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도 익혀야지

 (1079) 개 6


그때 학생들은 연필 한 개에 25센트를 지불해야 했다

《에드워드 월도 에머슨/서강목 옮김-소로와 함께한 나날들》(책읽는오두막,2013) 62쪽


 연필 한 개

→ 연필 한 자루

→ 연필 하나



  ‘자루’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천이나 헝겊으로 엮어서 물건을 담는 주머니입니다. 다른 하나는 손잡이가 있거나 길다랗게 생긴 연장을 가리키는 이름입니다. 그래서 “연필 한 자루”와 “칼 두 자루”와 “호미 세 자루”와 “도끼 네 자루”와 “낫 다섯 자루”처럼 말합니다. 이 보기글에서는 연필을 ‘개’로 셌으니, 잘못 적었습니다. 4348.5.23.흙.ㅅㄴㄹ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때 학생들은 연필 한 자루에 25센트를 치러야 했다


‘지불(支拂)해야’는 ‘치러야’나 ‘내야’로 손질합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집배움자리 34. 집밥



  날마다 집에서 밥을 먹는 우리 아이들은 밥상맡에 둘러앉아서 도란도란 말잔치를 누릴 뿐 아니라, 쉴새없이 마루를 가로지르거나 그림책이라든지 만화책을 뒤적이면서 논다. 젓가락이나 오이를 쥐고 논다. 풀포기를 입에 물고 논다. 밥 한 술을 뜨면 곧바로 새로운 놀이가 샘솟는다. 배가 고프다고 노래를 한 아이들이 막상 밥상맡에서 온갖 놀이를 하느라 밥술 뜰 생각을 잊는다. 몸에 넣는 밥보다 몸으로 짓는 놀이가 훨씬 즐거웁기 때문에 이렇게 놀 만할까? 내 어릴 적을 돌이킨다. 학교에서 도시락을 먹을 적에 나뿐 아니라 다른 아이들도 ‘노느라 바빴’다. 밥을 입에 넣을 틈조차 아깝다고 여겼다. 그러니까, 밥 한 술 입에 물고 뛰어놀아야 몸이 풀린다고 하는 셈이다. 집밥을 먹는 아이들은 그야말로 놀이요 놀이에 놀이로구나 하는 말이 저절로 나오도록 놀고 거듭 논다. 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집 학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 그림 읽기

2015.5.20. 큰아이―잘 주무세요



  입으로 하는 말을 글로 적는다. 아침에 일어나면 곧 지우고 새 그림을 그릴 텐데, 새 그림이 그림판에 얹히기 앞서 살그마니 내 마음에 담는다. 내가 들려주는 모든 말도 아이들 마음으로 스며들겠지. 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빨간 모자 꼬마 눈사람 꼬꼬마 도서관 3
오시마 다에코 지음, 육은숙 옮김 / 학은미디어(구 학원미디어)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534



숲동무 눈사람하고 놀자

― 빨간 모자 꼬마 눈사람

 오시마 다에코 글

 가와카미 다카코 그림

 육은숙 옮김

 학은미디어 펴냄, 2006.5.5.



  드넓게 우거진 숲이 아름답습니다. 조그맣더라도 사뿐사뿐 거닐면서 그윽하며 짙푸른 풀내음을 맡을 수 있는 숲이 사랑스럽습니다. 숲에서 자라는 나무는 우리 몸을 살찌우는 푸른 바람을 베풉니다. 숲에서 돋는 작은 풀과 여린 꽃은 우리 마음을 북돋우는 맑은 숨결을 베풉니다.


  풀 한 포기는 나물이 되니 풀밥입니다. 풀잎과 나뭇잎이 내뿜는 바람은 큼큼 들이켜면서 싱그러운 숨결로 거듭나니 바람밥입니다. 숨을 쉬며 목숨을 잇는 사람인 만큼, 다른 무엇보다도 우리 보금자리는 숲에 깃들어야 아름다우리라 느낍니다. 시골도 도시도 모두 숲으로 둘러싸인 삶터일 때에 사랑스러우리라 생각합니다.



.. 눈은 점심때가 지나서야 그쳤어요. 단비와 피피는 좋아라 하고 집 뒤 숲으로 달려갔어요. 엄마가 걱정스런 얼굴로 소리치셨어요. “조금만 놀다 와야 한다!” ..  (5쪽)




  오시마 다에코 님이 글을 쓰고, 가와카미 다카코 님이 그림을 그린 《빨간 모자 꼬마 눈사람》(학은미디어,2006)을 읽습니다. 이 그림책은 한겨울에 눈이 소복히 내린 날, 아이가 혼자 숲으로 가서 눈놀이를 하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아이는 대여섯 살이나 예닐곱 살 즈음이라고 할 만한데, 동무가 곁에 없어도 혼자 씩씩하게 놉니다. 어머니나 아버지가 함께 따라가지 않아도 그야말로 홀로 야무지게 놉니다.


  그림책이라 하지만, 아이는 숲에 거침없이 들어갑니다. 못 갈 일이란 없겠지요. 숲에 무섭거나 두려운 것이 있을 까닭이 없으니까요. 숲은 그저 숲일 뿐, 사람한테 무섭거나 두려운 대목은 없습니다.


  영화라든지 책이라든지 방송에서는 ‘사람 없는 숲’에서 괴물이 나온다거나 도깨비가 튀어나온다거나 하고 말하기 일쑤입니다. 그러나, 숲에는 괴물이 없습니다. 도깨비가 있다 하더라도 사람을 괴롭히거나 못살게 굴지 않습니다. 숲에는 그저 숲동무가 있고 숲님이 있습니다.



.. 이번에는 손바닥에 올려놓을 수 있는 작은 눈사람을 만들었어요. 눈은 새알 초콜릿, 입은 작은 나뭇가지! 피피가 빨간 꽃을 물고 왔어요. “눈사람 머리에 씌워 줘. 멍 멍!” ..  (11쪽)




  그림책 《빨간 모자 꼬마 눈사람》에 나오는 아이는 제 작은 손을 놀려서 조그마한 눈사람을 빚습니다. 아이 손을 거쳐서 새로운 몸을 얻은 ‘꼬마 눈사람’은 이윽고 기지개를 켜면서 깨어납니다. ‘숲아이’가 ‘눈아이’를 깨웠으니까요.


  눈사람을 빚은 숲아이는 놀라지 않습니다. 눈아이가 팔이랑 다리도 빚어 달라고 하니, 선선히 팔이랑 다리도 빚어서 붙여 줍니다. 숲아이는 눈아이하고 함께 놉니다. 눈밭에서 함께 썰매를 달리고, 눈으로 과자를 잔뜩 빚어 주어서 눈아이하고 샛밥을 먹습니다.



.. 꼬마 눈사람이 말했어요. “나한테 팔이랑 다리를 만들어 줘! 나도 달리고 싶어.” 단비는 눈으로 튼튼한 팔과 다리를 만들어 주었어요. “이제 됐니?” ..  (18쪽)



  아무리 어린 꼬마라 하더라도 밥을 빚을 수 있습니다. 여느 어른들처럼 불을 써서 밥을 끓이거나 빵을 굽지는 못하지만, 아이들은 ‘꿈으로 짓는’ 밥을 늘 마련합니다. 여느 눈으로는 ‘아이가 지은 밥’을 알아볼 수 없지만, 마음을 열고 바라보면 ‘아이가 멋지게 지은 밥’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여느 눈으로는 빈손만 보일 터이나, 마음을 열고 바라볼 적에는 두 손 가득 넘치는 ‘맛난 밥’을 알아보면서 냠냠짭짭 고맙게 나누어 먹습니다.


  아이들은 소꿉놀이를 하면서 배불러요. 마음이 부릅니다. 마음이 넉넉합니다. 기쁘게 놀면서 기쁨을 스스로 지어서 먹고, 웃으면서 노래하는 동안 웃음과 노래를 마음밥으로 잔뜩 먹어요.


  아침부터 저녁까지 실컷 논 아이는 ‘놀이밥’이랑 ‘마음밥’을 넉넉히 먹었기에 별이 돋는 밤에 깊이 잠듭니다. 아침부터 저녁 사이에 제대로 놀지 못한 아이는 놀이밥도 마음밥도 제대로 못 먹은 탓에 자꾸 미적거리거나 칭얼거리면서 ‘놀고 싶다’고 투정을 부리기 마련입니다.




.. 그날 밤, 단비는 잠자리에 들기 전에 창 밖으로 하늘을 올려다보았어요. 하늘 가득 별이 반짝거리고 있었어요. ‘지금 꼬마 눈사람은 뭐 하고 있을까? 내일 아침 일어나자마자 함께 놀아야지.’ ..  (29쪽)



  그림책에 나오는 숲아이처럼, 이 땅 모든 아이들이 숲살이를 누려서, 집 둘레에 있는 아름드리 숲에서 숲놀이를 즐길 수 있으면 참으로 아름다웁겠다고 생각합니다. 겨울에는 눈밭에서 구르고, 여름에는 풀밭에서 구릅니다. 가을에는 풀열매랑 나무열매를 즐기고, 봄에는 풀꽃이랑 나무꽃을 즐깁니다.


  아이들은 한 해 내내 놀면서 자랍니다. 아이들은 하루 내내 놀면서 큽니다. 숲이 바로 배움터입니다. 들이 바로 배움자리입니다. 냇물과 바다가 바로 배움마당입니다. 하늘과 흙과 풀과 나무가 모두 배움벗입니다. 바람은 언제나 배움노래가 되어 곱게 흐릅니다. 하늘숨을 마시는 아이는 ‘하늘아이’가 되어 너르고 씩씩한 마음으로 자랍니다. 하늘숨을 마실 수 있는 어른이라면, 누구나 ‘하늘어른(하늘사람)’이 되어 너르면서 착한 마음을 가꿀 만하리라 생각합니다. 4348.5.23.흙.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시골 아버지 그림책 읽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들레처럼 2015-05-24 00:35   좋아요 0 | URL
일이 있어 하루종일 함께 있지 못해 들어와 아이를 재우려니 놀자고 투정부리고 안자 억지로 재웠지요. 놀이밥과 마음밥을 제대로 못 먹어서 그랬군요. 도서관 터 문제는 잘 해결되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멀리서 마음으로 기도합니다. ^^

숲노래 2015-05-24 05:29   좋아요 0 | URL
도서관은 아직 그대로 있습니다.
월요일에 고흥군수님한테 편지를 쓸 생각이에요.
아이들은 시간에 맞춰서 재우지 말고
실컷 놀아서 곯아떨어질 때에 재워야지 싶습니다~
 

사름벼리가 배웅 가는 길



  어른들은 아이를 바라보며 곧잘 ‘어른스럽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면 ‘어른스럽다’는 무엇을 가리킬까? 나이만 어른이라는 뜻이 아니라 ‘철이 들었다’는 뜻이리라. 철이 들고 셈이 들며 슬기가 들었다는 뜻이리라. 보름 즈음 배움마실을 다녀오는 어머니를 배웅하려고 빗길을 나서는 사름벼리 모습(2015.5.11.)을 가만히 지켜본다. 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