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체를 보는 식물학자 - 식물의 사계에 새겨진 살인의 마지막 순간
마크 스펜서 지음, 김성훈 옮김 / 더퀘스트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수사기법이 발달하다 보니 정말 작은 단서로도 범인을 잡거나 범죄를 밝혀내는 데 결정적인 증거가

되곤 하는데 CSI 등 과학수사를 다룬 미드 등을 통해 일반인들에게도 이러한 과학수사의 위력은 

친숙해진 상태다. 하지만 드라마나 영화, 소설 속에서 보여지는 과학수사 장면과 실제 사건에 대한

과학수사는 엄연히 다르다고 할 수 있는데 관련 분야에 종사하지 않는 이상 그 차이를 제대로 알긴

어렵다. 전에 퍼트리샤 윌트셔라는 법의생태학자의 '꽃은 알고 있다'라는 책으로 그동안 잘 몰랐던

법의생태학이란 분야를 알게 되었는데 이 책의 저자도 법의식믈학자여서 과연 어떤 얘기를 들려줄지

기대가 되었다.


저자는 원래 런던 자연사박물관의 영국 및 아일랜드 식물 표본실 큐레이터였는데 우연히 강가에서 

심하게 부패된 남자의 시신 주변에 있는 식물에 관한 자문을 해주면서 법의식물학자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예전에는 식물에 별로 관심이 없어 나무나 풀 등을 봐도 뭐가 뭔지 잘 몰랐는데(물론 지금도

별로 다르지 않지만) 이사를 하고 나서 작은 텃밭이 생기며 이것저것 식물을 키워 자라는 모습을 보면서

자연의 신비를 맛보곤 했다. 그래도 그 수많은 식물의 생태를 이용해 범죄현장에서 언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알아낸다는 건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는데 법의식물학은 법의환경학이라는 폭넓은 

범죄과학 분야의 일부로 여기서 환경은 범죄수사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자연계의 물질을 일컫는다.

예전에는 범인의 모습을 목격한 증인이나 CCTV, 지문 등이 결정적인 증거로 활용되었지만 지금은 

옷에 묻은 작은 식물 조각 하나도 시체나 범죄현장과의 연결을 해줘서 범인을 꼼짝하지 못하게 한다.

저자가 직접 경험한 여러 사건들의 다양한 얘기들을 들려주는데, 시체를 영양분 삼아 자라는 블랙베리

덤불은 식물 달력이어서 시신이 그 자리에 얼마나 오래 있었는지 추정할 때 도움을 주었고, 나무는 

자연이나 인간의 흔적을 고스란히 보존하기 때문에 절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고 얘기한다. 이상해

보이거나 자연적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식물의 손상 흔적은 시체를 찾는 데 좋은 길잡이가 되었고, 

오랜 시간을 버틸 수 있는 꽃가루는 특정 장소와 연관지을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균류를 통해 

시체의 부패 단계를 알 수 있어 사망 시간을 추정할 수 있는 등 식물에 관한 지식이 범죄 해결에 커다란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식물의 특성을 자세하면서도 정확하게 알아야 했다.

이 책을 통해 법의식물학이란 세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제대로 알 수 있었는데 저자가 들려주는 

여러 흥미로운 사건들을 통해 식물이 가장 진실한 목격자 역할을 함을 잘 알 수 있게 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