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을 말해줘
존 그린 지음, 박산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19번째 여자친구에게 또 다시 차인 콜린은 자신을 버렸던 여자친구들의 이름이

모두 캐서린이라는 놀라운 사실을 깨닫게 된다.

실연의 상처를 달래기 위해 콜린은 유일한 친구인 하산과 함께 자동차 여행을 떠나게 되고

그동안의 경험을 살려 자신만의 사랑의 공식을 만들어내는데...


영화로 봤던 '안녕, 헤이즐'의 원작 소설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의 작가 존 그린의 대표작이라는

이 책은 열 아홉 살의 괴짜 신동 콜린이 자신의 연애경험을 되돌아보며

나름의 연애법칙을 세워가는 과정을 흥미진진하게 그리고 있다.

독서광에 자신이 읽은 모든 걸 기억하는 신동 콜린은

그동안 왜 자신이 여자친구들에게 일방적으로 차였는지 곰곰이 생각한 결과

일단 여자친구들이 모두 캐서린이란 똑같은 이름을 가졌단 사실을 그제서야 알게 된다.

마치 영화 '온리 유'에서 자신의 운명의 짝이 데이브 브래들리란 이름인 걸 알고

여주인공이 그 이름의 남자만 찾아다녔던 것처럼 콜린이 의도한 것인지 아닌지는 모르지만

캐서린이란 여자들에게만 끌리는 것은 운명의 장난인지 뭔지 모를 이유가 있는지 정말 궁금했다.

물론 콜린 자신도 잘 몰랐는데 하산과의 여행에서 린지를 만나게 되면서

어설프게 시작한 공식을 다양한 변수까지 감안하면서 섬세하게 가다듬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연애사에서 뭐가 문제였는지를 조금씩 깨닫는다.

자신과 같은 이름의 또 다른 콜린(또다콜)과 사귀고 있던 린지와도 묘한 관계에 빠지게 되는데

과연 콜린은 자신의 열 아홉 번의 연애사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완벽한 사랑 공식을 완성할 수 있을까...


공식을 완성해가는 과정에서 콜린은 많은 걸 깨닫게 된다.

자신이 열아홉 번 모두 차인 줄 알았지만 공식을 적용해본 결과 의외의 진실도 알게 되고,

자신의 문제점이 무엇이었는지 되돌아보는 기회도 되면서 한층 성숙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열아홉 살이라는 나이가 청소년에서 성년으로 한 단계 성장하는 시점이라

인생에서 중요한 전환점이라 할 수 있는데 그런 시점에 콜린은 절친인 하산과 여행지에서 만난

린지를 통해 실연의 상처를 극복하고 또 다른 사랑을 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 

이 책에서 콜린이 연애 법칙을 수학 방정식으로 만들겠다는 시도 자체가 기발하다 할 수 있었는데,

자신이 찰지 차일지를 그 공식에 대입만 하면 알 수 있다는 생각 자체가

지구별 출신이 하기엔 쉽지 않을 것 같다. 

이 책에 나오는 인물들이 모두 톡톡 튀는 뚜렷한 개성의 소유자들이어서

어떤 결말을 맺을지 자못 궁금했는데, 과거는 공식으로 정리하고 해석해낼 수 있을지 몰라도

미래는 결코 천편일률적인 공식이 통하지 않는 예측불허임을 알고 자신에게 진정 중요한 일들에

충실하게 살자는 것이 작가가 이 책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아닌가 싶다.

19
신동들은 다른 사람들이 알아낸 것을 아주 빨리 배울 수 있다. 반면 천재들은 이전에 누구도 발견하지 못했던 것을 발견해낸다. 신동들은 남이 이뤄놓은 것을 배우고 천재들은 스스로 이뤄낸다.
309
과거는 논리적인 이야기다. 그것은 이미 일어난 일이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미래는 아직 기억되지 않았기 때문에 절대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