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 보기 좋은 날 - 내 가방 속 아주 특별한 미술관
이소영 지음 / 슬로래빗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작가의 전작인 '출근길 명화 한 점'을 제목 그대로 지하철로 출퇴근하면서 봤는데 

출퇴근 할때마다 아껴 보지 못하고 금방 해치워버리고 말아서 좀 아쉬움이 남았었다.

전작의 연장선상에 있는 이 책도 명화들에 얽힌 작가의 감상을 담고 있는데,

'마음이 피곤한 날', '열정을 찾고 싶은 날', '누군가 그리운 날', '자신감이 필요한 날',

'혼자 있고 싶은 날', '사랑하고 싶은 날', '감성을 키우고 싶은 날'까지 일상을 살아가면서

누구나 한 번쯤은 느끼는 감정들과 그에 적절한 명화들을 절묘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사실 저자가 명화라고 칭했지만 솔직히 말해 모르는 화가와 작품이 대부분이었다.

누구나 아는 그런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예술가와 명작이 등장하는 경우도 없진 않았지만

미술 전문가가 아닌 사람에게는 정말 생소한 이름들이 많이 등장해 좀 낯선 느낌이 들 때도 많았다.

'마음이 피곤한 날'로 시작하는 이 책은 몬드리안의 작품으로 포문을 연다.

늘 '이게 뭐지' 하는 느낌을 주던 몬드리안의 그림이 반듯반듯한 선들과 사각형들로 

여러 가지로 혼란스런 마음을 차분하게 정리해준다는 작가의 말을 들으니 또 다르게 보였다.

르누아르와 밀레의 못 봤던 작품들을 거쳐 쇠라의 대표작 중 하나인 '그랑드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와

만나게 되었는데 점묘법의 대가의 작품에서 삶도 숱한 순간들이 모여 세상의 흐름을 바꿈을 깨닫는다.

다음으로 드디어 낯선 작가와 작품이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지나이다 세레브리아코바라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프랑스 화가였다. 이 책의 또 다른 묘미는 등장하는 화가의 자화상을 각 장의 끝에 싣고 있어

유명 화가들의 얼굴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었는데, 작품을 보면서 상상한 화가의 모습과 어느 정도 비슷한 경우도 있는 반면 전혀 상상하지 못했던 미남이거나 추남인 경우도 있었다.

아무래도 외모지상주의의 세상이다 보니 화가의 외모를 모르고 볼 때의 작품과 알고 볼 때의 작품은

좀 느낌이 달랐는데 얼굴을 보면서 그의 작품을 접하니 좀 더 친근한 느낌도 들었다.

이 책을 통해 첫 만남을 가진 화가들도 많았는데 고흐가 존경했던 요제프 이즈라엘스와

고흐가 멘토였던 그의 아들 아이작 이즈라엘스 부자나 

사랑하는 딸을 모델로 하는 그림을 그린 다니엘 가버와 역시 가족을 화폭에 많이 담았던 에드먼드

찰스 타벨, 흑인 노숙자 화가였던 빌 트레일러 등 상당수의 화가들이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각 장마다 한국 현대미술가의 작품들과 공공미술을 소개해서 과거의 명작들은 물론 현재와 미래의

현재진행형인 작가와 작품들도 만날 수 있어 또 다른 즐거움을 주었다.

가끔씩 그림을 소개하는 책들을 통해 미술과 친해지려고 노력하는 편이지만 사실 그리 쉽진 않다.

그래도 이런 책들을 보면 단순히 그림의 의미와 가치를 설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림에 얽힌 여러가지 사연이나 저자의 추억이나 감상을 담고 있어 좀 더 쉽게 와닿는 느낌이 든다.

그림을 감상하는 걸 막연히 어렵게 느끼는 사람들에게 일상에서 그림과 친해질 수 있도록 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