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마지막 날들
그레이엄 무어 지음, 강주헌 옮김 / 교보문고(단행본)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에디슨과 테슬라, 두 실존인물 사이에서는 실제로 전류 방식을 두고 전쟁 아닌 전쟁이 벌어졌다.

직류 방식을 주장한 에디슨과 교류 방식을 주장한 테슬라의 경쟁은 어떻게 보면 골리앗과 다윗의

싸움이라고 볼 수도 있었는데 전에 읽었던 '지식e 시즌5'에서도 이들의 대결을 개인의 부를 추구하는

재벌 에디슨과 인류의 복지와 윤택한 삶을 위해 노력한 테슬라의 대결구도로 프레이밍하여 거의

선악 대결로 그렸다. 사실 에디슨과 테슬라의 인지도는 하늘과 땅 차이라 할 수 있는데 그나마

일론 머스크가 세운 전기차 회사인 테슬라로 인해 조금이나마 인지도가 올라간 상태에서

과연 이 책에선 그 당시의 두 사람간의 치열한 대결을 어떻게 소설로 승화시켰는지 기대가 되었다.

 

에디슨이 웨스팅하우스를 상대로 전구 특허침해소송을 제기하는 걸로 얘기가 시작되는데 솔직히

웨스팅하우스라는 인물은 잘 모르는 상태여서 기존에 알고 있던 에디슨과 테슬라의 대결이 아닌

웨스팅하우스와의 전선이 형성되자 좀 당황스러웠는데 웨스팅하우스의 변호인을 맡은 젊은 변호사

폴 크라배스가 사실상 주인공 역할을 맡아 얘기를 끌고 나간다. 백열전구는 당연히 에디슨이 발명한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 책에선 에디슨의 특허에 여러 가지 취약점이 있음을 알려준다. 필라멘트 발명과

관련해선 에디슨의 남긴 '나는 실패한 것이 아니다. 나는 작동하지 않는 1만 가지 방법을 찾아냈을

뿐이다'라는 말이 명언으로 전해져오고 있는데, 이 책에선 미국 특허번호 223,898번으로 등록된 

에디슨의 특허신청서에는 면 필라멘트로 되어 그 당시는 물론 오늘날의 필라멘트 소재와 달라 

다른 사람들이 특허권 침해가 아니다고 주장할 만한 충분한 여지가 있었다. 게다가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직류시스템을 업계 표준으로 만들려는 에디슨에 맞서 교류시스템으로 대항하는 웨스팅하우스

쪽의 슈퍼스타인 테슬라는 뭔가 상태가 안 좋은 인물로 그려져서 거대한 공룡기업인 에디슨 회사에

맞서기엔 쉽지 않았다. 그러던 와중에 방화로 보이는 화재사건이 일어나 폴 크라배스와 테슬라가

죽을 뻔하다 간신히 살아나고 유명 스타인 애그니스의 사건 의뢰도 맡은 폴 크라배스는 그녀와

썸도 타게 된다. 전구 특허와 전류 시스템을 둘러싼 양측의 치열한 공방과 음모, 전략이 과연 어떤

결과를 낳을지 흥미진진하게 그려진 작품이었는데 실제 인물과 사건을 다룬 역사 팩션이면서도 

마치 당시 상황을 지켜본 듯이 생생하게 재현해내었다. 보통 역사 팩션은 실제 역사와의 차이가

항상 논란거리가 되는데 이 책의 저자는 마지막에 참고자료로 역사적인 사실과 소설이 어느 부분에서

다른지를 솔직담백하게 고백하게 있어 아주 바람직한 역사 팩션의 면모를 선보였다. 외국 역사

팩션은 '살인의 해석' 이후 정말 오랜만이라 할 수 있었는데 역사적으로도 상당히 중요한 사건인

전류 공방을 작가적 상상력을 잘 발휘해서 매력적인 얘기로 완성시킨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