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스트 열린책들 세계문학 229
알베르 카뮈 지음, 최윤주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베르 카뮈의 작품은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이방인'을 읽었는데

부조리한 인간과 세상을 특유의 담담한 필치로 그려낸 작품이었다.

'이방인'과 더불어 카뮈의 작품세계를 대표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는 이 책은

제목 그대로 페스트가 창궐한 알제리 오랑의 모습을 그려내는데,

페스트가 창궐한 이 책 속의 상황은 마침 메르스 열풍(?)이 불어닥친 우리의 상황과 흡사했다.

페스트가 한때 흑사병이라 불리며 유럽 등지를 초토화했던 전력이 있는 강력한 전염병이기에

과연 얼마나 참혹한 일들이 벌어질까 기대(?)가 되었지만

예상 외로 차분하게 상황을 서술하고 있어 끔찍하고 참담한 상황이 그다지 와닿지 않았다.

사실 처음 제목을 딱 봤을 때 주제 사라마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와 비슷한 상황이 전개되지

않을까 추측했는데, 공포와 혼돈으로 점철된 그런 상황임에도 워낙 객관적인 시선에서

마치 증언을 하는 것처럼 감정이 개입되지 않은 건조한 서술을 하기 때문에

좀 더 냉정한 이성의 눈으로 사건을 지켜볼 수 있었다.


죽은 쥐들이 발견되기 시작하면서 시작된 페스트의 공포는 초기에 적절한 대응을 했다면

그래도 확산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지 않을까 싶었는데

왠지 메르스에 대한 정부의 안이한 대응을 보는 듯했다.

페스트의 징후가 보였음에도 너무 신중한(?) 대처로 일관하다 골든 타임을 놓치자

급속도로 전파되는 페스트를 막을 방법이 없었다.

도시 전체를 통제하여 출입을 차단하며 뒷북을 치지만 이미 페스트가 점령한 도시를 구해낼 수 없었다.

의사 리유를 비롯해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 애쓰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밖으로 탈출하기 위해

몸부림치는 사람이 있는 갑작스런 재앙을 맞이한 다양한 인간군상들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주었는데 그래도 예상했던 것 같은 아비규환의 상태가 벌어지지는 않았다.

메르스가 발병한 이후로 퍼진 공포와 이에 대한 대처를 보면 만약 이 책에서와 같은 페스트가

발생했다면 과연 우리가 이성적인 대응을 할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에 나오는 코타르처럼 오히려 사람들이 죽어 나가는 상황을 즐기는 자들까지 등장하는데

페스트가 진정된 이후로 난동을 부리는 모습을 보면 정말 가관이었다.

어려운 상황일 때 그 사람의 진면목을 알 수 있다고 페스트가 창궐하면서 드러나는 사람들의

본 모습을 여실히 보여준 작품이었는데 알베르 카뮈 특유의 건조한 문체를 바탕으로 페스트란

어찌 보면 단순하면서도 강렬한 소재 하나로 인간 세상의 이면을 고스란히 잘 보여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