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의 흑역사 - 세계 최고 지성인도 피해 갈 수 없는 삽질의 기록들 현대지성 테마 세계사
양젠예 지음, 강초아 옮김, 이정모 감수 / 현대지성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가 현재와 같은 고도로 발달한 문명을 이룬 데는 과학의 힘이 컸다. 여러 분야의 과학자들이 남긴

위대한 업적들에 대해선 많은 책들이 이를 다루고 있지만 과학계의 흑역사를 다루는 책은 예전에 읽은

'과학을 훔친 29가지 이야기' 정도밖에 생각이 안 나는데 이 책은 제목부터 위대한 과학자들의 흑역사를 

제대로 까발릴 것 같아 기대가 되었다.  


이 책에선 천문학자, 생물학자, 수학자, 화학자, 물리학자의 다섯 분야로 나눠 총 26명의 흑역사를 

소개한다. 사실 흑역사의 주인공들이 모두 과학계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인물들이라 그들에게도 

이런 모습이 있었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누구나 잘못을 할 수 있는 것이 사람인지라 오히려 

인간미(?)가 느껴질 수도 있다. 흑역사의 포문을 여는 첫 번째 주인공은 스티븐 호킹으로 블랙홀 연구로

유명한 그도 블랙홀 경계의 면적이 가지는 불변성을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과 연계를 짓지 않으며 이를

주장한 대학원생을 무시하다 나중엔 결국 그 관련성이 밝혀졌고, 그의 대표작 '시간의 역사'에서도

스타인하트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잘못된 내용을 싣고도 사과를 하거나 잘못을 공개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오만한 모습을 보였다. 호킹의 이러한 모습은 이 책에 등장하는 위대한 과학자들이 저지른

실수의 공통된 모습이라 할 수 있는데 아무래도 최고의 위치에 오르면서 사람들이 무조건 떠받들어

주니까 독선에 빠져 자신이 잘못을 저지를 수 있다는 생각 자체를 안 하게 되는 것 같았다. 아인슈타인도

'일반상대성이론에 근거한 우주론 고찰'이란 논문에서 중학생도 잘 아는 내용에 오류를 저질렀고 우주가

정적이라는 믿음 때문에 우주 상수를 도입하는 생애 가장 '멍청한 실수'(?)를 했다. 물론 일반인이 보기엔

우주 상수가 왜 가장 멍청한 짓인지는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영국 물리학자 토머스 헨리 헉술리는 '과학자가 60세를 넘으면 기여하는 일은 적고 해를 끼치는 일은

많다'라고 했다는데, 이 책을 보면 한때 위대한 업적을 남긴 과학자들도 차츰 꼰대(?)가 되어 새로운

주장을 하는 후배 과학자들의 앞길을 가로막는 일을 서슴지 않는 사례들이 부지기수였다. 학계의 권위로

새로운 주장을 깔아뭉개고 비난하는 대가들의 행동들은 나중에 결국 이불킥을 불러오는 흑역사의 한

장면으로 남게 되고 말았는데 오직 논리와 증거에 기반한 과학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들에게도 이런

일들이 벌어지니 씁쓸한 맘이 들었다. 심지어 '독가스 화학자' 프리츠 하버는 독가스를 만드는 게 전쟁을

빨리 끝낸다는 궤변을 하며 독일이 제1차 세계대전에서 사용한 독가스들을 만들었고, 갈릴레이도 

베네치아 공화국의 파도바 대학교에서 많은 성과를 거두다가 고향이 피렌체의 피사대학교로 돌아가는

잘못된 결정을 하는데 적들로 가득한 피사대학교로 돌아가면서 우리가 알듯이 그는 종교재판을 받고

지동설을 부인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블론로의 N선 발견은 희대의 웃지 못할 해프닝이라 할 수 있었는데 어떻게 보면 사기극이라 할 정도로 과학계에서 이런 일들이 벌어진다는 게 한심할

따름이었다. 이 책을 통해 가장 합리적인 사회로 보이는 과학계도 오만과 편견 등 인간의 약점이 여실히

드러나는 곳임을 잘 알 수 있었는데 역사에 큰 업적을 남긴 과학자들도 여기서 결코 자유롭지 못함을

흥미진진한 실제 사연들을 통해 잘 보여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