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오리무중



 여전히 오리무중 상태이다 → 아직 알 수 없다 / 아직 갈피를 못 잡았다

 행방이 오리무중이다 → 어디 갔는지 모른다 / 어디 있는지 알 수 없다


오리무중(五里霧中) : 오리나 되는 짙은 안개 속에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 대하여 방향이나 갈피를 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한자 짜임새를 뜯어 보면, “다섯 리(五里) + 안개(霧) + 속(中)”입니다. 다섯 리에 걸쳐 안개가 끼었다는 소리입니다. 그러면 ‘안갯속’이나 ‘안개나라·안개누리’ 같은 말을 지어 볼 만합니다. ‘짙은안개’나 ‘감감안개’ 같은 말도 재미있어요. 안갯속 같다면 “알 수 없다”거나 “모른다”는 뜻입니다. 이는 ‘아리송하다’나 ‘알쏭달쏭하다’나 ‘알쏭하다’라 해도 되고, ‘까마득하다’나 ‘어렴풋하다’나 ‘어슴푸레하다’나 ‘감감하다·깜깜하다’라 해도 되어요. ㅅㄴㄹ



인간의 운명은 오리무중이며

→ 사람 목숨은 알 수가 없으며

→ 사람 앞날은 모를 일이며

→ 사람 앞길은 모를 노릇이며

→ 사람은 앞으로 어찌 될지 모르며

《그랑빌 우화》(그랑빌/햇살과나무꾼 옮김, 실천문학사, 2005) 20쪽


막상 어떤 제목을 달고 책이 나오게 될지는 아직 오리무중이다

→ 막상 어떤 이름을 달고 책이 나올는지는 아직 모른다

→ 막상 어떤 이름을 달고 책이 나올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

→ 막상 어떤 이름을 달고 책이 나올는지는 아직 알쏭달쏭이다

→ 막상 어떤 이름을 달고 책이 나올는지는 아직 감감하다

→ 막상 어떤 이름을 달고 책이 나올는지는 아직 생각 안 했다

《생각, 장정일 단상》(장정일, 행복한책읽기, 2005) 181쪽


무엇 때문에 대학생들이 데모를 하는지 여전히 오리무중이었던 탓도 있었다

→ 무엇 때문에 열린배움이가 일어서는지 아직 깜깜하던 탓도 있다

→ 무엇 때문에 배움이가 들고일어나는지 아직 종잡지 못하던 탓도 있다

→ 무엇 때문에 젊은이가 너울바람인지 아직 모르던 탓도 있다

《그늘 속을 걷다》(김담, 텍스트, 2009) 43쪽


점점 더 오리무중일걸

→ 더욱더 알 수 없을걸

→ 더더욱 아리송할걸

→ 더 안개바다일걸

→ 더욱 안갯속일걸

→ 더 짙은안개일걸

《파란 만쥬의 숲 1》(이와오카 히사에/오경화 옮김, 미우, 2011) 172쪽


화장실만 가면 오리무중

→ 볼일칸만 가면 감감

→ 쉼칸만 가면 안갯속

→ 뒷간만 가면 사라진다

《지구인이 되는 중입니다》(최은경, 교육공동체벗, 2018) 16쪽


너에게서 터져나오는 수만번의 투혼이 타자에게는 수만가지 오리무중

→ 너한테서 가득 터져나오는 단단힘이 남한테는 여러모로 알쏭달쏭

→ 너한테서 잔뜩 터져나오는 다부짐이 둘레에는 참 아리송

《헤어진 이름이 태양을 낳았다》(박라연, 창비, 2018) 4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화장실 化粧室


 화장실 청소 → 뒷간 치우기

 잠시 화장실에 다녀오겠습니다 → 살짝 쉼칸에 다녀오겠습니다


  ‘화장실(化粧室)’은 “1. 화장하는 데 필요한 설비를 갖추어 놓은 방 2. ‘변소’를 달리 이르는 말”을 가리킨다지요. ‘가꿈칸·꾸밈칸’이나 ‘뒷간·볼일칸’으로 손봅니다. ‘쉼칸’이나 ‘근심풀이’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상대방이 심사숙고에 들어가자 나는 화장실에 갔다

→ 맞은쪽이 생각에 깊이 빠지자 나는 뒷간에 갔다

→ 맞은쪽이 생각에 깊이 잠기자 나는 쉼칸에 갔다

→ 맞은쪽이 곰곰 생각하기에 나는 볼일칸에 갔다

《고양이의 서재》(장샤오위안/이정민 옮김, 유유, 2015) 41쪽


삼등 화장실은 이등과는 천양지차로 물도 안 나오는가 하면

→ 셋째 뒷간은 둘째와는 달라 물도 안 나오는가 하면

→ 딸림 쉼칸은 버금과는 딴판이라 물도 안 나오는가 하면

《삼등여행기》(하야시 후미코/안은미 옮김, 정은문고, 2017) 47쪽


화장실만 가면 오리무중

→ 볼일칸만 가면 감감

→ 쉼칸만 가면 안갯속

→ 뒷간만 가면 사라진다

《지구인이 되는 중입니다》(최은경, 교육공동체벗, 2018) 1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N과 S 7
킨다이치 렌주로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6.18.

만화책시렁 609


《N과 S 7》

 킨다이치 렌쥬로

 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23.11.15.



  즐겁게 지내고 싶기에 반갑게 만납니다. 한집안을 이루어도 즐거우면서 반갑고, 따로 보금자리를 일구면서 이따금 얼굴을 보아도 기쁘면서 반갑습니다. 뜸하게 얼굴을 보더라도 마음으로 그리기만 해도 즐겁습니다. 목소리를 들어도 설레고, 얼굴이며 목소리를 느끼기 어렵도록 서로 바쁘거나 멀리 떨어졌어도 두근거립니다. 얼핏 보면 코앞이거나 까마득히 멀지만, 곰곰이 보면 늘 한마음이면서 한빛입니다. 마음이 있으니 언제 어디에서나 즐겁습니다. 마음이 없으면 옆에 바싹 앉아도 남남이에요. 《N과 S 7》에 이르러, 두 사람이 실랑이에 갈림길에 고빗사위를 하나둘 벗기면서 한결 느긋합니다. 곰곰이 보면, 붙다가 떨어지고서 다시 붙다가 떨어지기를 되풀이하면서 차츰차츰 마음이 서고 생각이 빛나며 삶을 새록새록 바라볼 수 있어요. 어제 어떻게 했는지 곱씹고, 오늘 어떻게 할는지 살피고, 앞으로 어떻게 하려는지 그립니다. 동무는 하나여야 하지 않습니다. 짝꿍은 한 사람만 둘 테지만, 이웃이며 동무는 수두룩하지요. 우리 집 마당에 심은 나무도 아름다우며 사랑스럽고, 이웃집에서 자라는 나무도 아름다우며 사랑스러워요. 오늘 이곳에서 우리 집 나무를 품는 마음이라면, 한결 홀가분하면서 호젓이 어울릴 만합니다.


ㅅㄴㄹ


‘그렇게 들이대지 말아줘. 네 젊음이 무섭다고. 행동력도 장난 아니고. 하지만 나도 니아니의 약혼자로서, 그 젊음에 질 생각은 없거든.’ (121쪽)


헤어진 뒤 3년의 시간을 건너뛰어, 붙었다 떨어졌다를 반복하고, 수도 없이 안 된다고 생각했지만, 그럴 때마다 더 강하게 끌린 끝에, 이번에야말로 정말로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커플이 되었다. (171쪽)


+


《N과 S 7》(킨다이치 렌쥬로/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23)


네 본바탕이 아주 좋기 때문이야

→ 네 바탕이 훌륭하기 때문이야

→ 네 밑동이 빼어나기 때문이야

19쪽


그렇게 반석 같은 두 사람 사이에

→ 그렇게 단단한 두 사람 사이에

→ 그렇게 탄탄한 두 사람 사이에

43쪽


갑작스러운 연적 선언 이후 이렇게 단기간에 고백까지 할 줄이야

→ 갑작스레 사랑싸움이를 밝히고 이렇게 빨리 털어놓을 줄이야

108쪽


만화가로서 본궤도에 올라야

→ 그림꽃님으로서 길에 올라야

→ 그림꽃님으로 제자리 잡아야

110쪽


이런저런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근하신년입니다

→ 이런저런 고비가 있지만, 새빛입니다

→ 이런저런 일이 있지만, 새해맞이입니다

14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카네 이야기 3
유키 스에나가 지음, 모에 타카마사 그림 / 학산문화사(만화)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6.18.

만화책시렁 608


《아카네 이야기 3》

 스에나가 유키 글

 모우에 타카마사 그림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3.10.25.



  아이 곁에 누가 있는지 돌아보면, 아이가 어떤 마음으로 오늘을 누리는지 알 수 있습니다. 어른 둘레에 누가 있는지 살피면, 어른으로서 어떤 몸짓으로 이곳에서 지내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아이는 누구한테나 보여주고 들려주고 나누고픈 하루가 흐르는 곳에 있게 마련입니다. 이와 달리 적잖은 어른은 아이가 보면 안 될 듯한 일을 맡기 일쑤요, 아이한테 물려줄 만하지 않은 일을 돈벌이로 삼기도 합니다. 《아카네 이야기 3》에 이르러 아이가 성큼 발돋움한 하루를 보여줍니다. 이 아이가 걷는 길은 가시밭이거나 고단할 만합니다. 이 아이는 굳이 자갈밭이나 지칠 만한 길을 안 가도 됩니다. 이 아이는 어느 곳에서나 즐겁게 노래하면서 모두 녹이거나 풀 수 있습니다. 지난날 어버이가 걸어온 길은 어버이로서도 아이 눈망울로 기쁘게 걸은 줄 느끼고 싶습니다. 마음을 다스리려는 눈빛에 따라서 모든 하루가 다른 줄 배우고 싶어요. 어버이로서 가장 듬직한 말이란, “그래, 네가 천천히 생각하고 지켜보면서 알아보렴.”입니다. 아이로서 가장 사랑스런 말이란, “와, 내가 봤어요! 내가 찾았어요!”입니다. 솜씨나 재주가 아닌, 놀이랑 노래로 이곳을 가꾸면서 누린다면, 모든 아이는 언제나 스스로 피어나고 자라납니다.


ㅅㄴㄹ


“잰말놀이 같은 느낌으로, 어릴 때부터 배웠거든요.” (28쪽)


“솔직히 말해서 나는 웃을 수 없었네. 아마 자네가 웃기려고 노렸던 층에 나는 속하지 않았던 거겠지.” (82쪽)


“어떤 부모가 아이 이름을 대충 짓겠니?” (162쪽)


“스스로 생각하고 고민해서 답을 찾아내는 데 의미가 있는 거야.” (187쪽)


#あかね噺

#末永裕樹 #馬上鷹将

www.shonenjump.com/j/rensai/akane.html


+


《아카네 이야기 3》(스에나가 유키·모우에 타카마사/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3)



학식 있는 노인이나 절의 스님에게

→ 배운 어르신이나 스님한테

→ 똑똑한 어른이나 절집지기한테

6쪽


훨씬 각은 잡혔지만 아무 변화 없는 돌직구

→ 훨씬 틀은 잡혔지만 곧이곧대로

→ 훨씬 길은 잡혔지만 아무 물결이 없이

11쪽


숨을 적게 쉬면 말의 기세가 오른다

→ 숨을 적게 쉬면 말힘이 오른다

→ 숨을 적게 쉬면 말이 너울친다

13쪽


그건 분명 폐활량을 늘리는 훈련이었을 거예요

→ 틀림없이 숨통을 늘리는 길이었어요

→ 아무래도 허파숨을 늘리려 했어요

17쪽


수요와 공급이 맞지 않아. 마케팅적으로는 최악의 선택이지

→ 들숨날숨이 맞지 않아. 팔림새로는 가장 나쁜 길이지

→ 들길날길이 맞지 않아. 알림길로는 가장 나쁘지

→ 나누기가 맞지 않아. 장사로는 끔찍하지

18쪽


단신부임이라 도쿄에 있지도 않고

→ 혼일이라 도쿄에 있지도 않고

→ 홑일이라 도쿄에 있지도 않고

29쪽


파란으로 가득한 본선의 막이 열린다

→ 너울거리는 한판을 연다

→ 물결치는 마당을 연다

→ 땀나는 자리를 연다

45쪽


인생에서 자기 긍정감보다 더 막강한 버프는 없어

→ 나사랑보다 이 삶을 더 끌어올릴 수는 없어

→ 내가 나를 사랑해야 든든히 살릴 수 있어

→ 스스로사랑이어야 삶을 북돋울 수 있어

65쪽


그냥 관객의 니즈에 맞출 뿐이지

→ 그냥 손님 입맛에 맞출 뿐이지

→ 그냥 바라는 대로 맞출 뿐이지

→ 그냥 사람들한테 맞출 뿐이지

14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단신부임



 단신부임으로 파견되었다 → 혼자 보낸다

 자진해서 단신부임을 떠났다 → 스스로 혼잣일을 떠났다

 장기간의 단신부임으로 인하여 → 오래 홑길로 일하느라


단신부임 : x

たんしんふにん(單身赴任) : 단신 부임, (먼 곳으로 전근 갈 때) 가족을 두고 혼자 근무할 곳으로 가는 것

단신(單身) : 1. 배우자나 형제가 없는 사람 = 홀몸 2. 혼자의 몸

부임(赴任) : 임명이나 발령을 받아 근무할 곳으로 감



  일본에서 쓰는 ‘단신부임’이란, 혼자서 멀리 일하러 가는 길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이때에는 ‘혼자하다·혼자뛰다·혼자가다’로 옮길 만하고, ‘혼잣일·혼일·혼일꾼·혼일지기’로 옮길 수 있습니다. ‘홑길·홑살이·홑삶·홑살림·홑꽃·홑일’로 옮겨도 어울립니다. ‘혼살림·혼살이·혼삶’이나 ‘홀살림·홀살이·홀로살림’으로 옮겨도 되어요. ㅅㄴㄹ



단신부임도 괜찮지 않아?

→ 혼살림도 낫지 않아?

→ 홑살림도 되지 않아?

《여자의 식탁 7》(시무라 시호코/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11) 5쪽


단신부임이라 도쿄에 있지도 않고

→ 혼일이라 도쿄에 있지도 않고

→ 홑일이라 도쿄에 있지도 않고

《아카네 이야기 3》(스에나가 유키·모우에 타카마사/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3) 2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