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처한 미술 이야기 3 - 초기 기독교 문명과 미술 : 더 이상 인간은 외롭지 않았다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 이야기 3
양정무 지음 / 사회평론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정무 교수의 '난처한(난생 처음 한 번 공부하는) 미술이야기' 시리즈는 6권을 처음 읽다 보니 본의

아니게 역주행을 하게 되었다. 회사 도서실에 1~6권이 구비되어 있어 이탈리아 르네상스를 다룬 5권

중세 미술과 문명을 다룬 4권을 차례로 읽었는데 이 책 3권은 초기 기독교 문명과 미술을 다루고 있다.


초기 기독교 문명과 미술이라고 하면 딱히 떠오르는 미술 작품이 없는데 이 책은 후기 고전기 미술부터

다룬다. 로마제국이 쇠퇴하던 3세기부터인데 로마제국은 죽음 철학이 부재해 각자도생을 할 수밖에

없던 상황에서 내외부적 요인에 의해 점점 쇠퇴해가다가 기독교가 조금씩 부상하기 시작한다. 미술의

관점에서 보면 자연스럽게 인체를 표현했던 그리스, 로마 고전기 조각들이 점점 퇴보하여 어색한 후기

고전기 조각들이 등장하는데 기술적으로는 퇴보했지만 전통적인 구도나 비례 규칙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특징을 선보였다. 초기에 박해를 받았던 기독교가 콘스탄티누스 황제에 의해 합법화된 후 점차 로마의 

국교로 자리잡으면서 신도들이 예배를 드릴 공간이 필요했는데 구 베드로 대성당과 같은 직사각형 

교회와 산타 코스탄차 성당과 같은 원형 교회의 건축 양식으로 양분할 수 있었다. 예루살렘의 예수 

성묘 교회를 필두로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오늘날의 이스탄불인 콘스탄티노플로 수도를 옮기면서 

중심지가 된 콘스탄티노플을 집중 조명하는데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에 의해 재건되었다가 오스만 제국의

메흐메트 2세때 모스크로 개조된 특별한 사연을 간직한 하기야 소피아를 자세히 살펴본다. 로마와

콘스탄티노플을 경유하는 위치에 있던 라벤나가 당시 번영을 누렸다는 사실은 이번에 알게 되었는데

비잔틴미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모자이크화들을 만나볼 수 있는 곳이었다. 비잔틴미술은 레오 3세가 

성상 파괴 명령을 내리면서 이를 옹호하는 정교회와 포교를 위한 필요성으로 반대하는 가톨릭으로

동서 교회가 분열되었다. 결국 정교회의 종교 예술은 엄격하고 제한적인 이미지만 활용된 반면 로마

가톨릭은 다양한 미술이 발전하는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다. 이후 게르만족의 대이동으로 이주민들의

기존 전통과 기독교 신앙이 융합하게 되었고 앵글로색슨족의 미술과 사를마뉴를 중심으로 하는 카롤링거

르네상스로 마무리한다. 로마제국 말기부터 중세 초기까지는 암흑기라 예술과는 무관한 시기가 아닐까

생각했는데 이 시기에도 나름의 예술과 문화가 꽃피었음을 제대로 알게 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