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을 먹다 - 제13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김진규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소설을 읽을 때 간혹 난해한 느낌을 받을 때가 많았다.

좋게 말하면 깊이 있고 심오한 뭔가를 담아냈다고 할 수도 있지만

소설을 읽는 재미를 못 느끼게 만드는 작품이 종종 있었다.

하지만 요즘 새로 데뷔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읽으면 예전과는 달리

입에 착착 달라 붙는 그런 감칠 맛을 느끼는 작품이 적지 않다.

 

제13회 문학동네소설상을 수상한 이 작품도 그런 작품 중 하나였다.

조선 영정조때를 배경으로 한 시대극이면서도 그 당시 사람들의 이루어질 수 없었던 애틋한 사랑을

여러 등장 인물들의 사연을 통해 잘 그려낸 작품이라 할 수 있었다.

특히 각 인물들의 시선에 따라 이야기를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놓아서

이를 짜맞추기가 쉽진 않았지만 모자이크를 맞추는 재미도 나름 솔솔했다.

 

등장인물들의 관계를 엮는 중심축이라 할 수 있는 묘연과 태겸 부부는  

평범한(?) 조선시대 양반 집안의 부부였다.

아내에게 무심한 듯한 남편과 그런 남편과 보이지 않는 벽을 쌓아놓고 사는 묘연의 관계는

우리 조상 부부들의 전형적인 모습이 아닐까 싶다.

집안에서 정해준 사람과 결혼하여 그냥 운명이라 받아들이고 사는  

부부의 모습 속엔 뭔가 허전함이 느껴졌다.

그냥 남편과 아내라는 각자 맡은 바 임무만 꿋꿋이 수행하는 부부의 모습이 좀 안스럽기도 하지만

그들 사이에도 나름의 상대에 대한 존중이랄까 배려는 있는 것 같았다.

 

가장 애절한 사연의 주인공은 태겸과 묘연의 아들 희우와  

그들의 집에서 딸처럼 자란 난이와의 사랑이 아닌가 싶다.

먼저 난이의 정체성이 문제가 되었다.  

난이는 묘연의 배다른 형제인 하연의 딸로 희우와는 이종사촌이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묘연의 아버지가 천하의 난봉꾼이라 하연이 정식 자식으로 인정되지 않는 관계였기 때문에
사실상 이종사촌이고 묘연의 시댁에서 딸처럼 자라지만 신분상의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어릴 때부터 오라버니와 누이로 지내면서 쌓인 정을 쉽게 끊어낼 수가 없었다.

서로를 향한 두 사람의 마음이 점점 커지지만 희우는 끝내 반항하지 못하고

다른 명문가의 딸을 베필로 받아들이며 난이는 집에서 나가게 된다. 

묘연도 희우에게 선택의 기회를 주지만 그 당시의 높은 신분의 벽과

사실상의 근친상간이 된다는 점에서 그들은 결코 이루어지지 못한다.

희우와 난이가 서로에 대한 맘을 제대로 표현도 못하고 가슴 아파하는 장면들,

겉으로 드러내놓고 아파하지도 못하는 절제된 두 사람의 사랑이  

책을 읽는 사람들의 심금을 울리기에 충분했다.

    

그밖에 여러 커플들의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이 각자의 입장에서 그려지는데

당시엔 정말 누군가를 사랑하는 게 쉬운 일이 아닌 것 같았다.

신분을 비롯한 여러 제약 때문에 서로의 감정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원치 않는 사람과의 불행한 결혼생활을 묵묵히 감내해야 했던  

당시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 안타까운 맘이 들 뿐이었다.

그에 비하면 요즘 사람들의 사랑은 너무 쉽고 가볍지 않나 싶다.

쉽게 만나고 쉽게 헤어지는 그런 가벼운 만남들이 넘쳐 나는 가운데

이 책에서 나오는 그런 애틋한 사랑은 점점 사라져가고 있는 것 같다.

아무래도 여러 사회적인 제한과 장벽에 의한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  

더 애틋하게 느껴지는 측면도 없진 않는데 제한 같은 게 없어서 그런지 몰라도  

사랑의 무게가 예전보다 가벼워진 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인 것 같다.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여러 사람들의 가슴 아픈 사랑을 치밀한 구성으로 애달프게 엮어낸 이 책은

신인 작가의 데뷔작품치고는 수작이라 할 수 있었다.

그 당시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랑을 했는지를 실감나면서도 절제된 미학 속에 그려내어

시대극을 읽는 묘미를 잘 보여준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