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의 서울을 걷는 인문학 - 상징 코드로 읽는 서울 인문 기행
조동범 지음 / 도마뱀출판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은 조선왕조때부터 계속 수도 역할을 한 도시라 우리 역사의 중세 이후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올 초에 읽었던 '표석을 따라 서울을 거닐다' 등의 책을 통해 서울 곳곳에

얽힌 사연들을 살펴보는 재미가 솔솔했는데 이 책도 최근 100년 동안 서울의 급격한 변화와 관련하여

그동안 잘 몰랐던 서울 곳곳의 역사와 의미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풀어내고 있다.


총 다섯 챕터로 나눠 최근 100년간 주목할 만한 서울의 변천사를 다루는데 먼저 근대의 시작과 근대

도시로서의 경성에 대해 살펴본다. 조선시대 한양이었던 서울은 서구 열강들에 의한 강제 개항 등을

통해 타의에 의한 근대화를 맞이하게 된다. 서양이 상당 시간이 걸려 이루어낸 근대화를 외세에 의해

강제로 급조하려다 보니 제대로 될 턱이 없었는데 일제 강점기까지 겪으면서 근대 도시라고 할 만한

곳은 그나마 이름을 경성으로 바꾼 옛 서울 정도밖에 없었다. 일제가 식민 지배의 일환으로 광화문과

경성역을 대로로 연결하는 등 근대화를 추구하지만 정작 종로는 개발하지 않고 놔두었다는데 개발되지

않은 조선시대 중심가와 일본이 개발한 곳이 비교가 되게 하기 위함이었다. 일본인이 주로 거주하는

남촌을 위주로 개발이 진행되면서 경성에 있던 5개의 백화점 중 4개가 남촌에 들어섰고 우리 자본으로

만들어진 화신백화점이 그나마 북촌에 자리를 잡았다. 일제 강점기때 미쓰코시백화점이 있던 자리에

신세계백화점이, 조지아백화점이 있던 자리에 롯데백화점 영플라자가 있다고 하니 그 터는 백화점 

터인가 보다. 서울역은 동경역이 암스테르담 중앙역을 모델로 만든 것처럼 위 역들을 모델로 했다고

하지만 실제는 스위스 루체른역을 참고했다고 한다. 종로3가에 종삼이라는 사창가가 있었다는 사실도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는데 돈의동 쪽방촌이 사창가가 사라지면서 생긴 거라 추측한다.


해방 이후의 서울도 지금의 모습과는 사뭇 다른데 흔히 쓰레기매립장으로 널리 알려진 난지도가 실제

쓰레기매립장으로 사용된 건 1978년부터 1993년까지 15년에 불과하다고 한다. 현재는 타임스퀘어가

들어선 영등포도 아직 인근에 집창촌이 남아 있다니 충격적이었다. 중국인 거주지로 악명 높은 대림동에

대해선 중국동포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거라며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는데 중국

동포 전부가 그런 건 아니겠지만 범죄 등에 연루되고 무늬만 한국인이지 정신은 중국인인 사람들을

같은 민족이라고 대우해주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1990년대 이후 발전한 홍대앞, 압구정동 등 새로운

중심지들을 소개하면서 아파트 공화국의 중심 역할을 하는 것에 비판적인 내용들을 담아냈는데 집값

폭등의 원인을 단순히 욕망과 계급만으로 치부하기엔 좀 아쉬운 측면들이 있었다. 마지막 장에는 서울

인근의 신도시들로 성남, 광명, 안양 등을 다루는데 요즘 많이 회자되는 성남이 원래 광주대단지 사건

이란 서울 빈민들을 사실상 강제 이주시켜 생긴 도시라는 새로운 사실도 알게 되었다. 이렇게 서울과

주변 도시까지에 얽힌 여러 사연들과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집중 및 욕망의 변천사를 잘 담아낸

책이었는데 그동안 몰랐던 사실들과 서울이란 도시의 상징적 의미를 새삼 실감하게 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