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도
이생진 / 작가정신 / 1998년 8월
평점 :
절판


시를 말하는 시 96



시와 섬노래

― 거문도

 이생진 글

 작가정신 펴냄, 1998.8.17.



  섬은 바다로 둘러싸인 터전입니다. 뭍은 커다란 땅덩이입니다. 그런데 지구별을 통틀어서 헤아리면, 뭍도 바다에 둘러싸인 터전입니다. 제아무리 커다란 땅덩이라 하더라도 바다가 훨씬 넓어서 뭍을 널따랗게 껴안습니다. 그러니까, 지구별이라는 테두리에서 보면 섬도 섬이고 뭍도 뭍인 셈입니다. 굳이 ‘섬’이라는 낱말을 지었다면, 조그마한 땅덩이라는 뜻일 수 있습니다. ‘뭍’은 커다란 땅덩이라는 뜻이라고 할 만합니다.


  눈길을 넓혀 수많은 별이 반짝이는 온누리를 헤아리면, 지구별은 대단히 작은 별입니다. 그야말로 가없는 온누리에 조그맣게 뜬 별조각입니다. 커다란 땅덩이 옆에 조그마한 섬이 있듯이, 드넓은 온누리에 조그마한 지구별이 있습니다.



.. 갈매기와 나는 한배에서 태어났으니까 / 나는 구름 타고 가고 / 저는 바람 타고 오고 / 나는 끝없는 데로 가고 / 저는 끝없는 데서 오고 ..  (시인과 갈매기)



  이생진 님이 빚은 시집 《거문도》(작가정신,1988)를 읽습니다. 이생진 님은 거문도에서 고즈넉히 지내면서 시를 길어올립니다. 거문도에서 나고 자란 사람도 아니면서 거문도에서 지냅니다. 거문도가 이녁 보금자리가 아니면서도 거문도에 머물면서 바닷바람을 마십니다. 그저 거문도를 마음으로 담아서 사랑하려는 손길이기에 거문도에서 시를 씁니다. 그예 거문도를 마음으로 마주하면서 껴안으려는 하루이기에 거문도에서 시를 읊습니다.



.. 외롭다는 말을 꽃으로 한 거야 / 몸에 꽃이 필 정도의 외로움 / 이슬은 하늘의 꽃이고 외로움이지 / 눈물은 사람의 꽃이며 외로움이고 / 울어보지 않고는 꽃을 피울 수 없어 ..  (혼자 피는 동백꽃)



  이생진 님은 ‘성산포’를 노래하는 시를 쓰기도 했습니다. 젊은 날부터 ‘바다’를 노래했고, ‘섬’을 그렸으며, ‘갈매기’와 놀았습니다. 그러니, 《거문도》라는 시집을 내놓을 만합니다. 그러면, 거문도에 머물면서 무엇을 보았을까요. 거문도에서 지내는 동안 어떤 이야기가 마음으로 하나둘 스며들었을까요.


  “담쟁이덩굴이 소나무를 감고 / 하늘 끝까지 올라가는구나 / 거기서 하늘이 보이느냐 / 줄기가 있으면 너랑 나랑 감고 올라가 / 하늘을 보자꾸나(가는 곳마다 무덤이)” 같은 이야기처럼, 섬에서 담쟁이덩굴을 보고, 소나무를 보며, 하늘을 봅니다. 담쟁이덩굴이랑 함께 하늘을 보고, 소나무랑 함께 바닷바람을 마십니다.


  시 한 줄은 풀줄기처럼 뻗습니다. 시 두 줄은 풀꽃처럼 피어납니다. 시 석 줄은 하늘처럼 파랗게 열립니다. 시 넉 줄은 바닷내음을 물씬 실어나르는 바람처럼 흐릅니다.



.. 고개 넘어가다가 돌에 챘다 / 그래서 무릎에서 피가 났다 / 돌이 내게 돌 던질 리 없으니 / 이는 돌의 잘못이 아니라 / 내 잘못이다 하고 지나가니 / 아무 탈이 없다 ..  (돌의 성품)



  거문도에서 나고 자라서 늙는 사람이 있습니다. 거문도에서 나고 자랐으나 거문도하고 사뭇 먼 곳에서 지내는 사람이 있습니다. 거문도라는 이름을 한 번조차 못 들으며 사는 사람이 있고, 한두 차례 거문도를 마실한 적 있는 사람이 있습니다.


  어디에서나 삶이 흐릅니다. 어디에서나 우리 이야기가 흐릅니다. 거문도에서도 뭍에서도 다른 섬에서도 “쑥 냄새 풍기는 섬 / 가을걷이 한창인데 / 돌담 너머 쑥밭은 / 아직 철모르는 봄이다(동도 쑥 냄새)”와 같은 이야기가 흐릅니다. 어디에서나 봄에 꽃이 피고, 여름에 볍씨를 심으며, 가을에 나락물결을 만나고, 겨울에 눈밭이 됩니다. 어느 고장에서나 봄에 쑥을 캐고, 여름에 시원한 바람과 소나기를 맞으며, 가을에 너른 하늘을 누리고, 겨울에 얼어붙은 별빛을 마주합니다.


  섬에서 살며 섬노래를 부르고, 바다에서 살며 바다노래를 부릅니다. 시골에서 살며 시골노래를 부르고, 서울에서 살며 서울노래를 부릅니다. 우리는 언제 어디에서나 노래를 부릅니다. 우리는 누구나 노래를 즐깁니다. 아이도 노래와 함께 놀고, 어른도 노래랑 같이 일합니다. 노래 한 마디를 읊으면서 빙그레 웃고, 노래 두 마디를 듣고는 신나게 춤을 춥니다.



.. 등대로 가다가 갯쑥부쟁이꽃을 만나 / 그 옆에 나란히 누워 / 엷은 가슴에 별을 묻고 자다가 들킨 기분 / 우리는 깨어나기 싫었다 ..  (녹산 등대로 가는 길 2)



  시집 《거문도》를 덮다가 문득 생각합니다. ‘서울’이라는 이름으로 시를 쓰는 분은 얼마나 될까요? ‘부산’이나 ‘광주’라는 이름으로 시를 쓰는 분은 얼마나 될까요? 거문도에 뿌리를 내려서 사는 시인은 거의 없다시피 할 텐데, 시집 《거문도》는 섬노래가 되어 태어납니다. 서울에 뿌리를 내려서 사는 시인은 대단히 많은데 ‘서울’이라는 이름을 척 붙이면서 서울살이와 서울사람과 서울사랑과 서울내음을 곱게 삶노래로 부르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아이가 태어납니다. 섬에서도 뭍에서도 아이가 태어납니다. 아이가 자랍니다. 시골에서도 서울에서도 아이가 자랍니다. 어버이는 어디에서나 어버이입니다. 모든 어버이는 모든 아이를 오직 사랑으로 돌봅니다. 모든 아이는 모든 어버이한테서 사랑을 물려받습니다.


  거문도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한 줄 두 줄 적은 싯말은 고요히 번지는 노래가 됩니다. 삶을 사랑하고 이웃을 아끼는 마음으로 석 줄 넉 줄 쓰는 싯말은 어느새 환하게 퍼지는 노래로 거듭납니다.


  나는 오늘 우리 보금자리에서 우리 집 두 아이랑 곁님하고 오늘 하루 부를 노래를 차분히 곱씹습니다. 두 아이는 아침부터 마당에서 앵두알을 훑습니다. 그저께까지는 시큼하기만 하더니 오늘은 달달한지, 두 아이 손이 멈출 새가 없습니다. 4348.6.1.달.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시골에서 시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로 읽는 책 217] 자연보호



  자연보호를 외친 사람들은

  막상 이제껏

  숲을 지킨 적이 없다



  ‘자연보호’를 외친 사람들은 이제껏 ‘숲’을 ‘지킨’ 적이나 ‘돌본’ 적이나 ‘사랑한’ 적이 없다고 느낍니다. 왜냐하면, 숲은 언제나 시골을 이루는 바탕인데, ‘숲사랑(자연보호)’을 하자고 외치면서 정작 도시에서 벗어나려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고작 ‘휴지를 줍자’나 ‘휴지를 버리지 말자’고 하면서 도시에서 물질문명을 누리기만 하니, 이 물질문명을 버티자면 숲을 허물거나 밀거나 없애야 합니다. 숲을 사랑할 수 없는 삶을 누리면서 허울로만 목소리를 높이니, ‘자연보호’나 ‘환경보호’ 같은 목소리는 그야말로 목소리로만 그칩니다. 숲을 지키고 싶다면 숲에서 살아야 합니다. 바다를 지키고 싶다면 바다에서 살아야 합니다. 가난한 이웃을 돕고 싶다면 가난한 이웃하고 한마을에서 함께 살아야 합니다. 정치권력이 서민경제를 살리지 못하는 까닭은 정치권력은 모두 서민하고 동떨어진 채 서민하고 ‘함께 살지 않’기 때문입니다. 노동운동을 하려면 노동자와 함께 살아야 하고, 교육운동을 하려면 아이들과 함께 살아야 하듯이, 환경운동을 하려면 숲과 바다하고 함께 살아야 합니다. 4348.6.1.달.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 찍는 눈빛 165. 멀리 가지 않아도 사진


  사진이 태어나는 자리는 언제나 ‘바로 이곳’입니다. 사진을 찍는 때는 늘 ‘바로 오늘 이때’입니다. 사진을 오랫동안 찍은 분이든, 사진을 이제 막 찍는 분이든, 사진은 언제나 ‘바로 이곳’에서 누구나 ‘바로 오늘 이때’에 찍는 줄 잘 알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를 머리로는 알아도 마음으로는 미처 헤아리지 못하는 분이 많습니다.

  사진이 언제나 ‘바로 이곳’에서 태어난다면, 사진을 어디에서 찍어야 할까요? 사진을 찍으러 어디로 가야 할까요?

  사진은 참말 ‘바로 이곳’에서 찍습니다. 어디 먼 데까지 나들이를 가야 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먼 데까지 나들이를 갔으면, 나들이를 간 곳이 ‘바로 이곳’입니다. 사진을 얻으려고 먼 데까지 나들이를 가야 할 까닭이 없되, 나 스스로 삶을 즐기거나 누리려고 먼 데까지 나들이를 으레 다닌다면, 바로 ‘내 사진’은 ‘내가 늘 머물면서 삶을 누리는 그곳’에서 태어납니다.

  사진을 찍기에 좋거나 알맞거나 멋진 ‘때’는 따로 없습니다. 내가 손에 사진기를 쥔 때가 바로 ‘사진을 찍을 때’입니다. 한낮이든 한밤이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아침이든 저녁이든 대단하지 않습니다. 하루 스물네 시간이 흐르면서 스물네 시간에 따라 스물네 가지 이야기가 있고, 한 시간은 예순 갈래로 나누는 이야기가 있으며, 예순 갈래는 다시 예순 갈래로 더 나누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하루에도 수없이 많은 이야기가 있기 때문에, 사진을 찍을 적에는 ‘이 많은 이야기 가운데 한 가지’를 고르거나 가리거나 추립니다. 모든 이야기를 사진으로 담으려 한다면, 다른 일은 하나도 못하고 사진만 찍어야 하니까, 참말 사진은 ‘삶을 즐겁게 누리는 하루 가운데 꼭 한 자락’을 뽑아서 찍습니다.

  멀리 가지 않아도 사진입니다. 멀리 가도 사진입니다. 여기에 있어도 사진입니다. 저기에 가도 사진입니다.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나 사진을 찍습니다. 온누리 모든 것은 사진으로 찍을 만한 이야기요, 온누리 모든 사람은 사진을 아름답고 사랑스레 찍을 수 있는 작가요 예술가이며 ‘이야기님’입니다. 4348.6.1.달.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 글 읽기

2015.5.28. 큰아이―마실 글놀이 2



  오래 기다린 끝에 버스를 타고 집으로 간다. 글순이는 종이를 더 달라고 한다. 무언가 재미난 글놀이가 떠오른 듯하다. 무엇을 할 생각일까? 글순이는 군내버스가 달리면서 흐르는 방송에서 무슨 마을이요 하는 말이 나올 적마다 ‘소리’를 듣고 받아적기를 하려고 한다. 마치 길그림을 그리려는듯이 마을이름을 하나하나 적는다. 잘 못 알아들었다 싶은 이름은 나한테 거듭 묻는다. 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글순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 글 읽기

2015.5.28. 큰아이―마실 글놀이 1



  작은아이는 집에서 낮잠을 잔다. 큰아이만 데리고 모처럼 읍내마실을 나온다. 저잣마실과 볼일을 마치고 군내버스를 기다리려니 한 시간이 남는다. 다리를 쉬고 주전부리를 먹이다가 종이 한 장과 연필 한 자루를 내민다. 뛰놀기에도 힘들 테니 그림을 그리자고 말한다. 나도 곁에서 함께 그림을 그린다. “무엇을 그릴까?” 하고 한참 생각하면서 이것저것 쓰고 그린다. 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글순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