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가난은 사라지지 않는가 - 유엔인권자문위원이 손녀에게 들려주는 자본주의 이야기
장 지글러 지음, 양영란 옮김 / 시공사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난은 나라님도 구제하지 못한다는 말도 있는데 세계적으로 빈부격차가 워낙 심해서 아직도 굶어죽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는 사실은 상당히 충격적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와는 무관한 먼 나라 사람들의

일로만 치부하곤 한다. 나도 어쩌다 가끔씩 부의 불평등을 어떻게 해소하면 좋을까 생각할 때가 있지만

나 살기도 힘들고 내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니어서 결국에는 방관자로 침묵하게 된다. 이런

어려운 문제에 대해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로 가난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제기했던

장 지글러가 이번에는 이 책에서 손녀 조라와 주고 받는 문답 형식으로 가난이 사라지지 않는

근본 원인을 밝혀내고 있다.

 

장 지글러는 이 책에서 엄청난 숫자의 사람들이 가난으로 고통을 겪는 근원적인 이유로 자본주의를

들고 있다. 극히 적은 소수를 위한 풍요와 대다수를 위한 살인적인 궁핍을 만들어낸 자본주의가

'식인 풍습'을 만든 주범이라고 극언(?)에 가까운 말을 하면서 자본주의의 탄생부터 그 역사를 차근차근

설명하고 있다. 사회조직 형태로서의 자본주의는 적대적인 사회 계급 간의 수백 년 묵은 투쟁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마르크스의 이론에 기초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무엇보다 초기 자본 축적 단계에서

아프리카와 아메리카의 사람들을 착취하며 이룬 부를 바탕으로 현재의 자본주의 질서를 구축했음을

잘 보여줘서 자본주의의 태생 자체가 수많은 사람들의 피땀과 절망, 고통의 대가임을 알려주었다. 

한편 자본주의 사회의 핵심 원리인 사유재산권 개념이 중대한 실수라는 흥미로운 주장도 한다.

프랑스 대혁명 이후 로베스피에르가 사유재산권을 신성불가침적 반열에 올려놓음으로써

자본주의자들의 착취를 정당화하는 토대를 마련해주었다는 것인데 자본주의의 기본 토대 자체를

부정하여 놀라우면서도 나름의 논리를 제시했다. 독점화와 다국적화의 두 가지 특성으로 대변되는

금융자본의 힘은 초기 자본주의가 자본을 축적하는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소위 남반부 국가들로

불리는 가난한 나라들의 사람들을 착취하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도 현대 소비사회의 욕망의 노예가

된 사람들은 그들의 만행에 눈 감고 있다고 주장한다. 오직 이익 추구만을 하는 자본주의자들의

횡포에 제대로 대항하지 못하고 있지만 결국에는 이에 분노한 사람들이 프랑스 대혁명 당시처럼

봉기하여 새로운 체제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낙관적인 전망으로 마무리한다. 자본주의를 지구상의

모든 병폐의 근원으로 제시하면서 나름의 자세한 설명을 해주는 점에선 그동안 간과했던 부분들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주었지만 자본주의의 대안이나 그 구체적인 해결책 등은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도 분명 존재했다. 여전히 신자본주의 세력들이 활개를 치는 세상이라 세계적인 빈부

격차는커녕 국내 빈부격차 문제도 해결하기가 힘들지만 자본주의의 태생적인 문제와 현재 상황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손녀에게 쉽게 가르쳐주는 방식으로 잘 알려준 책이었는데 저자가 생각하는

것처럼 자본주의가 완전히 파괴된 새로운 세상인 유토피아가 가능한지는 잘 모르겠지만 현재의 부조리한 상황에 대한 인식과 이에 맞서는 저항정신을 갖는 것이 중요함을 깨닫게 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