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에서 읽는 조선사 - 아홉 가지 키워드로 보는 조선의 낯선 모습
표학렬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교적 최근인 조선사에 대해서는 워낙 다양한 책들이 나와 있어 웬만한 이야기는 낯설지가 않은데

이 책은 왕, 영웅, 정치인, 출세, 직업, 재테크, 전쟁, 역병, 음식의 9가지 키워드로 조금은 낯선 조선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려고 시도한다. 카페와 조선사의 조합이 저자는 어색하게 느껴진다고 하는데 

굳이 제목에 '카페에서 읽는'이라는 수식어를 붙여야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카페에서 차를 마시며 

부담없이 읽을 수 있는 내용들이었다.


먼저 '왕'에선 세종, 세조, 정조, 철종을 다룬다. 조선왕조에 대해선 여러 책들로 충분히 접해 새삼스런

감도 없지 않았는데, 유교 정치가 원하는 이상적인 왕의 자질을 갖춘 왕이 필요한 시점이 되자 공부를

잘했던 세종이 왕이 될 수 있었던 반면 준비되지 않았던 세조는 쿠데타로 왕이 되긴 했지만 공신들의

등쌀과 횡포에 고통받는 백성들을 직접 챙겨야 해서 전국을 돌아다닐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계몽군주로

각광받는 정조에 대해선 이덕일의 '조선 왕 독살사건'에서 논란의 독살설이 제기되지만 저자는 동기가

부족하다고 말한다. 특히 18세기 유럽에선 왕정 타도의 시기였다며 정조는 근대 개혁 군주로 보기 

어렵고 타도의 대상으로 영국의 찰스 1세나 프랑스의 루이 16세처럼 사형당할 운명이었을지도 모른다고

얘기한다. 당시 서양의 시대변화에 맞게 조선에도 시민혁명이 일어났어야 한다는 좀 황당한 얘기라

우물에 가 숭늉 찾는 느낌이 드는 얘기였는데 저자 혼자 너무 나간 게 아닌가 싶었다. 


'영웅'편에선 유성룡, 이순신, 의적, 임경업과 박씨 부인을 다루는데, 유성룡에 대해서도 치세에는 

간신이고 난세에는 영웅이었다는 마치 조조와 비슷한 평가를 해서 좀 당황스러웠다. 이순신에 대해선

여전히 부족한 평가를 받는다며 격찬을 하는데 그가 전승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이 질 싸움은 아예 하질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임꺽정, 홍길동, 장길산의 조선 3대 의적(?)을 거쳐 조선 후기의 소설로

'국뽕 영웅'이 된 임경업과 박씨 부인의 얘기를 들려준다. '정치인'에선 한명회, 송시열, 김조순이

등장하는데, 훈구파의 두목격인 한명회에 대해서야 워낙 많이 다뤄져 친숙하다 보니 그리 새로운 내용은

없었다. 이덕일이 노론의 두목(?)으로 보는 송시열에 대해선 이상 사회를 꿈꾼 고매한 학자라는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세도정치의 핵심 인물이었던 김조순에 대해선 조선 왕조에 필요한 리더십을

보여준 마지막 정치인이라는 의외의 평가를 내놓았다. 이렇게 기존에는 몰랐던 사실들이 계속 등장

하는데 과거 급제 평균 연령이 무려 40세였다고 하고, 조선 후기 당쟁에 대한 막연한 비판은 일제 

식민사관의 영향이 크다거나 명청 교체기에 광해군의 대응과 관련해서도 급진적인 외교, 안보정책이라며

비판적인 시각이었다. 전반적으로 기존에 알고 있던 조선사와는 사뭇 다른 내용들이 적지 않았는데

저자의 주장을 모두 동의하기는 어렵지만 다양한 시각을 제시해준 측면에선 의미가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