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마이크로 소사이어티로 간다 - 세상의 변화를 읽는 디테일 코드
팔란티리 2020 지음 / 웅진윙스 / 2008년 4월
품절


제레미 리프킨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맺어지는 상호적 관계 속에서 확인되는 부분적인 자아만이 있을 뿐, 각 개인의 독특한 자아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네트워크상에서 자아는 고정된 단일의 실체를 갖기보다는 관계에 따라 늘 유동적이고 파편화되어 존재하는 것이다.-19쪽

자아와 정체성이란 개념의 차이
자아는 심리적인 것 또는 즉자적인 것이고,
정체성은 사회적 관계망 안에서 부여되는 것이라는 차이가 있다.-25쪽

'네트워크화된 개인주의'란 말 그래도 양면성을 가진다. 집단의 구성원이 되는 개인을 중시하고 모든 것이 개인을 중심으로 조직화되지만, 그 개인의 존재는 네트워크 안에서 의미를 갖고 유지하기 때문이다.-31쪽

학자들은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크게 도구적인 커뮤니케이션과 의례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구분한다. 도구적이라는 것은 오가는 커뮤니케이션이 무언가 목적하는 정보를 얻거나 설득하기 위한 것이고, 의례적인 것이란 커뮤니케이션 그 자체를 위한 것, 또는 인간관계를 위해서 오가는 것을 지칭한다.-36쪽

과거의 가족이 일종의 '말이 필요 없는 관계'인 동시에 '재산과 운명을 공유하는 상호 의존적 관계'였다면, 이제는 '의사소통으로 유지되거나 소원해지는 관계'로서 '구성원 간의 요구를 공유하는 관계'라고 규정할 수 있다.-44쪽

우리시대의 친밀성의 코드화 과정에는 휴대전화나 미니홈피, 블로그 등의 영향이 커 보인다. 대중적 미니홈피와 블로그의 특성은 이것이 사회적 발언을 위한 장이라기보다는 스몰토크의 교환장소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이 그 증거이다.

즉 친밀성을 형성하고 유지, 확대하기 위한 고요한 코드가 스몰토크인 것이다.-45쪽

휴대전화가 시대적인 코드와 맞아떨어지는 것은 각 개인이 하나씩 '내 번호'를 갖게 된다는 점이다.-46쪽

자기에 대한 인식을 확실히 다지는 구심력 있는 노력을 지속하면서, 한편으로는 자신을 중심으로 그물처럼 퍼져 있는 인간관계망을 스몰토크를 통한 친밀감의 교류로 관리하는 원심력 있는 노력도 효과적으로 하는 인간이 미래 사회의 리더가 될 것이다.-49쪽

'소셜 서치'는 검색 결과의 적합성을 결정할 때 같은 지식에 대한 다른 이용자들의 이용 상황을 고려하는 유형의 검색이다.-117쪽

위키피디아의 모델은 집단 지성이 우수한 개인 지성보다 더 뛰어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관계적 검색은 개인의 경험 지식의 중요성을 증대시킨다.

지석의 속성이 과거보다 상대적이고 가변적이게끔 만든다.

관계적 검색은 글이나 말로 표현하기 힘든 암묵적인 지식을 형식적인 지식으로 변화시키는 경향이 있다.-124쪽

지식 서비스란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라고 전제할 수 있고,
자료 서비스란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 간에 같은 수준과 내용의 지식이 거래됨을 전제로 할 수 있다.-140쪽

지식 서비스가 자료 서비스와 다른 중요한 특징은 지식 서비스는 제공자와 수혜자 사이의 지식수준의 차이를 전제로 하는 반면, 자료 서비스는 제공자와 수혜자의 지식수준이 비슷하다고 전제한다는 점이다.
정보 서비스와 자료 서비스의 차이는 제공하는 것에 대한 해석의 다양성을 전제로 하는가 하지 않는가에 있다. 자료 서비스는 제공되는 것에 대해 제공자와 수혜자 간 해석의 차이가 전혀 없는 경우를 의미하고, 정보 서비스는 그 해석의 차이 또는 활용의 다양성을 가정한다고 할 수 있다.-141쪽

지식 서비스는 지식을 추상화하고 코드화하고 이를 확산시키는 세 가지 기능을 가지게 되며, 추상화와 코드화를 통해 지식의 가치를 최대화시키는 역할(사적 역할)과 특정 부문에 전유되는 가치 있는 지식을 공공의 지식으로 이동시키는 역할(공적 역할)을 가진다고 규정할 수 있다.-144쪽

인터넷은 승자의 독점적 경향을 강화해서 양극화를 부추기지만 동시에 승자의 위치를 유지하기는 힘들게 만듦으로써 불확실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런 현상을 생물학에서는 '붉은 여왕' 현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경쟁을 통해서 진화하지만 경쟁 상대 간의 상대적 지위가 지속적으로 변하하기 때문에 영원한 승자가 결국 나타나지 않으며, 상대방보다 더 빠르게 뛰어야 앞서기 때문에 계속 속도를 내야만 한다는 것이다. -188쪽

컴퓨터 게임은 이제 단순한 오락이 아니라 새로운 세대들에게는 미래의 주요한 라이프스타일 가운데 하나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것 같다. 현실과 게임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전방위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미래 사회를 위해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230쪽

앨빈 토플러에 따르면, 권력은 물리적 힘(완력)과 경제력(부), 그리고 지식(정신)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여기서 물리적 힘은 저품질의 권력으로 융통성이 적고 응징의 차원에서 활용된다. 경제력은 중간 품질의 권력으로 처벌 대신 현물의 보상(보수와 뇌물)으로 활용된다. 지식은 고품질의 권력으로, 이것은 물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약자인 경우에도 모두 소유할 수 있다.

디지털 네트워크는 이렇게 권력과 권위 구축의 매커니즘을 바꾸고 있다. 과거에는 경제력과 물리적인 힘이 중심이었다면, 새로운 시대에는 고품질의 권력인 정보의 중요성이 절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253-254쪽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 예술과 문화의 생산-유통-소비의 방식에 전격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316쪽

특별한 이벤트가 일상화된 것이 현대의 삶이라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일상의 미학인 것 같다.-32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