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의 해석
제드 러벤펠드 지음, 박현주 옮김 / 비채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뉴욕의 어느 고층빌딩에서 발견 된 학대당한(?) 여자의 시체

연이어 이어지는 동종 수법의 살인 미수

피해자는 실어증에 기억상실 증세를 보이게 되고

이 사건에 대서양을 건너 온 프로이트 박사 일행이 관여하면서

사건은 점차 그 전모를 드러내는데...

 

내가 좋아하는 심리학과 추리소설의 만남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프로이트와 그의 제자 융이

살인사건을 해석한다는 광고 문구에 넘어가지 않을 수 없었다.

1909년 역사적인 프로이트의 미국 방문을 소재로 만든 이 책은

팩션이 줄 수 있는 재미를 극대화하고 있다.

치밀한 조사와 연구를 통해 그 당시를 거의 그대로 재현해 낸

제드 러벤펠드의 능력에 감탄을 금할 수 없었다.

그는 역사의 많은 빈 공간을 개연성 있는 상상력으로

포장해 탄탄한 스토리를 만들어 냈다. 

 

이 책에 등장인물 중 대부분은 실존 인물들이다.

프로이트와 융 등 정신분석학계의 거물들을 비롯해

여러 인물들을 사실 고증을 바탕으로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특히 프로이트와 융의 인물 묘사는 그것의 진실 여부를 떠나

상당히 흥미로운 부분이다. 그들의 너무나 인간적인(?) 모습이...ㅋ

지금은 20세기를 바꾼 정신분석학자로 대접을 받고 있지만

당시엔 여러 비판자들에게 시달리던(?) 프로이트의 상황을 여실히 잘 보여주고 있다.

한편 화자인 정신과 의사 스트래섬 영거와

사건 해결의 핵심인 형사 지미 리틀모어는 작가가 창조한 인물이라 

실존 인물인 거물들이 조연(?)에 그치고 있는 사실이 아이러니하다.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등 프로이트의 이론들이 사건 해결의 단서를 제공해 주며

셰익스피어의 햄릿의 대사 'to be or not to be'를

재해석 하는 것도 상당히 흥미로운 부분이다.

 

이런 정신분석학적 측면과 함께 추리소설로서의 매력도 넘친다.

살인 사건 후 사라진 시체, 밀실(?)에서의 사건 등

추리소설의 기본 코드가 잘 스며들어 있고

피해자인 노라의 치료를 담당하는 의사 영거와

사건을 본격적으로 추적하는 형사 리틀모어

두 사람이 각각 다른 방향에서 사건의 진실을 추적해 가는 것을 함께 따라 가는 것도 이 책의 묘미

 

범인을 맞추는 것이 중심인 본격 추리소설도 재미있지만

이 책과 같이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에 바탕을 둔 팩션도

그 인물과 함께 호흡하며 동시대를 사는 듯한 느낌을 받으며

좀 더 생생한 현장감을 맛 볼 수 있어 좋은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홍진형 2008-01-16 11: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그 책에서 나오는 프로이트는 정신분석학을 위해 나오는데 '내가 좋아하는 심리학과 추리소설의 만남'이라는 부분에서 심리학과 정신분석학은 확실히 틀린 학문입니다.ㅎㅎ저도 처음에 심리학인 줄 알고 읽었으나 그게 아니더군요. 그래도 이책에 님과 비슷한 이유로 호감을 가지고 있고 상당히 재밌게 보았습니다

sunny 2008-02-06 19:44   좋아요 0 | URL
정신분석학은 심리학의 한 갈래라 할 수 있죠. 심리학이 보다 범주가 큰 학문이고 정신분석학은 그 중의 세부화된 학문이라 할 수 있죠. 암튼 더 정확하게 표현한다면 심리학보다는 정신분석학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