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 2 : 아스카.나라 - 아스카 들판에 백제꽃이 피었습니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지음 / 창비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시리즈 일본편 1권 규수편을 읽고 나서 2권도 회사에서 바로 대출해

보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좀 시간이 걸리게 되었다. 2권은 아스카와 나라를 다루는데 그중 나라 부분은

사실 23년 일본 여행을 위해 집에 있는 미니북의 잘 보이지 않은 글자를 겨우겨우 읽어가면서 보긴 

했었다. 그래도 제대로 된 사이즈의 책으로 다시 보고 싶었는데 역시 제대로 된 책으로 봐야 가독성이

좋았다.


일본 고대문화의 중심지인 아스카와 나라는 우리와도 연관성이 큰 곳들인데 특히 아스카는 도래인의

고향이라 부를 정도로 한반도에서 건너 간 도래인들의 활약이 큰 곳이다. 아스카 부분에선 '가까운

아스카'에서 법륭사까지를 다루는데, 아스카란 지명이 여러 곳이어서 그중 나라에 있는 아스카를 '먼

아스카', 오사카에 있는 아스카를 '가까운 아스카'라고 한다. '가까운 아스카'는 태자마을이라 하는데

쇼토쿠 태자의 묘가 있기 때문이다. 백제와 가야 출신의 도래인들이 나름의 존재감을 발휘한 아스카

시대의 여러 유적과 유물들을 살펴보는데, 법륭사 건축에서 한국미 특질인 곡선의 아름다움과는 다른

일본의 직선의 미를 얘기하면서 한국의 건축은 하늘을 향해 날갯짓하는 상승감의 표정이 많은 데 비해

일본의 건축은 대지를 향해 낮게 내려안은 안정감을 강조해 양국의 정서 차이를 보여줌을 강조했다.


이제 나라로 건너가면 23년도 일본 여행에서 나라를 여행했던 추억이 새록새록 떠올랐다. 나라의 여러

사찰들이 소개되는데 교토의 사찰과의 크게 다른 점으로 사찰 안에 아기자기한 정원이 없다는 걸 꼽는다.

나라와 교토 여행을 할 때는 아무 생각이 없었는데 정말 그랬던 것 같다. 그래서 유교수는 나라의 

답사는 당탑과 불상 답사이고 교토의 답사는 명원 답사라고 말한다. 나라에 있는 우리 유물 중 대표격인

안견의 '몽유도원도'는 덴리도서관에서 국내로 반환될 거란 뉴스를 봤는데 어떻게 되고 있는지 모르겠다.

다른 책에서도 '몽유도원도'를 만난 적이 있었지만 동양의 고서화들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전개되는

반면 '몽유도원도'는 역방향인 좌측에서 우측으로 전개되는데 이는 역방향이어야 더 이상 갈 곳 없는

종점임을 보여준다는 걸 이번에야 알게 되었다. 나라에선 역시 흥복사와 동대사가 핵심인데 모두 

내가 가본 곳들이라 그런지 얘기들이 더 와닿았다. 흥복사 국보관에서 봤던 명작들과 동대사의 여러

건축물들은 이 책을 읽으니 그 가치를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나라의 여러 명소들과 여기에

얽힌 얘기들을 다시 읽으며 지난 여행때 가보지 못했던 곳들을 다음에는 꼭 가보고 싶어졌다. 이제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일본편은 모두 읽었는데 다음에는 중국편에 도전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