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림무정 2
김탁환 지음 / 다산책방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흰머리를 죽이려는 산과 흰머리를 살리려는 그미는 서로에 대한 사랑을 확인하지만  

여전히 흰머리와의 승부를 겨루려는 산의 맘은 변하지 않는다.

백두산까지 흰머리를 쫓아간 산은 드디어 흰머리와의 운명적인 대결을 펼치는데...

 

7년이나 복수의 칼을 갈던 남자와 개마고원의 지배자 백호 흰머리의끈질긴 대결을 그린 이 작품은   

2권 초반부에서 일단 산과 흰머리의 정면대결이 펼쳐지는데 승부는 어이없게도 백두산이 결판을 낸다.

요즘 안 그래도 백두산이 잠에서 깨어난다는 소식이 들리긴 하는데  

이 책에서 백두산이 엄청난 역할을 할 줄은 정말 상상도 못했다.ㅋ

우여곡절 끝에 심각한 부상을 당하고 잡힌 흰머리는 경성으로 이송되고

제대로 된 승부를 내지 못했던 산과 그미는 창경원에 갖히게 된 흰머리를 탈출시키려 하는데...

 

1권에서는 산과 흰머리간의 한치 앞도 내다보지 못할 대결이 펼쳐졌다면

2권에선 공동의 적인 일본을 향해 서로 동반자(?)가 되는 산과 흰머리의 묘한 관계가 형성된다.

조선의 최고 맹수를 잡아다가 한낱 구경거리로 전락시키려는 일제의 만행에

창경원을 찾은 수많은 사람들이 통곡하는 사태가 벌어지기까지 하는데

흰머리는 단순히 개마고원을 호령하는 최고의 포식자가 아닌 우리 민족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었다.

일제가 우리 민족의 정기를 끊어놓기 위해 전국 방방곡곡에 쇠못을 박아놓은 것과 같은 취지로

말로는 해로운 동물을 잡아 없앴다며 해수격멸대를 만들었지만 그 속셈은

우리의 토종 맹수들을 없애려는 한민족 말살 음모의 일환이라 할 수 있었다.

그 결과 7년이나 복수의 순간을 기다려왔던 산마저 일단은 흰머리를 탈출시키기 위해 노력하는데

마침내 자유의 몸이 된 흰머리가 경성부청(현재의 서울시청) 옥상에 나타나는 장면은  

공포스럽기보단 오히려 짜릿한 느낌이 들었다.

기왕이면 총독부 건물 옥상에서 포효했으면 훨씬 더 멋있지 않았을까 싶다.ㅋ

사실 서울에 호랑이가 돌아다닌다면 정말 집밖을 나서기 무서울 만큼 충격적인 일이겠지만

결코 사람들을 해치지 않는 흰머리의 활보는 오히려 일본의 탄압을 받고 있던  

조선 사람들의 가슴 속 응어리를 풀어주지 않았을까 싶다.

이렇게 서로를 미워할 수만은 없는 산과 흰머리는 7년간을 끌어왔던 승부에 결국 종지부를 찍게 된다.

과연 무엇을 위해 7년이란 세월을 보냈는지 쉽게 이해는 되지 않았지만

자신의 일생을 걸 만한 상대를 만난다는 건 어떻게 보면 행운이라고도 할 것이다.

비록 꺾어야 하는 적일지라도 서로를 자신의 훌륭한 상대로 인정하고 정정당당한 대결을 펼친다면
승부의 결과와는 상관없이 여한이 없을 것 같다.

이 책에서 산과 흰머리도 비록 처절한 대결을 벌였지만 최고의 적수를 만났기에

아마 후회없는 승부를 끝까지 펼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산과 그미의 안타까운 사랑. 호랑이 같은 남자와 호랑이를 사랑하는 여자의 만남은  

그야말로 천생연분이라 할 수 있었지만 두 사람이 처한 환경이 너무 달랐다.  

첨엔 흰머리를 죽여야 하는 산과 흰머리를 살리려는 그미가 대립된 모습을 보였지만

흰머리가 잡힌 이후 어떻게든 흰머리를 개마고원으로 돌려보내기 위해 의기투합한다.

그리고 결국 두 사람의 사랑은 이뤄지지 못하는데  

마지막에 남겨진 산의 그림과 글은 마음을 후벼파기에 충분했다.

함께 하고 싶었지만 할 수 없었던 그미를 향한 산의 애달픈 마음이 절절히 잘 그려졌다.

 

포수와 호랑이의 대결이란 좀 요즘 시대에 맞지 않는 소재라 과연 재미있을까 반신반의했던 책인데

초반의 산과 흰머리의 추격전이 좀 늘어지는 느낌이 드는 걸 잘 참아낸다면

그 이후론 흰머리가 설원을 달려가듯 폭풍질주를 하면서 읽어나갈 수 있던 책이었다.

김탁환 작가의 책은 '혜초'에 이어 두번째였는데 훨씬 박진감 넘치는 작품이었던 것 같다.

이 작품을 쓰기 위해 거의 호랑이 전문가가 된 작가의 열정이 고스란히 이 책에 녹아있는 것 같았다.

비록 슬픈 결말로 끝나고 말았지만 산처럼 인생을 걸 수 있는 대상이 있고,

마지막 순간까지 잊혀지지 않는 그리운 사람을 맘 속에 간직할 수 있었던 점은  

남자로서 충분히 멋진 삶이 아니었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