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 위의 세계사 - 한 장으로 압축된 인류의 역사 EBS CLASS ⓔ
김종근 지음 / EBS BOOKS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 봄에 읽은 '두선생의 지도로 읽는 세계사'를 비롯해 지도를 바탕으로 해서 역사나 지리 등을 다룬

책들은 여럿 만나봤는데 이 책은 그야말로 진짜 실존하는 지도를 통해 그 지도에 담긴 역사와 의미를

살펴본다. 박물관에서 대동여지도 등 우리 지도들은 종종 만나왔지만 과연 어떤 지도를 통해 어떤 얘기를

들려줄 것인지 궁금했는데 이 책에선 인류역사상 총 10개의 지도를 선정해 관련된 흥미로운 얘기들을

들려준다.  


먼저 바빌로니아의 세계지도로 시작하는데 인류 최초의 세계지도로 당시 사람들이 세상을 어떻게 인식

했는지를 알 수 있다. 바빌론을 인간 세상의 중심으로 묘사하면서 세상의 기원에 대한 상징적이고 

신화적인 내용 묘사와 현실 세계 추상화도 시도했다. 다음으로 프톨레마이오스의 세계지도가 등장하는데

이를 통해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이 지구를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알 수 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도만

나오는 게 아니라 기원전 6세기경부터 기원후 2세기경까지 그리스 철학자들이 생각한 지구의 모습이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는데 지구를 편평하다고 생각하다가 둥글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헤리퍼드 마파문디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선정되었는데 중세에 만들어진 세계지도 가운데 

유일하게 완벽한 상태로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지리는 물론 역사학, 인류학, 민족학, 종교학, 신학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담아 시각적인 백과사전 역할을 해서 중세의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줬다.

중세 암흑시대엔 오히려 이슬람세계가 화려한 문화의 꽃을 피웠는데 알 이드리시의 세계지도는 그리스

철학과 이슬람 과학의 만남을 여실히 보여줬고 배수의 제도육체는 동양이 어떻게 지도를 제작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다음 타자는 지도의 대명사라 할 수 있는 메르카토르가 등장하는데 그의 아틀라스는 서양에서 지도책

또는 지도첩을 의미한다고 한다. 대항해시대가 시작되면서 지도가 각광을 받기 시작하는데 메르카토르

도법은 현재까지도 지구를 표현하는 지도투영법의 대명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카시니의 프랑스 

지도는 지도를 통해 국가와 국민이라는 의식을 제대로 심어주게 되었고, 다음으론 반가운 우리 지도가

등장하는데 바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이다. 현재 일본에 있어 사본만 국립중앙박물관이나 서울대

규장각에서 본 적이 있는데 동아시아 최초의 세계지도라고 한다. 서방에 한반도를 알린 지도로는

김대건의 조선전도와 김정호의 대동여지도가 소개되는데 한국 최초의 신부로 알려진 김대건이 지도

제작을 했다는 사실은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김대건의 지도는 조선에서의 포교 목적으로 

조선 정부의 지도를 복제한 것이고, 한국 지도의 대명사인 김정호는 조선 정부의 핍박을 받으며 고난 

속에 지도를 완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일본이 조선 정부의 무능함을 부각시키고 자신들의

지배를 합리화하기 위해 만들어낸 신화라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존 스노의 콜레라 지도는 콜레라

사망자를 지도에 표시해 콜레라의 원인을 밝혀낸 큰 업적을 남겼다. 이렇게 여러 지도들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세상에 대한 인식과 그 시대의 문화, 생활들을 엿볼 수 있었는데 그동안 몰랐던 여러 지도들과 

그 의미를 새롭게 발견하게 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