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아래 봄에 죽기를 가나리야 마스터 시리즈
기타모리 고 지음, 박정임 옮김 / 피니스아프리카에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추리소설을 읽다 보면 제목과는 다른 내용의 작품들을 만나곤 한다.

그 대표적인 작품으로 '벚꽃 지는 계절에 그대를 그리워하네'를 꼽을 수 있는데

이 책의 제목도 왠지 낭만이 느껴지고 일본 추리작가협회상 수상작이라는 훈장까지 달고 있어서

기대를 갖고 읽어 보니 예상 외로 일상 미스터리 계열의 단편집이었다.

 

총 6편의 단편이 담긴 이 책에선 맥주바가 주요 무대가 되고 맥주바 주인인 구도가 탐정 역할을 한다.

이 책의 제목과 동명의 첫 단편에선 하이쿠 시인인 가타오카 소교가 외로운 죽음을 맞이하자

그와 인연을 맺었던 나나오가 그의 유품을 전하러 그의 고향을 찾아가는데

그곳에서 소교가 감춰왔던 비밀을 알게 된다.

자신의 정체를 숨기며 평생을 외롭게 떠돌면서 가끔 누나에게 아무 내용 없는 엽서를 보내

자신의 안부를 알렸던 소교의 사연은 안타깝기 그지 없었다.

소교와 나나오는 마지막 단편인 '물고기의 교제'에서도 중심 인물로 등장해

수미상관적인 구성을 하고 있는데 마지막 단편에서도 왠지 모를 아픔이 느껴졌다.

강변의 오두막을 짓고 살던 노부부의 사진을 통해 유명해진 사진작가의 사진전 포스터 도난 사건을

담은 '마지막 거처'도 짠한 사연을 담고 있었고, '살인자의 빨간 손'은

전형적인 잘못된 기억의 트라우마를 다루고 있었는데 우리의 어릴 적 기억의 상당수가

아마도 이 단편과 같이 진실과는 거리가 먼 오해에 기인하지 않았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회전초밥 가게에서 참치만 일곱 접시를 먹는 남자의 정체를 추리하는 '일곱 접시는 너무 많다'는

남자의 정체를 둘러싼 다양한 추리의 묘미를 맛볼 수 있었다.

 

어떻게 보면 와카타케 나나미의 '나의 미스터리한 일상'과도 유사한 구성의 작품이라 할 수 있었는데

추리소설의 소재로는 그다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일상적인(?) 미스터리들을 다룬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이 책이 좀 더 에세이 같은 느낌을 물씬 풍긴다고 할 수 있었다.

6편의 미스터리들이 대부분 확실한 결말을 맺기 보다는 '이렇지 않을까' 하는 정도의

추리를 선보이는 점도 다른 작품들과는 좀 다른 점이라 할 것인데,

현실에서 발생하는 미스터리라고 가정한다면

다른 추리소설들처럼 명쾌한 정답을 내놓기가 쉽지 않을 것이어서 오히려 더 현실감이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일상 미스터리보다는 본격이나 사회파 추리소설들을 선호하는 편이어서

딱 내 스타일은 아니었지만 사람 사는 얘기가 담긴,

애틋한 느낌이 드는 단편들이 여럿 담겨 있어 색다른 느낌을 준 추리소설 단편집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