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할아버지 비룡소의 그림동화 4
존 버닝햄 지음, 박상희 옮김 / 비룡소 / 199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1.1.

그림책시렁 1334


《우리 할아버지》

 존 버닝햄

 박상희 옮김

 비룡소

 1995.9.25.



  우리가 쓰는 말이란, 우리가 살아가는 마음입니다. 우리가 늘 어떤 마음을 소리로 나타내려 하는지 돌아보노라면, 좋은 마음이나 나쁜 마음이란 없고, 좋은 말이나 나쁜 말조차 없습니다. 모든 말은 으레 두 가지를 나타냅니다. 똑같은 말 하나를 두 마음을 나타내려고 쓰는 셈이랄까요. 그래서 ‘어른·늙다’로 두 마음을 나타내고, ‘어른·어리다’로 두 마음을 나타냅니다. 나이가 많더라도 어질지 않으면 ‘늙다’라 하고, 나이가 적더라도 어질면 ‘어른’이라 합니다. 거꾸로 보아도 같아요. 어질지 않으니 ‘어리다·철없다’요, 어질기에 ‘어른·철들다’입니다. 《우리 할아버지》는 죽음과 늙음을 다룹니다. 척 보아도 알 만합니다. 겉그림부터 ‘할아버지와 놀던 어린 날’을 보여주니, ‘슬픈 죽음·늙음’을 다루는 줄거리인 줄 알아차릴 만해요. 나이가 들어서 늙고 죽는 일이 슬프다면, 우리는 아무도 안 늙고 안 죽는 몸일 적에 안 슬프고 즐겁기만 할까요? 이 대목을 꼭 짚어야 합니다. 애벌레는 날개돋이를 해서 짝을 맺고 알을 낳으면 곧 흙으로 돌아갑니다. 이른바 ‘죽음’입니다. 꽃이 피면 반드시 져야 씨앗을 맺고 열매가 익어요. 그리고 모든 넋은 언제나 하나이면서 한빛입니다. 넋은 시들거나 죽는 일이 없습니다.


#granpa #JohnBurningham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안의 산책 - 자폐아 이야기
로리 리어스 지음, 이상희 옮김, 카렌 리츠 그림 / 큰북작은북 / 2005년 5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1.1.

그림책시렁 1332


《이안의 산책, 자폐아 이야기》

 로리 리어스 글

 카렌 리츠 그림

 이상희 옮김

 큰북작은북

 2005.5.10.



  모든 아이는 빛납니다. 모든 별이 빛나듯 모든 아이는 빛납니다. 모든 아이는 곱지요. 모든 꽃이 곱듯 모든 아이는 고와요. 다 다른 별을 보면, 어마어마한 덩치도 있고, 그리 크잖은 별이 있습니다. 다 다른 꽃을 보면, 함박만 한 꽃이 있고, 손톱보다 작은 꽃이 있습니다. 어느 별이든 별이고, 어느 꽃이든 꽃이고, 어느 아이라 하든 아이입니다. 《이안의 산책, 자폐아 이야기》는 별아이인 이안 곁에서 지내는 누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별아이나 별아이 어버이를 다루는 이야기는 꽤 있되, 막상 별아이 곁에서 내내 함께 지내는 한또래 이야기는 뜻밖에 드물다고 느낍니다. 늘 한집에서 어울리는 한또래는 별아이를 어떻게 느끼고 바라볼까요? 한집에서 살아갈 적에는 ‘한집’이라고 느낄 테지요. 아침부터 저녁까지 모든 모습을 바라보는 동안, 몸마음을 하나로 헤아리는 눈망울을 밝힌다고 느껴요. 사람들은 푸른별에서 함께 살아갑니다. 숱한 보금자리가 모인 푸른별이니, 이곳하고 저곳은 매우 멀는지 모르지만, 온누리로 본다면 푸른별은 모두 한집이고 한또래입니다. 우리는 서로 한마음일 수 있을까요? 우리는 서로 한사랑을 나누는 하루를 지을 수 있을까요? 다 다른 별과 꽃처럼, 다 다르게 빛나고 고운 줄 알아볼 수 있을까요?


ㅅㄴㄹ


《이안의 산책, 자폐아 이야기》(로리 리어스·카렌 리츠/이상희 옮김, 큰북작은북, 2005)


심신장애를 지닌 어린이의 형제들은 살아가는 동안 남다른 아픔을 겪습니다

→ 여린 어린이하고 한또래는 살아가는 동안 남달리 아픕니다

→ 작은별인 어린이 또래는 살아가는 동안 남달리 아픕니다

2쪽


순간, 아주 잠깐이었지만 이안이 나를 바라보며 씽긋 웃었어

→ 문득, 아주 살짝이지만 이안이 나를 바라보며 씽긋 웃었어

→ 얼핏, 살짝 스치듯 이안이 나를 바라보며 씽긋 웃었어

3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튜의 꿈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265
레오 리오니 지음, 김난령 옮김 / 시공주니어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28.

그림책시렁 1300


《그리미의 꿈》

 레오 리오니

 김서정 옮김

 마루벌

 2004.11.6.



  그리는 대로 이룬다면, 오늘 우리는 무엇을 그리면서 마음에 폭 심는 삶일까요? 그리지 않기에 이루지 않는다면, 우리는 오늘까지 무엇을 안 그렸기에 아직 이루지 않는 길일까요? 2004년에 나온 《그리미의 꿈》은 2019년에 《매튜의 꿈》으로 새로 나옵니다. 한동안 판이 끊긴 책이 다시 나오니 반가웠되, ‘그림이(그리미)’라는 이름이 사라져서 아쉽더군요. 무늬하고 모습을 담는 ‘그림’은 ‘그리다’에서 온 말이면서, 꿈도 글도 ‘그리다’하고 얽힌 밑동을 엿볼 만합니다. 말과 소리를 담으려고 그리기에 ‘글’입니다. 살림을 담으려고 놓는 ‘그릇’이지요. 또한, 나무가 높이높이 자라도록 밑동을 이루는 자리인 ‘그루’입니다. 어린이는 꿈을 그리면서 태어납니다. 어른은 꿈을 마음에 담은 나날을 살아내고 살림하고 사랑하는 사이에 천천히 이루어 갑니다. 하루아침에 이룰 꿈도 있고, 온삶을 기울이면서 가만히 펴는 꿈도 있어요. 어느 꿈이든 아름답습니다. 사랑으로 그리기에 아름답습니다. 자, 총칼을 녹여서 붓이랑 호미랑 낫이랑 쟁기로 바꾸어요. 미움을 녹여서 웃음하고 노래하고 춤으로 여미는 이야기를 지어요. 서로 그림빛으로 만나는 곳에서 별빛이 초롱초롱합니다. 함께 그림지기로 어울리기에 온누리가 환합니다.


1991

#매튜의꿈 #LeoLionni #MatthewsDream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윤 - 희망을 새긴 판화가 어린이미술관 12
성완경.허진무 지음 / 나무숲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28.

그림책시렁 1301


《희망을 새긴 판화가 오윤》

 성완경·허진무

 나무숲

 2005.12.30.



  예전에 그림책 《칼노래》를 만난 적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어느 어르신 책시렁에서 보았고, 이다음에는 헌책집 책시렁에서 보았어요. 처음에는 놀랍다고 여겼고, 나중에는 주머니가 홀쭉해서 차마 장만하지 못 했습니다. ‘칼노래’는 칼을 석석 휘두르는 노래이되, 무섭거나 소름이 돋지 않았습니다. 미움이 아닌 사랑으로 칼을 쥘 적에는 이렇게 다르구나 싶더군요. 《희망을 새긴 판화가 오윤》은 어린이한테 오윤 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곰곰이 돌아보자니, 오윤 님은 어린이책에 그림을 꽤 실었습니다. 어른끼리 보는 그림이 아닌, 어린이랑 함께 보면서 생각을 밝히고 마음을 가꿀 씨앗으로 그림을 새겼어요. 우리가 엉터리 나라를 갈아엎는다고 할 적에는 마땅히 “아이들한테 물려줄 아름나라”를 그리는 마음일 노릇입니다. 어른끼리 노닥거릴 나라가 아닌, 어린이가 사랑으로 어깨동무하면서 풀꽃나무를 품을 나라를 그려야지요. 요즈음 나도는 숱한 글이며 그림은 미움씨앗을 자꾸 심는다고 느껴요. 미움을 불사르는 글그림으로 무엇을 바꿀 수 있을까요? 미움씨앗은 미움을 낳고, 불씨앗(분노)은 불태워 죽일 뿐입니다. 사랑으로 지을 적에 비로소 꿈입니다. 사랑이 없는 채 덕지덕지 꾸미는 마음은 꿈으로 나아가지 않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친구 사귀기 김영진 그림책 8
김영진 글.그림 / 길벗어린이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25.

그림책시렁 1330


《친구 사귀기》

 김영진

 길벗어린이

 2018.3.20.



  시골에는 아이가 없는 마을이 수두룩합니다. 땅뙈기는 서울보다 크지만, 어린이·푸름이는 얼마 안 되는 시골이 늡니다. 시골에서는 또래찾기를 안 할 만합니다. 또래가 있어도 꽤 먼 마을에 떨어지기 일쑤입니다. 지난날에는 서울이건 시골이건 어느 마을·골목이건 어린이가 넘실거렸어요. 어린이가 많던 지난날에는 아이어른 누구나 걸어서 다녔습니다. 어린이가 서울에 쏠린 오늘날에는 이제 거의 다 부릉부릉 내달리는 메마르고 싸늘한 수렁으로 바뀝니다. 《친구 사귀기》를 곰곰이 읽었습니다. ‘서울 + 아파트 + 자가용 사회 + 초등학교’라는 넷을 엮으면 이런 줄거리가 나오는군요. 어느 모로 보면 “거의 모든 어린이가 큰고장·서울에 쏠린 오늘날에 걸맞는 그림책”일 테지만, 막상 “어린이가 어린이답게 스스로 뛰놀고 꿈꾸면서 들숲바다를 품는 소꿉살림하고는 까마득하게 먼 쳇바퀴”로구나 싶습니다. 예전에는 가까이에서 얼굴을 보며 서로 마음에 드는 하루를 누리기에 ‘사귀다’라고 했다면, 이제는 얼굴을 자주 안 보거나 멀리 떨어졌더라도, 마음으로 아끼고 헤아리는 사이로 있기에 ‘사귀다’라 할 만합니다. 사람만 동무일 수 없습니다. 나비랑 새도 동무입니다. 돌과 빗물도 동무입니다. 눈을 넓게 뜨기를 바라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