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즌 트릭
엔도 다케후미 지음, 김소영 옮김 / 살림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교도소 내에서 수형자 중 한 명이 누군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얼굴과 지문이 망가진 채로 살해된다.  

그리고 또 다른 수형자가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데 과연 어떤 일이 벌어진 것일까...

 

최고의 추리소설 신인작가에게 주어지는 에도가와 란포상을 수상한 작품인데다  

내가 좋아하는 작가인 온다 리쿠, 히가시노 게이고 등이 극찬을 했다는 점에서 매우 기대되는  

작품이었는데 띠지에 적혀 있는 '절대로 이 철벽의 트릭을 깰 수 없다'는 문구가 정말 구미를 당겼다.

(이런 뻔한 문구에 잘 낚이는 편이다. ㅋ)

 

이치하라 교통 교도소(일본에는 교통사고 범죄자들만 수용하는 교도소가 있나 보다)가  

다른 교도소에 비해 어느 정도 자유가 허용되는 편한(?) 교도소라 하지만 교도소라는 통제된 장소에서  

살인이 벌어지고 범인으로 추정되는 수형자는 연기처럼 사라져버리니 정말 귀신이 곡할 노릇이라  

할 수 있었다.(프리즌 브레이크의 스코필드의 경지라 할까나...ㅋ)  

게다가 피해자의 정체에 혼란이 가도록 만든 범인이 사실은 실제 범죄를 저지르고 수감된 사람이  

아닌 전혀 엉뚱한 사람이라는 점이 이 책에 쓰인 기본적인 트릭인데 거기엔 나름 중요한 사연이 있지만  

그것도 마지막의 반전으로 모든 게 무너져버리는 충격을 가져다준다.  

띠지에 적혀 있는 말대로 '반드시 두 번 읽게 되는' 상황에 빠지게 되는데  

열린(?) 반전으로 인해 사건을 다시 구성해야하는 허탈하고 난감한 상황에 빠지게 만들었다.

 

교통사고라는 게 사실 현대사회에선 가장 흔히 벌어지는 사망 원인 중 하나인데다  

대부분 과실범이라 범인에 대한 처벌도 낮은 편이고 비난의 정도도 다른 범죄에 비해 약한 편이다.  

하지만 피해자 가족들이 겪는 고통은 말로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래도 대부분의 경우 피해자 가족들이 가해자에 대한 복수를 결심한 정도에 이르진 않는데

이 책에선 사고의 동기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되면서 기상천외한 교도소 내의 밀실살인사건이 행해지게  

되는데 피의자가 바뀌는 등의 일이 정말 현실에서도 가능할까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물론 사법기관들이 허술한 부분도 없진 않다) 좀 극단적인 설정이 없진 않았다.

그럼에도 밀실이라는 고전적인 트릭을 교도소내 살인사건으로 풀어낸 솜씨와  

손해보험회사에서 근무했던 경험을 살려 교통사고라는 현대사회에서 가장 대중적인(?) 범죄가  

참담한 비극을 낳을 수 있음을 잘 보여준 의미 있는 데뷔작이라 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