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13 -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13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는 '란도샘'이란 애칭으로 청춘들의 멘토가 되었지만 김난도 교수의 원래 전공은 트렌드 연구다.

2007년부터 매년말 그 해의 트렌드를 그 해 12간지 동물의 영어 단어를 이용한

열 개의 단어로 제시했는데, 나도 2010년의 'TIGEROMICS'를 시작으로

2011년의 'TWO RABBITS'를 거쳐 2012년의 'DRAGON BALL'까지

3년 동안 그의 책을 통해 다음 해의 트렌드를 미리 예측하는 일에 동참하다 보니

이젠 자연스레 다음 해의 트렌드를 뭘로 선정했을지 궁금해지게 된다.

특히 2013년은 나의 해이기도 해서 더욱 호기심이 동했는데 란도샘이 제시한

2013년 계사년의 트렌드 키워드는 바로 프로레슬링의 필살기인 'COBRA TWIST'였다.

 

'COBRA TWIST'에 들어가기에 앞서 2012년 트렌드로 예측했던

'DRAGON BALL'이 제대로 들어맞았는지 점검을 하는데,

대다수의 대한민국 사람들은 'DRAGON BALL'을 모아 소원을 빌지 못했을 것 같다.

'DRAGON BALL'이 뜻하는 '진정성을 전하라', '이제는 로가닉 시대', '주목경제가 뜬다',

'인격을 만들어 주세요', '세대 공감 대한민국', '마이너, 세상 밖으로', '스위치를 꺼라',

'자생, 자발, 자족', '차선, 최선이 되다', '위기를 관리하다'가 어떻게 현실화되었는지

여러 사례를 통해 보여주는데, 그 중에서도 개인적으로 가장 적중한 것으로 생각되는 게

'세대 공감 대한민국'과 '마이너, 세상 밖으로'였다.

올해는 '건축학 개론'을 시작으로 '응답하라 1997'로 이어지는

1990년대에 대한 향수가 열풍이 일었던 한 해였다.

1990년대는 가장 많은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세대접점의 공간으로,

나도 청소년기와 대학생 시절을 보내서 더욱 공감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싸이의 강남스타일 열풍을 통해 확인된 B급 문화의 대중화인데,

SNS 등을 통해 주류문화만이 아닌 다양한 문화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이

마이너문화가 각광받게 된 배경이 된 것 같다. 그 밖에 힐링이 출판계나 문화계의 중요한 키워드가 된 것은 그만큼 우리 사회가 병들고 치쳤음을 반증하는 결과가 아닌가 싶다.

 

2013년의 키워드 'COBRA TWIST'는 '날 선 사람들의 도시', '난센스의 시대',

'스칸디맘이 몰려온다', '소유냐 향유냐', '나홀로 라운징', '미각의 제국', '시즌의 상실',

'디톡스가 필요한 시간', '소진사회', '적절한 불편'의 영어 앞글자를 딴 것으로

'날 선 대한민국'을 관통하는 소통과 공감의 키워드라 할 수 있었다.

저자는 이 10가지 키워드를 계속 날카롭고 치열해지는 한국 사회의 변화,

그러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몰두와 침잠으로 대응하는 개인적 대처,

그리고 적극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젊은 소비자들의 대두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사회적 불안감의 증가로 인한 날 선 사람들의 증가는 각종 묻지마 범죄로 여실히 증명되고 있고,

네트워크시대를 넘어 초연결시대가 됨에 따라 소유가 아닌 향유적 소비형태가 대두되며,

1인 가구의 증가로 나홀로족에 맞춘 솔로 이코노미의 성장, 맛집 열풍에 따른 미각 노마드족의 등장,

시즌 개념의 모호화로 인한 타임마케팅의 중요성, 각종 물질과 환경에서 오는 독성과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한 물리적, 정신적 디톡스의 필요성 등

다가오는 2013년 검은 뱀의 해에는 불확실성이 한층 더 가중되는 상황 속에서

치열한 경쟁을 헤치고 나아가야 하는 사람들의 상황을 10개의 트렌드로 잘 압축하였다.

양면적 속성을 가진 뱀처럼 2013년은 그야말로 본인이 하기 나름에 따라

완전히 다른 한 해를 각자 보내게 될 것 같다.

이 책에서 전망하는 트렌드를 잘 읽어내면서 자신만의 필살기를 잘 갈고 닦는다면

프로레슬링에서 승부를 결정짓는 '코브라 트위스트'로 2013년을 자신의 해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