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회화전 - 지상 최대의 미술 사기극 밀리언셀러 클럽 133
모치즈키 료코 지음, 엄정윤 옮김 / 황금가지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디자인 사무실을 운영하던 소스케는 방만한 운영으로 사무실이 어려워지자

 

어머니에게 돈을 빌려 간신히 꾸려나가던 중 미공개 주식에 투자하면 큰 돈을 벌 수 있다는

 

유혹에 넘어가 어머니에게 1000만 엔을 빌린다.

 

8년 전 긴자의 술집에서 도망쳐 나온 아카네는 작은 가게를 열고 숨어 지내다가 다시 빚 독촉

 

전화를 받고 단기간에 큰 돈을 벌게 해준다는 주식 정보에 혹해 전 재산을 투자한다.

하지만 소스케와 아카네의 바람과는 달리 대박정보는 사기로 드러나고

망연자실한 두 사람은 명화를 훔치자는 시로타의 제안에 마지막 승부수를 던지는데...

고흐의 그림인 '가셰 박사의 초상'을 둘러싼 엄청난 사기극을 흥미롭게 그려낸 이 작품은

 

영화에서 종종 보았던 미술품 절도의 진수를 보여주는데, 고흐의 이 작품이 1990년 영국 미술품

 

경매에서 일본인에게 무려 1억 2천만 달러라는 거액에 매각되는 것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일본 경제 호황기에 유명 미술품을 닥치는 대로 사들였던 게 버블경제 붕괴 후

 

창고에서 잠자는 신세가 된 경우가 많은데 그런 미술품들을 털자는 계획은 나름 설득력이 있어서

 

안 그래도 돈에 쪼들리는 소스케와 아카네가 혹한 건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들의 달콤한 기대와는 달리 일은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전혀 예상하지 못한 전개를 보여주는데...

작가가 폴 뉴먼과 로버트 레드포드에게 이 책을 바친다고 했을 정도로

영화 '스팅'을 떠올리기에 충분했는데 이 책에서 범인들이 벌인 거대한 사기극을 생각하면

 

이 책의 작가가 '스팅'에서 영감을 받았음을 잘 알 수 있었다.

 

잘 짜여진 각본대로 아무것도 모르는 소스케와 아카네를 이용하여 절묘한 복수극을 펼치는

 

치밀한 작전이 돋보였는데 나쁜 의도로 시작한 사람들치고는 해피엔딩으로 끝나

 

예상 외의 반전이라 할 수 있었다. 사기에 가까운 방법으로 일확천금을 노리던 자들이

응분의 대가를 치르진 않고 다시 기사회생하게 되었으니 일반적인 권선징악형의 결말이라곤

 

할 수 없었는데 더 나쁜 악당이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미술품을 둘러싼 절도와 사기극을 다뤄 미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더욱 흥미로운 작품이라

 

할 수 있었는데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신선한 작가의 색다른 소재의 작품이라 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