 르네상스 운동이 일어난다.

이성적이고 합리적이며 과학적인 세계관이 대두되면서 소위 3대 천재라 할 수 있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가 등장하여 르네상스 미술은 화려한 절정을 맞이하는데

이들을 후원한 메디치가나 프랑스 왕실 등의 역할도 상당했다.

이후 종교개혁으로 권위가 땅에 떨어진 가톨릭은 미술로 이를 회복하고자 했는데,

루벤스로 대표되는 종교화가들이 맹활약했고, 스페인 왕실의 펠리페 4세 등 절대 군주들도

자신들의 권력과 위엄을 드러내고자 궁정화가를 고용하는데

스페인 왕실의 벨라스케스가 고용주의 의도를 잘 실현했다.

독립을 이룬 네덜란드에서는 시민들이 주체가 되어 초상화, 정물화 등 실용적인 미술 작품들이 주를 이루는데 렘브란트, 페르메이르(베르메르) 등이 대표적인 화가였다.

현실 세계의 행복을 추구했던 쾌락적인 귀족사회 분위기가 반영된 로코코 미술과

혁명의 시대를 맞아 로코코 미술의 지나친 향락주의를 거부하고 혁명과 현실을 이상적으로 표현한

신고전주의 미술, 계몽주의에 반발하여 인간의 감성과 주관적 표현에 초점을 맞춘 낭만주의 미술,

산업혁명의 시대의 고단한 현실을 그대로 담고자 한 사실주의 미술,

사회적, 경제적 변화가 가속화된 시점에 새로운 방식으로 세상을 포착하려 했던 인상주의 미술, 마지막으로 산업화, 도시화의 심화로 인간 소외도 심화되던 시대를 표현했던 후기 인상주의 미술까지

세상의 변화에 따라 이를 담아낸 미술 사조의 변화를 차근차근 잘 설명했다.

물론 이 책으로 미술사의 큰 흐름을 모두 완벽하게 담아낸다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미술이 그 시대의 얼굴임을 시대의 흐름과 함께 미술의 변천사를 정리하여

암기식으로만 공부하던 미술 사조를 좀 더 이해하기 쉽게 풀어냈다.

미술은 천재 화가의 고립된 독백이 아닌 역사를 관통하는 시대와의 소통이란 저자의 메시지가

그 시대를 대표하는 미술 사조와 작품들과 함께 압축적으로 잘 정리된 책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찔레꽃 2016-04-23 2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책을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sunny 2016-04-24 00:04   좋아요 0 | URL
네. 시대별 미술 사조를 잘 정리한 책입니다. 아마 청소년용인 것 같긴 한데 성인이 봐도 충분히 괜찮은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