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의 4분의 1
오사키 요시오 지음, 우은명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오사키 요시오의 단편집

뜻밖에 선물(?)로 받은 책이라 그런지 좀 다른 느낌이 들었다.

4개의 단편으로 엮어진 이 책은 4개의 단편이 다른 빛깔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애뜻함이랄까 하는 감정으로 연결되어 있는 느낌을 주었다.

 

'보상받지 못한 엘리시오를 위해'

대학 체스 동우회 회원인 야마모토와 요리코, 타케이

친구 사이인 야마모토와 타케이 그리고 연인 사이인 요리코와 타케이

타케이를 연결 고리로 만나던 야마모토와 요리코 사이에 차츰 알 수 없는 사랑의 감정이 삭트는데...

 

비틀즈의 'If I fell'을 들으며 요리코가 한 얘기가 기억에 남는다.

요리코가 중학교 때 fell을 넘어진다고 번역해 망신당한 얘기

흔히 우리는 사랑에 빠진다고 번역하지만 넘어진다고 해도 그리 틀린 말은 아닐 듯 싶다. ^^

그리고 야마모토의 요리코를 꼭 찾아내 지키겠다는 의지의 표현이 뇌리에 남는다.

'퀸이 오로지 킹을 지키듯이, 어쩌면 나는 지금의 너를 지킬 수 있는 단 하나의 말인지도 몰라.

그리고 퀸이 모든 것을 걸고 그렇게 하듯 나도 전력을 다해 너를 찾아내서 구해내겠다.'

 

'켄싱턴에 바치는 꽃다발'

이 단편에서의 압권은 역시 '나는 몇 기린이냐'고 묻던 미나코의 대사

동물원에서의 거래는 기린이 화폐처럼 통화의 기준이 된다고 한다.

그래서 모든 동물은 기린을 통화로 해서 거래가 된다나...

예를 들면 코뿔소는 300기린은 한다는 등

이에 대해 미나코가 유이치에게 자신에 대한 감정을 묻는 표현이

참 재밌다. '지금의 나는 유짱에게 있어서 몇 기린이야?'

사랑을 확인하는 직설적이지 않고도 재밌는 표현인 것 같다.

그리고 명왕성 얘기. 이젠 태양계에서 퇴출(?) 당해버린 명왕성

늘 명왕성은 그대로 존재했지만 사람들은 오래도록 인식 못했고

인식한 후엔 태양계의 한 식구로 넣었다가 이제 다시 식구가 아니라고 버렸다.

그럼에도 명왕성은 늘 변함없이 자기 자리를 지키고 있겠지...

암튼 우리 세대는 명왕성의 태양계의 9번째 식구로 기억되고 있다.

 

'슬퍼서 날개가 없어서'

삿포로의 같은 고등학교에서 밴드를 하던 마츠자키와 마미

그들은 어느새 연인 사이가 되지만 마츠자키는 도쿄로 진학하고

서로 멀리 떨어진 마츠자키와 마미

도쿄로 진학하지 않고 삿포로에 남은 마미가 마츠자키에게 보낸 편지 중 인상적인 구절

'만나고 싶어질 때도 있습니다. 사랑스러워질 때도 절실할 때도

슬퍼질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분명 저에게는 날개가 없습니다.'

날개가 없어 마츠자키에게 날아가지 못한다는 마미

사랑하고 함께 있고 싶지만 그렇지 못하는 자신의 애뜻한 마음이 너무 잘 담겨 있어 맘이 찡해졌다.

 

'9월의 4분의 1'

브뤼셀에서 만난 켄지와 나오

작가가 되기 위해 많이 준비했음에도 글을 전혀 못 쓰던 켄지와

사랑하던 사람에게 버림받고 아파하던 나오

그들은 서로의 상처를 위로하며 서로에게 힘이 되어 주는데

'9월의 4일'에서 만나자는 편지를 남기고 떠나 버린 나오

켄지는 이를 9월 4일에 만나자는 얘기인 줄 알았지만

이는 역 이름이었을 때 넘 안타까웠다.

나오는 그들의 인연을 시험해본 것일까?

켄지가 이를 알아차렸으면 그들은 좀더 오래 인연을 이어갔을텐데

만날 사람은 반드시 만난다고 아직도 운명을 믿는 나에겐

아쉽지만 그들은 인연이 아니었다고 위안할 수밖에 없었다.

 

오사키 요시오는 60년대말에서 70년대 사이의 음악을 좋아하는 듯

비틀즈, 롤링 스톤즈, 레드 제플린 등 그 시대를 풍미한 전설적인 그룹들의 음악이

그의 단편 곳곳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나도 물론 좋아하기에 너무 반가웠다.

4개의 단편 모두 사람의 맘을 찡하게 하는 내용이 담겨 있는 이 책은

이 가을에 내 맘을 설레이게 하기에 충분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