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선생의 지도로 읽는 세계사 : 서양 편 - 지리로 ‘역사 아는 척하기’ 시리즈
한영준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사는 주로 전쟁을 필두로 나라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도가 유용하게 활용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전에 '지도로 읽는다 한눈에 꿰뚫는 세계사 명장면' 등 지도를 바탕으로 세계사를

잘 정리한 책들을 종종 만나곤 했는데 이 책도 지리로 '역사 아는 척하기' 시리즈의 서양편이었다. 

서양편이라는 부제가 붙긴 했지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유럽과 북미 중심의 서양만이 아닌 중동,

중남미, 아프리카까지 다루고 있어 과연 서양편이라고 한정지을 수 있는지는 좀 의문이 들긴 했다.

아마도 다음에 나올 동양편이 아시아 지역을 집중적으로 다루다 보니 그 반대말처럼 사용된 게 아닌가

싶기도 했다. 


이 책에선 총 5개 챕터에 걸쳐 중동, 유럽, 미국, 중남미, 아프리카를 차례로 다룬다. 먼저 중동편에선

과연 중동의 의미가 어디까지인를 좁은 의미, 넓은 의미, 대중동 권역으로 나눠 지도에 색깔로 표시한다.

중동 지역을 하나로 묶는 가장 큰 공통점인 이슬람교와 중동 지역의 역사를 깔끔하게 정리하는데 

아랍인과 이란인, 터키인은 엄연히 다른 민족임에도 중동이란 하나의 틀에 포함되다 보니 이런저런

갈등이 끊이지 않는 것 같다. 서양편의 진정한 주인공인 유럽편에선 작은 대륙인 유럽이 여러 나라로

나뉜 까닭을 중심으로 얘기를 풀어간다. 유럽은 알프스산맥을 중심으로 여러 산맥과 강들이 곳곳에

있다 보니 만성적 분열(?) 상태에 있었다고 하는데 이게 오히려 자유와 경쟁으로 신대륙 발견, 산업혁명

등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본다. 세계 최강대국의 지위를 아직은 유지한

미국은 동서로 대서양과 태평양이, 북쪽으로 얼음 땅, 남쪽으로 사막으로 이뤄진 '천연 요새'에 둘러싸여

외침을 받을 걱정이 없었다. 늘 전쟁 중이었던 유럽과 비교가 되는 상황인데 결국 두 차례 세계대전으로

잿더미가 된 유럽을 밀어내고 세계 최강국의 반열에 이른다. 현재의 미국 영토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지도로 보여줘 미국의 성장사를 더 이해하기 쉬웠고 북동부, 중서부, 남부, 서부의 네 개 권역으로 나눠

미국을 잘 설명했다. 특히 1992년부터 지난 대선까지 선거인단 확보 결과를 토대로 주별 정치성향을  

지도로 보여주니 흥미로웠다. 중남미는 여러 나라들이 있지만 축구 잘하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몇몇 나라를 제외하면 우리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편인데 그 지역의 지리와 역사 등을 잘 정리해

알려준다. 특히 중남미가 미국과 다른 길을 걷게 된 이유와 관련해 이민자의 성격, 독립 이후의 분위기,

독립 시기, 자원의 저주라는 네 가지 점에 주목하여 설명해준다. 마지막으로 아프리카는 아시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대륙으로 아시아의 2/3, 지구 전체 육지 면적의 1/5을 차지한다고 한다. 아프리카도 

중남미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낯선 지역이라 할 수 있는데 유럽의 식민지 역사의 아픔이 아직도 

이 지역 분쟁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안타까웠다. 각 지역의 역사와 지리를 지도를 통해 정리하니

훨씬 이해가 잘 되었는데, 어디에 사는지가 한 사람의 삶에 중요한 것처럼 지리를 바탕으로 역사를

설명하니 각 지역에 대한 이해도를 몇 단계는 높여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