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으로 생각하는 힘 - 일상의 모든 순간, 수학은 어떻게 최선의 선택을 돕는가
키트 예이츠 지음, 이충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부분의 사람들이 학창 시절에 수포자였기 때문에 특별히 수학과 연관된 일을 하는 사람이 아니면

수학과는 담을 쌓고 살기 마련인데 수학은 우리가 알던 모르던 세상 곳곳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얼마 전에 읽었던 '수학의 쓸모'라는 책에서도 주로 통계와 확률을 중심으로 수학이 우리의 일상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제대로 보여주었는데 이 책에서도 수학적 사고가 특수한 사람들의 

전유물이 아닌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임을 여러 사례들을 통해 알려준다.


이 책에선 총 7장에 걸쳐 수학이 세상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데, 먼저 기하급수적

변화의 가공할 위력과 한계에 대해 얘기한다. 기하급수적 행동과 일상적인 현상 사이에 숨어있는 

관계로 집단 내에서 질병이 확산하거나 인터넷에서 밈이 확산하는 방식, 배아가 급격하게 성장하는 

방식과 은행 계좌에 넣어둔 돈이 아주 느리게 불어나는 방식, 시간과 심지어 핵폭탄의 폭발을 우리가 

지각하는 방식 등에 대해 살펴보는데, 태아가 1주일 동안 16배 성장한다거나 원자핵 분열이 생길 때

기하급수적으로 나오는 에너지가 세상을 파괴시킬 수 있는 핵폭탄의 힘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반대로

기하급수적 감소는 그리 친숙하지 않은 개념인데, 방사능 수준으로 물질의 연대를 알아내는 방사성 

연대 측정법의 기초 원리라 할 수 있었다. 이렇게 기하급수적 증가와 감소는 원자로 폭발에서 인구 

폭발까지, 바이러스의 확산에서 바이럴 마케팅 캠페인의 확산까지 보통 사람들의 삶에 보이지 않게 

아주 큰 영향을 미침을 잘 보여주었다. 특히 현대의학에 있어서 개인 맞춤형 의학 시대를 열렸다고

할 수 있는데 여기에 수학이 한 역할을 한다. 흔히 비만을 측정하는 공식으로 체질량지수(BMI)가 이용

되는데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누는 방식으로는 정확한 건강 지표가 될 수 없고 대신 심장대사 건강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체지방 비율을 직접 측정하는 편이 유용하다면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유레카'의

아르키메데스를 소환한다. 국가보건서비스가 어떤 신약의 사용 비용을 지급할지 말지 경정하는 신의

방정식이나 중환자실의 거짓 경보를 줄이기, 양성판정 오류 여부 등 의학 분야에 있어 수학을 제대로

아는 게 중요함을 실감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확률을 함부로 내세우면 유죄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간첩 혐의를 받았다가 나중에 무죄로 풀려났던 드레퓌스 사건을 들고 있는데 확률을

제대로 이해하고 범죄를 저질렀을 가능성 또는 아닐 가능성(유죄 또는 무죄의 확률)을 판단해야 

어이없는 오심을 저지르지 않을 수 있음(한 가족 내 영아 돌연사 증후군으로 인한 사망이 두 번 일어날

확률만 보고 오심을 했던 샐리 클라크 사건이 대표적임)을 잘 보여주었다. 그 밖에 통계에 속지 않는

법, 수 체계가 우리를 곤경에 빠뜨리는 방법, 진화에서 SNS까지 알고리듬의 무한한 잠재력, 코로나

시대에 시의적절한 질병 전파와 집단 면역 등에 관한 수리역학까지 수학을 제대로 이해하면 그동안

모르고 지나쳤던 세상이 돌아가는 원리를 보다 쉽게,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음을 잘 보여주었다. 사실

이 책에서 설명을 해주니까 수학이 일상 곳곳에서 작용하고 있음을 비로소 깨달을 수 있었는데 수학이

마냥 어렵다고 멀리하기보단 가까이하면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재미를 알려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