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피는 미술관 - 매일 내 마음에 그림 한 점, 활짝
정하윤 지음 / 이봄 / 202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작년에 이사를 해서 작은 텃밭이 생긴 이후로 여러 식물들이 자라는 모습을 즐겨 보고 있다. 물론

내가 식물들을 직접 키우고 관리하는 건 아니지만 꽃이 피는 모습을 바라보면 정말 신기하고 자연의 

위대함을 새삼 깨닫게 된다. 미술작품에 있어 꽃도 중요한 소재 중 하나로 사용되곤 했는데 이 책은

꽃 그림만 따로 모아놓는 특별한 구성을 선보인다. 꽃 그림만으로 책 한 권을 다 채울 수 있을까 싶은

생각도 들었는데 이 책에선 봄과 여름 꽃만 다루고 있어 가을, 겨울 후속 편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책은 2부로 나눠져 있는데 당연히 봄꽃과 여름꽃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실 꽃들을 봐도 잘 구분을 못하는

편이라 어느 꽃이 어느 계절에 피는지도 잘 모르는데 봄꽃 13개와 여름꽃 12개를 차례로 소개한다.

먼저 '비너스의 탄생'으로 유명한 보티첼리의 '프리마베라'가 영광의 첫 번째 주인공이었다. 사실 

'프리마베라'에는 꽃이 등장하긴 하지만 엑스트라급이어서 꽃 그림이라고 부르기엔 좀 민망한 지경인데

봄꽃이 제대로 주인공인 그림은 밀레의 '수선화와 바이올렛'부터였다. 이후 목련, 튤립, 철쭉, 라일락,

카네이션, 장미, 민들레까지 친숙한 봄꽃들뿐만 아니라 제라늄, 아네모네, 아이리스 등 봄꽃인 줄 잘

몰랐던 꽃들 그림은 물론 불두화라는 몰랐던 꽃까지 만날 수 있었다. 유명 화가들의 몰랐던 꽃 그림은

물론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된 화가들도 적지 않았는데 같은 종류의 꽃도 화가마다 표현방식이 

천차만별이어서 지루할 틈이 없었다. 1부 끝에는 '봄 특별전'이라고 '반 고흐의 아이리스', '꽃 아이',

'모네의 장미정원으로 초대합니다', '반 고흐의 장미'를 따로 다루고 있다.


2부에선 백합, 옥잠화, 해당화, 양귀비 등 여름꽃들이 총출동하는데 아무래도 우리에게 친숙한 수련과

해바라기를 빼놓을 수 없을 것 같다. 모네의 수련과 고흐의 해바라기는 각 화가들을 대표하는 꽃 그림

들이라 더욱 기대가 되었다. 특히 고흐의 해바라기 중 뮌헨 노이에 피나코테크 소장 해바라기는 뮌헨

여행 갔을 때 직관한 작품이라 더욱 반가웠다. 고흐의 경우 '접시꽃이 담긴 꽃병'이 마지막 작품 중 

하나라고 소개하는데 얼마 전에 봤던 '파이널 페인팅'에서 고흐의 마지막 작품들로 다룬 작품들과는

좀 달라서 뭐가 맞는지는 잘 모르겠다. 여름편 마지막에도 '모네의 양귀비 꽃밭', '모네의 물의 정원', 

'반 고흐의 해바라기 여정', '화가와 함께하는 10일간의 여름 휴가'라는 특별전으로 마무리를 한다. 

그동안 꽃 그림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았는데 이 책을 통해 무수한 꽃 그림들을 보면서 실제 꽃을 보는

것과는 또 다른 즐거움을 맛볼 수 있었다. 그야말로 꽃밭을 누비는 기분이 들었는데 가을, 겨울편도

조만간 만나볼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