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로 풀어쓴 논어 - 현대인이 읽어야 할 최고의 인간학 교과서
공자 지음, 전재동 엮음 / 북허브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양을 대표하는 고전으로 딱 한 권만 꼽으라면 아무래도 공자의 '논어'가 아닐까 싶다.

그만큼 영향력이 막대한 책이라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논어'의 문장들을 인용하고 있고,

많은 책들이 '논어'를 다루고 있어 나도 예전에 김원중 교수가 번역한 '논어'를 읽어본 적이 있다.

김원중 교수의 책은 아무래도 중국 고전 전문가다 보니 원문에 충실한 번역을 해놓아서

사실 일반 대중 입장에서는 '논어'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다.

얼마 전에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2'를 읽으면서 논어를 다시 한 번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시로 풀어쓴 논어라는 이 책의 제목이 좀 더 논어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듯 했다.

김원중 교수 버전의 '논어'를 읽은 지가 좀 되었지만 그래도 논어와 초면은 아닌지라

첫 만남 때의 어색함과 낯설음은 적었고 직역이 아닌 의역이라 비교적 술술 읽어나갈 수 있었다.

역시 책이나 영화는 볼 때마다 전에 볼 때 놓쳤던 부분을 다시 발견할 수도 있고,

새로운 느낌을 받을 수가 있는데 첫 만남 때와는 달리 좀 더 편한 상태에서 책을 읽을 수 있었다.

공자가 논어를 통해 지향하고자 했던 걸 한 단어로 요약하자면 바로 '인(仁)'이라 할 수 있다.

인간으로서 인격을 완성한 상태를 아마도 '인'의 경지에 도달했다고 표현하는 것 같았는데

이런 경지에 이른 사람을 군자라 칭하고 그러지 못하는 사람을 소인이라고 칭했다.

개인으로서는 인을 실천하는 근본인 효도와 공경함을 바탕으로 예와 악을 배우고 익힘으로써

군자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공자와 제자들의 문답을 통해 담아내고 있는데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진리가 있는 반면 탁상공론에 지나지 않는 내용도 있는 것 같았다.

개인적으로는 논어에 담겨 있는 여러 주옥같은 문장 중에서

'己所不欲 勿施於人'이 가장 중요하단 생각이 들었다. 

내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 시키지 않는 역지사지의 정신이 사람들끼리 더불어 살아가는 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삶의 원칙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를 실천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문제가 있다.

요즘같이 배려와 공감이 부족한 세상에서 까마득히 오래된 고전인 논어가 담고 있는 가치가

여전히 절실히 필요하다는 사실은 우리가 고전을 읽어야 하는 이유라 할 것이다. 

이 책은 전에 읽은 김원중 교수 버전에 비하면 원문에 한자 음도 달려 있고 주해도 있어

원문을 읽으면서 논어의 참맛을 좀 더 느껴볼 수 있었다. 주로 대칭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간단한 문장들은 원문으로 읽으니 더 와닿는 느낌이 들었는데 좀 아쉬운 부분은 역자가 크리스천인지

뜬금없이 본인이 덧붙인 해석에 하느님을 가끔 끼워넣고 있다는 점이다.

논어의 해석에 하느님을 등장시키는 건 너무 자의적인 접근인 것 같은데

원전의 의미를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건 의미가 있지만 종교적인 관점을 투영시키는 건 아닌 듯 했다.

암튼 오랜만에 논어의 문장들을 좀 더 쉽게 풀어낸 글로 접하니 논어의 참뜻을 깨달을 수 있었는데

기회가 되면 여러 번 되새김질을 해봐야 그 깊은 뜻을 몸과 맘에 새길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